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survey analysis, 검색결과: 85
31
이경화(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17-44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0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 요인을 분석하여 비대면 서비스가 도서관 불안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 대응 활동 사례를 살펴보고, 재학생 5,000명 이상 10,000명 이하의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에서 재학생 1인당 도서관 방문자수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40교를 선정하여 비대면 방식의 정보 서비스 및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고, K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K-LAS를 재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물리적․환경적 요인, 자료검색선정 요인, 디지털 정보시스템 요인, 사서(직원)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등 5가지 도서관 불안 요인과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간 관계를 파악하고,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이 도서관 불안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요인들이 도서관 디지털 정보시스템 불안 요인에 가장 크게 영형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를 통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해소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lan on the effect of non-face-to-face services on library anxiety facilities by analyzing the library anxiety factors of university library users. To this end, we look at the cases of university library user service response activities in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and select 40 schools with the highest number of library visitors per student from among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libraries with 5,000 or more and less than 10,000 students. Methods of information service and program cases were analyzed, and K-LAS was reconstructed and surveyed for current students using the K university library,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library anxiety factors of users.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5 library anxiety factors and non-face-to-face service activation factors, such as physical/environmental factors of the library, data search selection factors, digital information system factors, librarian (staff) factors, and psychological/emotional factors, and activate non-face-to-face services.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library anxiety factors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on-face-to-face service activation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library digital information system anxiety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attempted to derive a plan to relieve users’ library anxiety by activating non-face-to-face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육 도구로써 위키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위키 환경인 구글 사이트에서 협력학습 기반 그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학습자들의 행태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파일 업로드, 웹 페이지 사용, 댓글, 네비게이션 바와 관련된 개별 학습자 및 그룹별 형태 분석과 구글 사이트 사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구글 사이트를 활용한 학습자들의 협력학습 기반 그룹 프로젝트 활동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또한 협력학습의 교육적 효과성과 학습활동 진행 과정 평가의 용이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위키 환경 시스템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tudents' behaviors and perceptions regarding the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group project using the wiki environment. The study utilized Google Sites as a case, and analyzed file unloads, the use of web pages, navigation bars, and comments as well as surveys. The study discusses mai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tivities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group project, which a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students' behaviors and perceptions. The study also provide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wiki environment to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in education.

초록보기
초록

지식경영을 도입함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지식 공유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들의 동기유발 방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식 기여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적절한 보상체계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을 도입한 국내 기업체 및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 기여에 따른 평가와 보상과 관련한 문헌분석 및 실제 사례분석을 토대로 지식 기여에 대한 바람직한 평가 및 보상 모형, 즉 가설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설정된 가설을 토대로 한국원자력연구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 기여에 대한 평가 및 보상에 대한 구성원들의 반응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식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는 전문 연구기관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When we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ur organization, first of all, we need to change the way of motivating the members so as to voluntarily activate knowledge sharing activity. For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fair evaluation and adequate reward system about knowledge contribution. In this study, I hypothesized a desirable evaluation and reward model for knowledge contribution on the basis of analysis of documents and cases concerning them in domestic enterprises and R&D institutes that adopted knowledge management. Also, I took a survey to analyze the response of the members of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bout the evaluation and reward for knowledge contribution. I expect tha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very usefully in R&D institutes that want to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MZ세대 사서들을 중심으로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1980년~2005년생 사서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과 삶의 균형의 하위 요인인 일-가족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과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조사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가족 균형, 일-성장 균형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일-가족 균형, 일-성장 균형을 강화하는 정책과 함께 공공도서관의 야간 및 주말 근무에 대하여 정책적인 보상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조직몰입을 강화하기 위하여 수평적인 의사소통과 자율권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Generation MZ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 survey of 183 librarians born between 1980 and 2005, who work at public librar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xamined the subfactors of work-life balance such as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work-growth bal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work-family and work-growth balanc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Moreo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implement a reward policy for night and weekend work and to strengthen work-family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at public libraries. Moreover, it suggests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strengthening autonomy to promote organizational commitment.

35
조상은(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4, Vol.41, No.2, pp.71-96 https://doi.org/10.3743/KOSIM.2024.41.2.071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정보 리터러시 교육의 모형과 표준들이 학교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진행하기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초등 고학년 대상의 온라인 정보 리터러시 교육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실천하기 위한 교육 모형을 개발․제안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문헌 고찰과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정보 리터러시의 정의 및 영역, 학습 단계 및 활동, 개념 및 절차 모형, 교수학습 계획을 포함한 1․2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육모형의 내적 타당성 평가를 위해 1․2차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의견을 종합하고 수렴하여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개발된 교육모형은 ‘정보 리터러시 개념’, ‘교육의 구성요소 영역’, ‘개념 모형’, ‘절차 모형’, ‘설계원리 및 상세지침’, ‘학습 단계 및 활동’, ‘교수․학습 계획’의 7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모형을 적용하여 실제 교수학습계획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limitations of implementing school-centric models and standards of information literacy constr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n instructional model to effectively design and practice onlin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a public library.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and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cases, a primary model was developed including the definition and area of information literacy, learning stages and activities, conceptual and procedural model, and teaching and learning plan.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model. The final model was derived by synthesizing and converging the collected opin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nal model consisted of 7 areas: ‘Information literacy concept’, ‘Instruction component area’, ‘Conceptual model’, ‘Procedure model’, ‘Design principles and detailed guidelines’, and ‘Learning Steps and Activ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Plan’.

36
강윤호(대림대학 문헌정보과) ; 박영애(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09, Vol.26, No.3, pp.417-434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417
초록보기
초록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통계항목들은 이론적 견지에서 보면 도서관평가 또는 도서관운영 정책수립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항목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통계항목과 공공도서관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수집될 수 있는 통계항목들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평가로 활용되고 있는 국가도서관통계가 신뢰할 수 있는 또는 타당성이 있는 객관적 데이터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통계를 수집할 수 있는 근거자료인 도서관 업무(운영)일지의 항목들을 분석하고 아울러 통계의 자동수집이 가능한 도서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공공도서관에서의 사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향후 공공도서관 업무(운영)일지의 표준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Statistics items required by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re based on data for library evaluation and policy making of library management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However, It is realize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tatistics items required by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nd those can be collected at the field of public libraries. In accordance with this point, this paper contained an analysis of a working diary log of public libraries as a basic material able to collect data at the field of public libraries and also surveyed the present usage situation of Library Management Program able to automatically collect data to recognize that National Library Statistics is reliably or validly objective data. An analysis data of this research will be a basic material to plan the standard guide of a working diary log of public libraries from now 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 이용 중단자, 비이용자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대한 집단 간 인식수준의 차이를 파악하여 이용 중단자 집단과 비이용자 집단을 이용자 집단으로 유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문헌분석과 설문조사 결과의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 이용 중단자, 비이용자 집단 간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용 중단자와 비이용자의 공공도서관 인식에 대한 공통 요인, 비이용 요인 및 이용 중단 요인을 나누어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고려 사항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measures to turn former users and non-users of public libraries back into users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ser, former user and non-user group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to public librari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i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factors to non-use of public libraries. A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a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ser, former user and non-user group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to public libraries and the non-use factors. From the results, we could categorize the factors into common non-use factors, non-use-only factors, and use interrupt factors, and we develop suggestions to improve the factors in order to move non-users and former users to frequent users of the public libraries.

38
이기영(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3, pp.133-156 https://doi.org/10.3743/KOSIM.2020.37.3.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VR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강화됨에 따라, 국내 대학도서관 중 V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평가를 통해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 VR 서비스의 종류와 현황을 분석한 후, VR 서비스 이용자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이용자 평가를 수행하였고, 이용자 의견과 선행 연구 및 사례들을 종합하여 대학도서관에서의 VR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Virtual Reality (VR) service in Korea through the user evaluations of a university library that provide users with VR experiences as a new technology.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s in the VR industry increase and access to technology is strengthened. The kinds of VR services at the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status of VR services at the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were analyzed. After carrying out user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VR service users,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users’ opinions and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39
장혜란(상명대학교) ; 김정아(가톨릭대학교) 2013, Vol.30, No.3, pp.249-27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249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의학도서관의 인쇄본 학술지 공동보존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와 사례를 통해 공동보존의 유형과 발전현황을 고찰하고,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회원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인쇄본 학술지 폐기 실태와 공간현황 및 공동보존 요구도와 참여의지 및 선호방식 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기존의 MEDLIS 인프라를 활용한 집중형과 분산형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기본사항과 세부내용, 단계별 시행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구현을 위한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의 노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llaborative print journal preservation model for the medical libraries in Korea.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advanced preservation practice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members of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to collect data about the present states of journal weeding and storage space as well as their needs and preferences for collaborative preservation. Based on the analysis, a hybrid model, consisting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archives, is proposed with MEDLIS as infra structure. Detailed characteristics and three phases of implement strategies are described. Finally, recommendations for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to the successful substantiation are suggested.

40
김현정(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4, Vol.41, No.2, pp.215-243 https://doi.org/10.3743/KOSIM.2024.41.2.215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은 정보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학교의 교육목적 달성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자원과 이용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사서교사의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국․공립 고등학교 8개교의 교과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의 분석 방법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사의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은 학교도서관의 정보적․교육적․문화적 역할 인식과 사서교사의 교육지원․도서관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운영 시에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 school library is an institution that supports the school’s educational objectives throug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information resources, and teachers’ perception is essential to connect resources and users. However,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self-perception of teacher libraria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eachers’ experience of library programs and cooperative classes with the school library on their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 roles and librarian teachers’ professionalis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78 teachers at eight national and public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experiences affect their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s, especially informational, educational, and cultural roles. Also, the teachers’ experiences affect their perception of librarian teachers’ educational support and library expertise.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in school library programs and cooperative class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 roles and librarian teachers’ professionalism.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