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두 개의 김연실전을 둘러싼 신여성 김명순의 존재방식

Two Biography of Kim Yeon Sil and the Life of New Woman Kim Myeong Su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6, v.39 no.4, pp.183-207
https://doi.org/10.25024/ksq.39.4.201612.183
이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에서는 근대 최초의 여성 작가 김명순(金明淳, 1896‒1951)을 모델로 해서 쓴 두 개의 김연실전에 대해 여성주의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39년 김동인이 쓴 <김연실전>과 2002년 정이현이 발표한 <이십세기 모단걸: 신김연실전>을 비교하면서 두 소설이 모델로 삼은 신여성 김명순의 실제적 존재방식이 교차하는 지점을 드러냄으로써, 신여성을 둘러싼 시각 권력과 젠더적 수행성의 의미를 함께 살펴보았다. 김명순은 최초의 여성 작가이자 선구적 신여성이었으나, 당대 신여성 중에서 가장 나쁜 여자라는 사회적 낙인이 찍힌 인물로 이름이 남아 있다. 이러한 이미지와 표상은 새로운 여성의 등장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면서 젠더적 특수성을 본질화하려는 가부장적 문화 생산자들이 만들어서 유포한 것이었다. 1939년에 발표된 김동인의 <김연실전>은 김명순을 타자화하는 정점에 있던 작품이었다. 이에 비해 정이현은 같은 비슷한 서사구조와 소재를 통해 주인공의 입장에서 가부장의 시선을 되받아쳤으며, 소설 속에서 박제되어 있던 김연실의 삶과 운명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복원하고자 하였음에 주목하였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두 개의 김연실전이라는 시각 권력에 조응하는 여성 주체로서 김명순이 만들어낸 젠더적 수행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keywords
김연실전(Biography of Kim Yeon Sil), 신김연실전(New biography of Kim Yeon Sil), 김명순(Kim Myeong Sun), 나쁜 여자(bad woman), 김동인(Kim Dong In), 정이현(Jeong Yi Hyeon), 시각 권력(visual power), 젠더적 수행성(gender performativity)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wo biographies of Kim Yeon Sil using the first modern female writer, Kim Myeong Sun(金明淳, 1896‒1951) as a model in the view of gender theory. Concretely while comparing two novels <Biography of Kim Yeon Sil> written by Kim Dong In in 1939, <Modern girl in the 20th century, new biography of Kim Yeon Sil> announced by Jeong Yi Hyeon in 2002, we researched the meaning of visual power inherent in the language and social view on modern girl by revealing the point in which the practical way of being of modern girl Kim Myeong Sun is crossed. Kim Myeong Sun was the first female writer, a innovative modern girl but she was branded as the worst woman among modern girls at that time. This image and symbol has been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patriarchal culture producers who intended to essentialize the gender specific characteristics while having the emergence of modern girl.<Biography of Kim Yeon Sil> written by Kim Dong In in 1939 was the novel at the peak to otherize Kim Myeong Sun while Jeong Yi Hyeon lashed back the patriarchal view in the position of main character through the similar narrative structure and material, it focused on the restoration of life and destiny of Kim Yeon Sil stuffed in the novel. And this study tried to reveal Kim Myeong Sun’s gender performativity as female subject corresponded to visual power of two biographies of Kim Yeon Sil.

keywords
김연실전(Biography of Kim Yeon Sil), 신김연실전(New biography of Kim Yeon Sil), 김명순(Kim Myeong Sun), 나쁜 여자(bad woman), 김동인(Kim Dong In), 정이현(Jeong Yi Hyeon), 시각 권력(visual power), 젠더적 수행성(gender performativity)


참고문헌

1

『 開闢』 ,

2

『 文章』 ,

3

『 新東亞』 ,

4

『 新女性』

5

《東亞日報》

6

김경애, 「근대 최초의 여성 작가 김명순의 자아 정체성」. 『 한국사상사학』 제39권, 2011a.

7

김경애 , 「성폭력 피해자/생존자로서의 근대 최초 여성 작가 김명순」. 『 여성과역사』 제14권, 2011b.

8

김별아, 『 탄실』 . 해냄, 2016.

9

김수진, 『 신여성, 근대의 과잉: 식민지 조선의 신여성 담론과 젠더정치, 1920‒1934』 . 소명출판, 2009.

10

레이 초우 지음, 정재서 옮김, 『 원시적 열정』 . 이산, 2004.

11

록산 게이 지음, 노지양 옮김, 『 나쁜 페미니스트』 . 사이행성, 2016.

12

서정자·남은혜 편, 『 한국 근대 최초의 여성 작가 김명순 문학전집』 . 푸른사상, 2010.

13

안혜련, 『 페미니즘의 거울』 . 인간사랑, 2001.

14

엄미옥, 「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의미 연구: ‘약한 자의 슬픔’, ‘마음이 옅은者여’, ‘김연실전’을 중심으로」. 『 시학과언어학』 제10권, 2005.

15

연구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연구팀 편, 『 매체로 본 근대 여성 풍속사 新女性』 . 한겨레신문사, 2005.

16

장병호, 「근대소설에 나타난 신여성상 고찰: ‘김연실전’, ‘제야’를 중심으로」. 『 청람어문학』 제9권 제1호, 1993.

17

정순진, 「남성 작가가 서술하는 여성의 운명: 김동인의 경우」. 『 성평등연구』 제8권, 2004.

18

정이현, 『 정이현 소설집: 낭만적 사랑과 사회』 . 문학과지성사, 2003.

19

J. 잭 핼버스탬 지음, 이화여대 여성학과 퀴어·LGBT 번역모임 옮김, 『 가가 페미니즘: 섹스, 젠더 그리고 정상성의 종말』 . 이매진, 2014.

20

주디스 버틀러 지음, 조현준 옮김, 『 젠더 트러블』 . 문학동네, 2008.

21

채진홍, 「‘김연실전’ 연구」. 『 한국언어문학』 제49권, 2002.

22

최명표, 「소문으로 구성된 김명순의 삶과 문학」. 『 현대문학이론연구』 제30권, 2007.

23

최윤정, 「김명순 문학연구」. 『 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60권, 2013.

24

최혜실, 『 신여성들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 ㈜생각의나무, 2000.

25

태혜숙 외, 『 한국의 식민지근대와 여성 공간』 . 도서출판 여이연, 2004.

26

한지희, 『 우리시대 대중문화와 소녀의 계보학』 . 경상대학교출판부, 2015.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