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Use of School Libraries and Effects of Library Programs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7, v.34 no.3, pp.23-48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2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study goals are establishing a library management plan for the school for the blind in Korea and also developing a structured library program, which reflected the patron’s perception. We surveyed the students in three schools for the blin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and usage statistics of the libraries. The analysis of the survey led to a school library program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type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framework, we designed te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the schools by consulting respective school’s teachers. We administered the second survey after the classes, and we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increases in the frequency of library use, a number of books read, perception about the libraries, amount of information used, and self-directed learning willingness.

keywords
도서관 프로그램, 시각장애인학교, 정보활용교육, 정보소외계층, library programs, school for the blind, information literary education, information poor

Reference

1.

강경의. (2004). 교사의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 대한 연구.

2.

경신고등학교. (2002). 도서관 활용 수업을 통한 자기주도적 교수·학습방법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

3.

곽선희. (2010). 초등학교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4.

(2016).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http://www.nlcy.go.kr/menu/14400/contents/20031/view.do.

5.

국립장애인도서관. (2012). 지체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모델 개발. 국립중앙도서관.

6.

김경. (2013).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안정과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17(3), 95-128.

7.

김아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8.

김진영. (2014).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4(4), 249-275. http://dx.doi.org/10.15707/disem.2014.24.4.011.

9.

송기호. (2006). 대학도서관 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59-75.

10.

송기호. (2009). 중학교도서관 프로그램에 나타난 파트너십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363-384.

11.

송기호. (2013).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전개 방향과 활성화 전략.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49-69.

12.

이달엽. (1999). 여성장애인의 정보접근실태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재활재단논문집, 8, 3-24.

13.

이만수. (2009). 독서교육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행사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385-404.

14.

이순영. (2012). 중등 학교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현황 분석 연구. 독서연구, (28), 290-318.

15.

이은진. (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16.

임성관. (2014). 경기 지역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21-44.

17.

장윤금. (2006). 학교도서관의 독서지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27-46.

18.

정세영. (2014). Holland 진로유형을 기반으로 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사고개발, 10(1), 21-41.

19.

정연경. (2002). 미국의 초등학교 도서관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 텍사스 주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20.

20.

최나야. (2013). 그림책과 이야기 구조도식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의 효과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문해능력과 도서 대출 빈도의 변화 및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177-207.

21.

최연미. (2005). 미국 학교도서관의 독서 흥미유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233-253.

22.

하옥선. (2002). 수준별 독서 활동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23.

(20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www.kice.re.kr/.

24.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위기청소년 사회진출 지원을 위한 두드림존 프로그램 특성화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한금실. (2011).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6.

Taylor, J.. (2006).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Libraries Unlimited.

27.

Karen M Taylor.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http://dx.doi.org/10.1016/0001-8791(83)90006-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