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한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Services through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8, v.35 no.4, pp.51-75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51
정대근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노영희 (건국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평가 도구인 LibQUAL+를 활용하여 특화서비스를 제공여부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과 그렇지 않는 도서관 차이에 최소수준 및 인식수준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대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정도는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 그렇지 않는 도서관 보다 적정성 갭 및 우위성 갭에서 대부분 높은 이용자 인식을 나타내고 있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그렇지 않는 도서관 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서비스품질평가, 라이브퀄, 공공도서관, 평가, 특화서비스, 이용자 인식, service quality evaluation, LibQUAL+, public library, specialized service, users’ perception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users for the public libraries specialized service through the difference in library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specialized services by utilizing ‘LibQUAL+’ that is a service quality assessment tool. As a results, there is difference in the minimum and perceived levels between libraries that provide assessment result specialized services for service levels and those that did no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xpected level. The degree of service showed generally higher user perception in the Adequacy Gap and Superiority Gap than libraries that do not offer specialized services. Therefore, the users of public libraries recognize that libraries that offer specialized services are better served than libraries that do not.

keywords
서비스품질평가, 라이브퀄, 공공도서관, 평가, 특화서비스, 이용자 인식, service quality evaluation, LibQUAL+, public library, specialized service, users’ perception

참고문헌

1.

김동숙. (2006). 라이브퀄 플러스(LibQUAL+)를 적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

2.

김보일. (2017).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1), 319-344. http://dx.doi.org/10.16981/kliss.48.1.201703.319.

3.

김소연. (2011). 라이브퀄 플러스(LibQUAL+)를 이용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4.

김영순. (2012). LibQUAL+를 적용한 국회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5.

김지원. (2009). 학교도서관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6.

나은영. (2011). 법률도서관 서비스 품질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7.

노영희. (2014). 공공도서관에서의 향토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67-93. http://dx.doi.org/10.16981/kliss.45.4.201412.67.

8.

노영희. (2017). 도서관의 특성화 정책과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241-271.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3.241.

9.

류주현. (2012).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재 민간위탁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271-294.

10.

박미영. (2007).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315-339. http://dx.doi.org/10.16981/kliss.38.1.200703.315.

11.

박정순. (2003).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운영방안. 인천광역시북구도서관.

12.

박정아. (201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효율성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13.

박현주. (2012). 공공도서관 장서특성화 사례 연구 (29-47).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동계 학술발표회.

14.

반달림. (2015).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자료 운영에 관한 연구 (171-181).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

15.

성은혜. (2015). LibQUAL+를 적용한 어린이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4), 29-53.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4.029.

16.

송경곤. (2008). 대학도서관 행정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17.

심원식. (2013). LibQUAL+를 활용한 국내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 사례 조사. 정보관리학회지, 30(2), 245-268.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2.245.

18.

이미정. (2012). 신학대학원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19.

이수상. (2007). 중국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포털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113-134.

20.

이수영. (2017).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서비스 품질분석에 관한 연구.

21.

이은규. (2006).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아주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22.

조찬식. (2008).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159-178.

23.

차연호. (2005). 공공도서관 서비스 특성화에 관한 연구.

24.

최보윤. (2015). LibQUAL+의 통시적 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3), 131-154.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3.131.

25.

홍희경. (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 6개 지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26.

황은영. (2008).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 차원의 구성에 관한 연구.

27.

Cook, C.. (2001). Users'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 quality: A LibQUAL+qualitative study. Library Trends, 49(4), 548-584.

28.

Cook, C.. (200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RVQUAL scores used to evaluate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 qualit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6(4), 248-258.

29.

Cook, C.. (2001). Users’ hierarchical perspectives on library service quality: A “LibQUAL+” stud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62(2), 147-153.

30.

Cook, C.. (2003). “Zones of Tolerance” in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 quality: A LibQUAL+ study. Libraries and the Academy, 3(1), 113-123.

31.

Hébert, F.. (1993). Quality of interlibrary borrowing services in large public libraries in Canada.

32.

Heinrichs, J. H.. (2005). Relative influence of the LibQUAL+™ dimensions on satisfaction: a subgroup analysi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66(3), 248-265.

33.

Nitecki, D. A.. (2000). Measuring service quality at yale university's librarie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6(4), 259-273.

34.

Thompson, B.. (2007). On-premises library versus google-like information gateway usage patterns: a LibQUAL+® study. Libraries and the Academy, 7(4), 463-480.

35.

White, M. D.. (1995). Measuring quality in special libraries: Lessons from service marketing. Special libraries, 86(1), 36-45.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