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효과성, 검색결과: 167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과 정보센터를 둘러싼 환경적인 변화와 함께, 다양한 관리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도서관 업무와 서비스에 적용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하에서 새로운 경영 및 품질개선 기법으로서 6시그마를 도서관에 적용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는 6시그마 기법을 도서관에서 해외 학술정보를 입수하는 과정에 실제 적용하여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조업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었던 6시그마 기법의 하나인 DMAIC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6시그마 기법을 본 연구에서 목표하는 분야에 있어서 높은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Abstract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 they need to develop various management techniques and apply them to library works and services. In this research,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 special library of IT company. This study was aimed for reducing ineffective components and unnecessary processes in library works and services. This study applied the Six sigma technique to improve the process of purchasing overseas academic and strategic information and users' a degree of satisfaction on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the five-step DMAIC(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method, mainly us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get epoch-making improvement.

초록보기
초록

패스파인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지적 구조의 분석과 규명을 시도한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다. 패스파인더 네트워크는 다차원척도법에 비해서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구축 알고리즘의 복잡도가 매우 높아서 실행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전통적인 지적 구조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되어온 군집분석을 함께 적용하기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패스파인더 네트워크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으로 병렬 최근접 이웃 클러스터링(PNNC) 기법을 제안하였다. PNNC 기법의 클러스터링 성능을 전통적인 계층적 병합식 클러스터링 기법들과 비교해본 결과 효과성과 효율성 양면에서 기존 기법보다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Recently there are many bibliometric studies attempting to utilize Pathfinder networks(PFNets) for examining and analy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holarly field. Pathfinder network scaling has many advantages over traditional multidimensional scaling, including its ability to represent local details as well as global intellectual structure.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PFNets including very high time complexity. And Pathfinder network scaling cannot be combined with cluster analysis, which has been combined well with traditional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In this paper, a new method named as Parallel Nearest Neighbor Clustering (PNNC) are proposed for complementing those weak points of PFNets. Comparing the clustering performance with traditional hierarchical agglomerative clustering methods shows that PNNC is not only a complement to PFNets but also a fast and powerful clustering method for organizing informations.

73
이용구(계명대학교) ; 박성재(한성대학교) ; 김정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3, Vol.30, No.1, pp.221-236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2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저널 컨소시엄 참여기관의 현황과 그들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KESLI 운영의 문제점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기관을 대상으로 컨소시엄 선정 및 관리, 평가의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응답한 179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ESLI 참여기관은 장서개발정책, 편목, 이용자교육 및 평가방법에 대한 요구를 나타냈다. 따라서 KESLI는 참여기관의 요구를 반영하여 장서개발정책 마련을 위한 정책 예를 제공하고 편목의 간소화를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관에서의 이용자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교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지원하며 평가방법 및 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KESLI consortium by analyzing the status of participant organizations and their needs. A survey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s on consortium selec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was distributed. The findings from the 179 responses indicate that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include issues related to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e cataloging of e-journals, user education, and evaluation. Therefore, KESLI should provide the following: (1) exampl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used for reference, (2) system development for e-journal cataloging, (3) materials and program guidelines for user education, and (4) education related to evaluation techniques for e-journal usages.

초록보기
초록

개체들 사이의 관계를 저차원 공간에 매핑하는 다차원척도법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알고리즘이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PROXSCAL이나 ALSCAL과 같은 기존의 기법들은 50개 이상의 개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집합을 대상으로 개체 간의 관계와 군집 구조를 시각화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군집 지향 척도법 CLUSCAL(CLUster-oriented SCALing)은 기존 방법과 달리 입력되는 데이터의 군집 구조를 고려하도록 고안되었다. 50명의 저자동시인용 데이터와 85개 단어의 동시출현 데이터에 대해서 적용해본 결과 제안한 CLUSCAL 기법은 군집 구조를 잘 식별할 수 있는 MDS 지도를 생성하는 유용한 기법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ere have been many methods and algorithms proposed for multidimensional scaling to mapp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data objects into low dimensional space. But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PROXSCAL or ALSCAL, were found not effective for visualizing the proximities between objects and the structure of clusters of large data sets have more than 50 objects. The CLUSCAL(CLUster-oriented SCALing) technique introduced in this paper differs from them especially in that it uses cluster structure of input data set. The CLUSCAL procedure was tested and evaluated on two data sets, one is 50 authors co-citation data and the other is 85 words co-occurrence data. The results can be regarded as promising the usefulness of CLUSCAL method especially in identifying clusters on MDS maps.

75
이지원(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Vol.26, No.3, pp.131-144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131
초록보기
초록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이 발간됨에 따라 그동안 자료유형별로 각각 발간되었던 KORMARC의 문제점들이 상당 부분 해결되었고, 도서관 현장에서는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의 도입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 적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실제적인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및 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합서지용 KORMARC 형식의 효과적 적용을 위해서는 데이터 적용 범위를 먼저 결정하고, 데이터 변환 및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통합서지용 KORMARC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고, 적용을 고려 중인 기관과 상용 도서관시스템 업체들에게 실제적인 방향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Abstract

As the development of the new integrated KORMARC format is completed and the problems of KORMARC aroused by different formats by different material types are settled, librarians’ interests have increased in adopting the new integrated format. This article attempts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adopting the new format and suggests some considering points in its application process. To effectively adopt the new format, firstly the scope of new format application should be decided, and then data conversion and related program development should be followed.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raise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ed KORMARC format and give some guidelines to libraries considering its adoption and library system vendors.

76
이준호(숭실대학교) ; 권혁성(숭실대학교) ; 박소연() 2003, Vol.20, No.2, pp.27-4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027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와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모든 검색 과정을 기록한 질의 로그는 이용자의 실제 검색 행위를 사실적으로 반영한다. 따라서, 웹 검색 이용자들의 검색 행태를 이해하기위하여 웹 검색 서비스 시스템이 생성한 질의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이버 이용자의 웹 검색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의 질의 로그 분석 방법론을 보완하여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통합 검색, 디텍토리 검색, 웹 문서 검색과 같은 다양한 검색 유형에 대하여 일주일 동안 생성된 질의 로그를 분석함으로써 네이버 웹 검색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검색 행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웹 검색 시스템 개발과 서비스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Query logs are online records that capture user interactions with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and all the search processes. Query log analysis offers an advantage of providing reasonable and unobtrusive means of collecting search information from a large number of users. In this paper, query logs of NAVER, a major Korean Internet search service,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NAVER users. The query logs were collected over one week from various collections such as comprehensive search, directory search and web document searc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re effective web search systems and services.

77
김다해(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09, Vol.26, No.3, pp.89-110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근래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는 주제전문서비스를 마케팅의 한 분야인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실제로 이 서비스가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특히 교수진들과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이를 통한 마케팅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비스의 실무자인 주제전문사서들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서비스 대상자인 교수이용자와의 개별 심층 면접법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대학도서관의 교수이용자와의 관계의 유지 및 심화를 위한 주제전문사서의 요건을 함께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전문서비스의 목적과 특성을 이용자 및 CRM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attempt to discuss about the subject reference service from a marketing point of view, especially from a perspectiv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and examine how this service actually functions to build the relationships with users of academic libraries, especially with faculty members. To carry out the research,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ubject specialists, and als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aculty members. In addition, we also discuss about characteristics of subject specialists which affect the relationship with the faculty members in a college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discussed purposes of and characteristics in subject reference service from user' viewpoint and the perspective of CR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지 정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링크드 데이터를 선정하였다. 링크드 데이터는 웹 공간을 통해 공유 가능한 식별기호와 데이터 구조 및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링크드 데이터는 서지 온톨로지와 결합하여 서지데이터를 확장시키는데 유용하다. 이에 링크드 데이터와 서지 온톨로지를 분석하고, 연계 가능한 링크드 데이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링크드 데이터로 구축된 기존의 전거 데이터 및 서지 데이터를 연계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연계를 통해 향후 링크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즉, 1) 다양한 링크드 데이터 중에서 각 기관에서 적합한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어야 하며, 2) 선정된 링크드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3) 자관의 고유한 데이터를 개발하여 이를 다시 공유해 나가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Linked Data was used for extending bibliographic data, because Linked Data provides shareable identifiers, data structures, and link information. Linked Data is especially efficient in expanding bibliographic data integrated with bibliographic ontology. Therefore, Linked Data and bibliographic ontologies were analyzed and available Linked Data was suggested. By linking between meta-data schemes, bibliographic data, and authority data, issues for the effective Linked Data sharing were suggested: 1) selecting proper Linked Data for each bibliographic organization, 2) linking between different Linked Data, and 3) developing their own Linked Data for each bibliographic organization.

79
이현실(원광대학교) ; 한성국(원광대학교) 2006, Vol.23, No.3, pp.23-48 https://doi.org/10.3743/KOSIM.2006.23.3.023
초록보기
초록

기록 관리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기록물 자체에 내재한 정보 요소뿐만 아니라, 기록 업무에 따른 기록물의 생명 주기 관리 등에 필요한 관리 요소를 표현할 수 있는 강고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메타데이터 스키마에서는 기록 도메인의 정보 모델과, 기록 관리 업무 및 응용에서 요구되는 의미 상세화와 데이터 요소 특수화 등을 지원하는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주요 원리와 특성을 분석하여, 기록 관리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ISO 15489와 23081에 제시된 기록 관리 지침과 메타데이터 운용에 근거한 기록 관리 정보 모델을 개발하고 핵심 데이터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기록 관리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 방법을 보였다.

Abstract

Record management metadata schema should have robust structure to represent not only elements innate in records itself but also management elements for the life cycle of records according to business activities. To realize these requirement, Information model for record domain is needed and also Metadata framework supporting semantic refinement and data element specialization required in record management business or applications are required. This study analyse main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metadata scheme, and then suggested a novel method to develope schema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This study propose information model and set of core data elements of records management based on ISO 15489 and 230381, and show how to implement the record management framework.

초록보기
초록

학술과 문화 기반의 비이념적 정보교류협력은 비정치적이면서도 장기적 관점에서 민족 동질성과 신뢰회복에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남북한 협력사업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 한국을 대비하여 단계적인 남북한 협력기반 조성을 위해 국가도서관을 매개로 한 남북 문화교류협력에 관한 방안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련하여 북한도서관의 기능과 한계 및 현재적 관점에서의 사회적 활용성을 살펴보고, 그간의 도서관교류협력사업을 남북한 문화분야 협력사업이라는 틀안에서 검토하였다. 이에 협력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 다섯 가지 협력안을 기반으로 남북 도서관교류협력의 단계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Non-ideological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scholarly and cultural field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project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gaining the national homogeneity and trust in the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sures on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through national libraries for the unified Korea. Related with that issue, this study analyzed function and limitation of national library in north Korea and evaluated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rame of cultural cooperation project. So, this study suggested the stepwise model of the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based on the five practical measures including the cooperation governance system.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