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역신(疫神)의 정체와 신라<처용가>의 의미 고찰

The Study about Original Form of Small Pox Goddess & the Meaning of Silla <Cheoyong-ga>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2, pp.127-152
https://doi.org/10.25024/ksq.34.2.201106.127
황병익 (경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기이(紀異)」 ‘처용랑(處容郞) 망해사(望海寺)’ 조의 “처용의 처는 매우 아름다웠는데, 역신(疫神)이 그녀를 흠모하여 딴 사람이 없는 밤을 틈타 그 집에 와서 몰래 그녀의 잠자리에 머물렀다. 처용은 그 모습을 보고 물러나 노래(신라 <처용가>)를 부르며 춤을 추었다”는 기록을 두고 그동안 체념이나 관용, 항거와 위협, 해탈과 보시, 축제와 향연 등 참으로 다양한 해석이 있었다. 채옹(蔡邕)의 『독단(獨斷)』 등의 문헌에 따르면, ‘역신’은 상징적 의미가 아니라, 손님·마마·천연두로도 불리는 ‘두창(痘瘡)’을 일컫는다. 『오주연문장전산고』(“포창(疱瘡)을 앓는 세 소년에게 각각 노부(老夫)·부녀(婦女)·승도(僧徒) 귀신이 붙어 있었는데, 사람들이 누구인지 몰라 그 이름을 묻자 붙어 있던 역신이 “우리는 역신의 무리로 포창의 병을 맡았는데, 우리도 이 병을 앓다가 죽어서 역신이 되었다” 하였다) 등에 역신을 눈에 보이는 것처럼 묘사한 예가 보인다. 중세시대에는 역신이 두창을 퍼뜨린다고 믿었으며 이를 극진히 대접하지 않으면 가족을 몰살하는 등 치명적인 복수를 한다고 여겼다. 처용이 역신을 공격하지 않고 물러나 춤을 춘 것은 이와 같은 질병 인식에 따른 것이니 ‘외기(畏忌)’, ‘외신(畏愼)’, ‘기휘(忌諱)’ 등의 단어가 가장 합당하다. 그러므로 신라 <처용가> 7·8구의 “본디 내 것이지만/빼앗긴 걸 어찌 하리오”는 역신의 경계심을 늦추어 병마가 피해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한 과잉접대의 언술이다.

keywords
역신(疫神, the goddess of smallpox), 두창(smallpox), 범간(犯姦, violation), 질병(disease), 외기(畏忌, afraid and abstain), 과잉접대(superfluous treated), 처용무(cheoyong' dancing), 오신(娛神, banquet for ghost), 자연의 순리(the laws of nature)


참고문헌

1

國語 周語 下, 論衡 , 大東野乘 , 陶隱集 , 獨斷 , 牧民心書 , 黙齋日記 三國遺事 , 石潭日記 下, 星湖僿說 , 養兒錄 , 於于野談 , 麗韓十家文鈔 , 역주 諺解痘瘡集要 , 禮記 第4 檀弓, 禮記 第19 樂記, 五洲衍文長箋散稿 , 栗谷集 雜著, 醫說 , 益齋亂藁 , 莊子 , 조선왕조실록 , 周易 繫辭 上, 稗官雜記 , 韓國口碑文學大系 7 2 慶州 月城, 韓國巫歌集 .

2

김경수 외, 처용은 누구인가 . 역락, 2005.

3

김동일 외, 동의학사전 .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여강출판사, 1989.

4

金東旭, 「處容歌 硏究」. 韓國歌謠의 硏究 , 乙酉文化社, 1961.

5

金東旭·黃浿江·金慶洙 編, 處容硏究論叢 . 蔚山文化院, 1989.

6

金斗南, 「痘瘡장승考 朝鮮時代의 痘瘡對策과 장승」. 한국민속학 14, 한국민속학회, 1981, 59 93쪽.

7

김승찬, 신라향가론 .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8

김승찬, 「處容說話와 그 歌謠의 硏究」. 處容硏究全集 Ⅱ 문학1, 역락, 2005.

9

金烈圭·申東旭·李相澤 編, 「處容說話의 綜合的 考察」. 國文學論文選 1 鄕歌硏究 , 民衆書舘, 1977.

10

金鍾雨, 鄕歌文學硏究 . 二友出版社, 1983.

11

金鎭英, 「處容의 정체」. 韓國文學史의 爭點 . 集文堂, 1986.

12

김학성, 「<처용가>와 관련 설화의 생성기반과 의미」.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 집문당, 1997.

13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東洋醫學大事典 3.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14

민긍기, 「처용가의 생성적 의미에 관한 일고찰」. 고전문학연구 8, 한국고전문학회, 1993, 95 110쪽.

15

박노준, 향가 여요의 정서와 변용 . 태학사, 2001.

16

박인희, 「處容의 實體와 <處容歌>」. 處容硏究全集 Ⅳ 종합, 역락, 2005.

17

朴瀅雨, 濟衆院 . 몸과 마음, 2002.

18

徐大錫, 「處容歌의 巫俗的 考察」. 韓國學論集 2, 啓明大學校 韓國學硏究所, 1975, 265 285쪽.

19

안태욱, 「處容說話의 佛敎的 硏究」. 處容硏究全集 Ⅱ 문학1, 역락, 2005.

20

梁柱東, 訂補版 古歌硏究 . 博文書舘, 1960.

21

梁柱東, 「古歌箋 箚疑」. 國學硏究論攷 , 乙酉文化社, 1962.

22

楊熙喆, 삼국유사 향가연구 . 태학사, 1997.

23

오명돈, 「바이러스 질환 두창(천연두)」. 감염학 , 대한감염학회, 2007.

24

李基文, 國語史槪說 . 民衆書舘, 1961.

25

이능화, 조선무속고 . 동문선, 1991.

26

이승남, 「<처용가>의 시적 정서와 서사물의 구조」. 處容硏究全集 Ⅱ 문학2, 역락, 2005.

27

李英澤, 「우리나라 痘瘡에 대한 醫史學的 硏究 우리나라 史書 및 古典醫書를 중심으로」. 中央醫學 38:5, 중앙의학, 1980, 275 284쪽.

28

이완형, 「‘處容郞 望海寺’ 조의 서사적 이해와 처용가의 기능」. 處容硏究全集 Ⅱ 문학2, 역락, 2005.

29

李佑成 外, 「韓國學 方法論의 檢討를 위한 제1회 學術 심포지엄 處容說話의 綜合的 考察」. 大東文化硏究 別輯Ⅰ,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72.

30

임재해, 「처용 담론에 나타난 사회적 모순과 굿 문화의 변혁성」, 배달말 24, 배달말학회, 1999, 189 238쪽.

31

전종휘, 「전날의 마마(痘瘡)와 그 예방」. 醫史學 2권 2호, 大韓醫史學會, 1993, 122 125쪽.

32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보존회, 처용무보 . 민속원, 2008.

33

처용연구전집 간행 위원회 김경수 외, 處容硏究全集 Ⅱ 문학1 / 處容硏究全集 Ⅱ 문학2 / 處容硏究全集 Ⅲ 민속 / 處容硏究全集 Ⅳ 종합. 역락, 2005.

34

村山智順 저, 金禧慶 역, 朝鮮의 鬼神 . 東文選, 1990.

35

崔美汀, 「處容의 文學傳承的 本質」. 冠岳語文硏究 5,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0, 159 189쪽.

36

최용수, 「<처용가>에 대하여」. 處容硏究全集 Ⅱ 문학1, 역락, 2005.

37

최재남, 「<처용가>의 성격」.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2.

38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39

玄容駿, 巫俗神話와 文獻神話 . 집문당, 1992.

40

洪基元, 「痘瘡의 疫學 및 臨床」. 대한의학협회지 8권 3호, 대한의학협회, 1965, 29 33쪽.

41

洪在烋, 「處容郞 望海寺 說話의 校訂字辨正 處容郞 夫妻의 寬容, 不貞說 辨正을 爲한 註釋的考究」. 女性問題硏究 8, 효성여대 부설 한국여성문제연구소, 1979, 85 106쪽.

42

황경숙·배성한, 「음양오행으로 본 처용무의 구성 원리」.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7권 3호, 한국체육철학회, 2009, 199 211쪽.

43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 일지사, 2001.

44

H. G. 언더우드 저, 李光麟 譯, 韓國改新敎受容史 . 일조각, 1989.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