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publication, 검색결과: 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트위터 이용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도서관 정보서비스 환경에서 트위터 이용의 구체적인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트위터 이용이 활발한 14개 공공도서관 계정으로부터 3,038개의 트윗 데이터를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귀납적 방식으로 코딩 체계를 수립하였으며, 오픈 코딩 방식을 통해 공공도서관 트윗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도서관별로 활성화된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대응일치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트위터 이용에 관한 상위 범주 3개와 9개의 하위 범주, 37개의 세부 항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분석 결과는 향후 트위터 이용을 계획하는 도서관에게 참고자료로 제시될 수 있으리라 본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Twitter use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detailed patterns of Twitter us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3,038 tweet data from the top 14 public libraries’ accounts on Twitter use. Inductive approach was adopted to develop a coding scheme and open coding was conducted with the entire tweet. Additionally,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to identify how library accounts correspond to specific types. As a result, 3 main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of public libraries’ Twitter use were developed. And the 37 detailed patterns of public libraries’ use of Twitter were identified. The identified patterns can provide the libraries interested in Twitter use with guidelin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차적으로 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연구한 60여 개의 국내․외 논문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예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예비 평가지표를 토대로 11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최종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최종평가지표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크게 지역 사회 개발, 지역 사회의 연계,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지역 주민의 평등화,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제공서비스 등의 5가지 평가영역과, 13개 평가항목, 64개 평가지표로 구성된다. 향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and, for this, first of all,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by analyzing comprehensively about 60 domestic and overseas papers which researched on the value of libraries. On the basis of the derived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11 experts were selected and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conducting Delphi survey three times.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are composed of five evaluation areas, which are the divided areas of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he linkage of local communities, the improvement of local residents’ life quality, the equaliz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information service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13 evaluation items, and 64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it seems that researches to measure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based on this will have to be conducted.

3
박서현(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7, Vol.34, No.2, pp.115-135 https://doi.org/10.3743/KOSIM.2017.34.2.115
초록보기
초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많은 영리 및 비영리 기관들에게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간의 관계는 해당 기관에 대한 인식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수혜자에게 인식되는 혜택을 관계 혜택이라고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관계 혜택을 인식하는지, 관계 혜택 인식이 도서관 신뢰 및 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관계 혜택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관계 혜택은 도서관 신뢰와 도서관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도서관 사서와 이용자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앞으로 이용자들이 사서와의 관계 형성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Many for-profit and not-for-profit organizations’ service provider can affect customers’ perceptions of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s and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al benefits in librarie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benefits and library trust and perception using a questionnaire. As a result, public library customers realize relational benefits with librarians. And these relational benefits affect library trust and perce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in libraries for the first tim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ositive perceptions of customer-librarian relations.

4
홍소람(전남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2017, Vol.34, No.3, pp.125-150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1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기록정보 리터러시의 대상과 범주를 공문서 리터러시와 연결시키고 리터러시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증명하여 기록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공공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문헌연구 및 공문서 리터러시를 가진 공무원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문서 리터러시를 가진 집단인 공무원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대부분 인식값(현실 반영 정도) 및 기댓값(중요도)이 높았다. 둘째, 모든 요인에서 인식값(현실 반영 정도)보다 기댓값(중요도)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요인 간 상관분석 결과 모든 상관값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표본에서는 ‘공무원으로서의 소통’과 ‘분석적 개념’(0.626) 간의 상관관계가, 대학생 표본에서는 ‘시민으로서의 소통’과 ‘분석적 개념’(0.561) 간의 상관관계가, 응답자 전체로는 ‘시민으로서의 소통’과 ‘분석적 개념’(0.563)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문서 리터러시를 가진 집단일수록 공문서 리터러시와 기록정보 리터러시의 동질성을 보다 명확히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extending the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of records to the public area. For the purpose, the study links the target and scope of archival literacy with official document literacy and prov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archival literacy and official public literacy. The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comparing public officers and undergraduates a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 public officers with official document literacy showed higher the degree of actual use and awareness than undergraduates; awareness was higher than the degree of actual use in all questions and factors; all correla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public officers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s public officers’ and ‘analytical concepts’ (0.626) was the highest, In the undergraduates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s the public’ and ‘analytical concepts’ (0.561) was the highest, As a whole, the respondents show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s the public’ and ‘analytical concepts’ (0.563); As a result, the group with official document literacy is more aware of the homogeneity between official document literacy and archival literacy.

5
민윤경(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 차미경(이화여자대학교) 2017, Vol.34, No.1, pp.155-176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1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연구기금으로 생산된 논문성과물에 대한 공중의 접근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외 주요학술지의 오픈액세스 관련 정책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의 선정을 위하여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논문의 국내외 등록현황, 원문연계 비중, 기금지원기관별 논문성과물 현황과 게재 학술지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공연구기금 논문성과물의 게재 건수가 높은 국내외 18종의 학술지를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오픈액세스 관련 정책의 성문화 및 공시, 저작권 귀속주체, 재사용 권리, 셀프 아카이빙 정책, 무료접근 등의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차원에서 공공연구기금 논문성과물의 수집 유통 정책 수립에 참고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open access policies of major scholarly journals that have large number of publicly funded articles, for the purposes of expanding and facilitating the public access. Eighteen scholarly journals in Korea and abroad were selected based on the number of published publicly funded articles through a survey of dissemination of publicly funded journal articles via information from NTIS. The open access policies of the selected journals were analyzed by 5 categories including codification of OA related policy, copyrights, reuse rights, self archiving policy, free access. As a result, this research proposed several considerations for establishing national policies for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publicly funded research produc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해 문헌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3, 4학년을 이용자교육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용자교육 내용으로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도출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에 적용할 학습모형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교육 참여와 교수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모형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해 먼저 구성주의 학습환경 모형을 분석하고 이용자교육에 적용하여 이용자교육 학습환경과 교수활동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유용성과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에서 제안된 사항을 반영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lesson plan of public library user education for children for the activation of use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 elementary school 3rd and 4th graders were selected as user education subject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orientation were derived as contents of user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lesson plan that applies Jonassen’s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to specifically design the librarian’s role as teacher in user education with voluntary and subjective education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Lesson plan was evaluated in terms of usefulness and appropriatenes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user behavior of the theme display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s an active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wanted to study the library patrons’ library 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and eight patrons to develop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nd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232 patrons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theme display helped the patrons’ wider use of the library resources and also positively affected patrons’ perception on the librarians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findings, we recommended the active incorporation of the theme display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libraries’ facility and patrons’ interes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저작권법의 도서관 예외규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내 규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일본, 영국, 호주, 미국의 저작권법에서 도서관 예외규정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를 위한 복제물 제공, 보존을 위한 복제, 상호대차를 위한 복제, 도서관자료의 디지털화를 위한 복제 등이 대표적인 예외규정이었으나 그 세부 조건은 국가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도서관 예외규정에서 미공표저작물 및 구하기 힘든 저작물과 정기간행물에 대한 이용자용 복제의 분량 재조정, 제한된 조건하에서 이용자에게 디지털 복제물을 전송, 자체 보존용 복제가 가능한 조건 마련, 상호대차 근거규정 마련, 디지털화 대상범위 제한과 이용범위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visions for library exceptions in copyright law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provision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rovisions for library exceptions in several countries’ copyright law including Korea, Japan, UK, Australia and USA.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common issues in library exception provisions are providing reproduction for users, reproduction for preservation, reproduction for interlibrary loan and digitization of library collections but the conditions for each issue are quite different. The sugges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library exceptions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are as follows: changing the amount of reproduction of unpublished works, of works which cannot be obtained at a fair price and of periodicals for users, the transmitting digital reproduction to the user under limited conditions, preparing conditions for reproduction for preservation in libraries, preparing the applicable provisions for reproductions for interlibrary loans and for the limitation of works to be digitized and extending their use at the same time.

9
김순(이화여자대학교) ; 이보람(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김환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혜선(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7, Vol.34, No.3, pp.229-24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229
초록보기
초록

공공연구 성과물(출판물 및 데이터)을 디지털 포맷으로 공개하여 이들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오픈 사이언스 프로젝트가 국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오픈 사이언스의 주요 특징인 공개 연구, 오픈 액세스, 연구데이터 공유, 공개적인 동료 평가, 투명한 연구 성과 평가에 맞추어 연구자 중심의 다양한 연구지원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대비하여 해외의 과학기술정보 서비스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 국내 활용현황을 조사하였다. 국외의 적극적인 오픈 사이언스 대응현황에 비해 국내에서는 오픈 액세스나 기관 리포지터리 정도만 준비가 되어 있고, 연구데이터 관리나 협력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준비가 미비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정보서비스 기관에서도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대비하여 해외 우수 사례들을 충분히 고찰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연구지원 서비스 정책과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Open science project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globally. Publishing the results of public research (publications and data) in digital format and enhancing access to these materials are getting more important. Various research support tools are being used to support open research, open access, open data, open peer review and ope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We analyzed research support services to prepare open science movement in Korea. Korea is not ready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research collaboration except open access and institutional repositories. It can be seen as an urgent matter to analyze these international open science research support services carefully and reflect them in research support policy and service guideline.

10
강보라(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희섭(경북대학교) 2017, Vol.34, No.3, pp.49-66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digital libraries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78 author-assigned English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272 major LIS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during last ten years-period, i.e., 2007-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V.4 to discover thei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s the results,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and ‘E Book’ showed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research topics, and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and ‘E Resource’ were the most influencing research topics. Finally,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and ‘Librarian’ seemed the most widely intervening research topics in this research.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