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publication, 검색결과: 26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독서의 달’ 프로그램의 주요 이용자 유형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7대도시 지역(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의 62개 표본 공공도서관으로부터 9월의 ‘독서의 달’ 프로그램 622개를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조사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법과 크리펜도르프(Krippendorff)의 신뢰계수 알파(α)를 사용하여 이들 프로그램을 지역별로 그리고 이용자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7대도시 각 지역별로 공공도서관이 선호하는 주요 이용자 유형의 순위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는 것과 모든 대도시지역의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중요한 이용자 유형은 어린이 또는 전연령층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in user types of the reading programs which are provided by sixty-two public libraries during September, “the Month of Reading,”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Seoul, Pusan, Daegu, Incheon, Daejeon, Gwangju and Ulsan. For the analysi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622 programs of “the Month of Read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and find meanings from it. The findings show, there are a little differences in the priority order of the main user types among the seven metropolitan cities, however, the children and all ages of the public libraries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are identified as the main user types of the libraries.

82
최재훈(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 신은주(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 서은경(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4, pp.123-145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123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은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오프라인 서비스의 대체재로 많은 양의 온라인콘텐츠를 생산하고 이용자에게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팬데믹 시기인 지금에도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콘텐츠의 전반적 관리현황을 분석하고, 관리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경기도 지역의 공공도서관 중 305개 도서관의 기관대표와 담당자에게 설문하여 온라인콘텐츠 생성, 서비스, 보존까지의 전반적 관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였고, 온라인콘텐츠 생산 및 관리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팬데믹 이후에도 공공도서관은 홍보 및 전달의 효율성을 가진 온라인콘텐츠를 생산하고 도서관 홈페이지와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활발히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서들은 공공도서관에서 생산된 온라인콘텐츠를 ‘도서관 자원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이 생산될 것임을 예측하였지만, 전문가적 역량의 부재와 업무부담으로 생산과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서들은 주요 온라인콘텐츠 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인지하고 있었다. 온라인콘텐츠는 공공도서관 서비스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고 있고, 온라인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관심과 노력이 공공도서관의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이다.

Abstract

During the COVID-19 period, public libraries produced and provided a variety of online contents to users as an alternative to offlin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verall management of online contents in public libraries in the post COVID-19 period and to provide a methodological basis for improving online contents management. This study surveyed the overall current state of online content management in 305 public libraries in terms of production, services, and preservation. We also analyzed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the online contents management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ven after the COVID-19 period, public libraries are efficiently producing and providing online contents and are actively providing this through the library website and social media. In addition, librarians recognized that online contents produced by public libraries are valuable as library resources and predicted that the online content would be produced more in the future. Also, they faced difficulties in production and management due to a lack of professional capabilities and extra workload, but they have recognized the high need for online contents management. Online contents is leading a paradigm shift in public library services. Therefore, attention and effort to activate online content is no longer an option but a necessity.

83
이혜윤(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4, Vol.31, No.1, pp.277-297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2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 즉 이용도, 관심도, 활용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교육문화프로그램 유형에 참여하는 이용자들이 이용성에 대한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프로그램 현황 및 설문 데이터를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참여하는 교육문화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도서관 이용방식, 자료대출횟수, 사이트 및 앱 접속횟수 등의 도서관 이용 패턴에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public library patrons’ library use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of such libraries.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 particular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 participants’ showed any consistent library use pattern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uch program offerings and the patron survey data resulted in the findings such as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w the patrons’ used the libraries, the number of library resources borrowed, and the frequency of library websites and/or mobile applications used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and also the types of programs that they attend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성과를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평가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성과 측정을 위해 서울 소재 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여러 프로그램 중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성과 측정 과정은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의 계획, 진행, 평가 등의 업무 과정 일체를 분석하여 로직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의거하여 예상되는 성과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KOLAS를 통해 회원정보, 서지정보, 대출정보 등을 수집하였고,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대한 데이터는 프로그램 진행 후 작성된 보고서에서 추출하였다. 측정 결과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원들의 대출빈도가 상승하였고, 프로그램의 주제에 따라 대출 장서의 주제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 프로그램이 갖는 효과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과평가가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타 프로그램 및 도서관 업무 등의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outcomes of a program provided by a public library using the evaluation framework based on Logic Model. A reading program for children which was operated by a public library in Seoul was selected. The outcome evaluation was started with the analysis of the reading program process including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sis, a logic model framework for outcome evaluation was developed. For evaluation, user, bibliography, and circu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library KOLAS system. Additionally, the participant information were extracted from the final report drafted after the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circulation of program participants wa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addition, the range of reading topic was expand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ading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for promoting children’s reading habit and that outcome evaluation might be a valid tool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program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가치측정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설계 시 필요한 지불수단이 가치금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CVM은 가상의 상황, 질문 유형, 지불 수단 등 다양한 세부적인 설계에 따라 측정값의 편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는데 특히, 지불수단은 해당 재화의 가치를 표현하는 메카니즘으로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세금, 기부금, 이용요금이라는 세 가지 유형의 지불수단으로 동일한 공공도서관의 이용가치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기부금은 개인이 월 14,542.3원을 지불할 의향을 보여 가장 높은 가치를 나타냈고 세금은 8,577.5원 지불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요금은 1회 방문에 1,612.7원을 지불할 의향이 있어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나 이를 월 단위로 할 경우 세금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Abstract

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 has been most widely used for 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However, there have been a debate on the validity of CVM in that many kind of biases could exist due to its hypothetical nature, the type of questions, payment vehicles and so on.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ublic library valu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yment vehicles to valuation using CVM. Three types of payment vehicle, tax, donation, fee were used to pay in hypothetical market. As a result, these payment vehicles estimated the different WTP and donation produced 14,542 won, which is the highest WTP.

86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 노영진(서울시 남산도서관) 2003, Vol.20, No.3, pp.261-276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261
초록보기
초록

시민의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해 현재 서울특별시립의 공공도서관에서는 디지털 자료실을 개실하여 인터넷과 DVD 위성방송 등 다양한 전자정보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컨텐츠들로 서비스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립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를 위해, S 도서관 전자정보실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여 디지털 자료실의 운영을 보다 체계화하여 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며, 궁극적으로 보다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여, 이용률을 높이고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Seoul City has been operating 17 public libraries to bridge the digital gap in the information society. Digital collection that has used recently, is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and information sources such as Internet. DVDs, satellite broadcasts and plan to offer service with more contents in the near future. In an attempt to facilitate the use of digital archives in public libraries in Seoul, this study thus applies marketing strategy to Electronic Information Center in the S Library and techniques can contribute a dynamic approach to total strategy development for library professionals that will ensure effective management and the achievement for their goal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 이용 중단자, 비이용자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대한 집단 간 인식수준의 차이를 파악하여 이용 중단자 집단과 비이용자 집단을 이용자 집단으로 유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문헌분석과 설문조사 결과의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 이용 중단자, 비이용자 집단 간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용 중단자와 비이용자의 공공도서관 인식에 대한 공통 요인, 비이용 요인 및 이용 중단 요인을 나누어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고려 사항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measures to turn former users and non-users of public libraries back into users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ser, former user and non-user group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to public librari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i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factors to non-use of public libraries. A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a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ser, former user and non-user group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to public libraries and the non-use factors. From the results, we could categorize the factors into common non-use factors, non-use-only factors, and use interrupt factors, and we develop suggestions to improve the factors in order to move non-users and former users to frequent users of the public libraries.

88
정대근(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2018, Vol.35, No.4, pp.51-75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평가 도구인 LibQUAL+를 활용하여 특화서비스를 제공여부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과 그렇지 않는 도서관 차이에 최소수준 및 인식수준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대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정도는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 그렇지 않는 도서관 보다 적정성 갭 및 우위성 갭에서 대부분 높은 이용자 인식을 나타내고 있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그렇지 않는 도서관 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users for the public libraries specialized service through the difference in library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specialized services by utilizing ‘LibQUAL+’ that is a service quality assessment tool. As a results, there is difference in the minimum and perceived levels between libraries that provide assessment result specialized services for service levels and those that did no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xpected level. The degree of service showed generally higher user perception in the Adequacy Gap and Superiority Gap than libraries that do not offer specialized services. Therefore, the users of public libraries recognize that libraries that offer specialized services are better served than libraries that do not.

89
Soo-Jin Park(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이명희(상명대학교) 2008, Vol.25, No.2, pp.99-114 https://doi.org/10.3743/KOSIM.2008.25.2.09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wareness of the privacy concerns in knowledge management in scholarly publications. As theoretical background, understandings of privacy and practices of knowledge management for privacy are discussed. Content analysis of scholarly publications which are limited to the period from 2000 to 2004 is used for examining the awareness.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not much scholarly discussion on the privacy concerns in knowledge management during the period. Reasons for the result are identified,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s. This study is expected not only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opic but also to bring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discussions of the topic.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content and public use patterns of social scientists’ informal communication activities. Using Twitter data, we identified Korean 736 social scientists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activities with the public, and analyzed 4,548 tweets that revealed their informal communication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informal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scientists and the public, which was not previously revealed in scholarly communication, and identified the types of informal communication activities, communication media, and collaborative sectors in detail.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