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GuSuRyak, Joseon Dynasty’ Math Book Consisting of Song Dynasty’ Do Seo Xiang Shu: The Horizon of Mathematical Humanitie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1, pp.105-132
https://doi.org/10.25024/ksq.40.1.201703.105
cho-hie-you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주역』의 역수는 천리를 담은 수로 동아시아 수학의 원류라 할 수 있고 그 근원은 「계사전」에 언급된 <하도낙서>이다. <하도낙서>는 그 출처와 기능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송대 상수학에서는 『역경』의 기원이며 역학적 인문학의 산실이자 동아시아 율력(律曆)의 1차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조선조 역학은 송역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최석정도 예외가 아니다. 이 글은 최석정의 『구수략』이 송대 도서상수학인 소강절 역학뿐만 아니라 <하도낙서>와 「역전」, 채침의 수론에서도 영향을 받았고 특히 『구수략』 정편에 나오는 ‘하락도(마방진)’는 채침의 수론과 <하도낙서>에 기반을 둔 것임을 밝힌 것이다. 이를 통해 이 글에서는 두 가지를 이루려고 한다. 하나는 기존 연구자들이 『구수략』의 역학 부분에 가졌던 관점을 시정, 보완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최석정의 수학에서 인문학적인 요소를 끄집어내어 수학 및 역학과 인문학과의 연관성(간학성)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논의과정에서 기존 연구에서 누락된 하락변도의 심층적 의미 분석을 어느 정도 이루었고 채침 수론과의 관련성이 새롭게 드러나 종전 연구의 문제점이 시정 보완되고 인문학과의 관련성도 엿볼 수 있게 된 것이 이 글의 소득이다. 이를 통해 『구수략』은 송대 도서상수학에 기반을 둔 조선의 수학서임이 확인되었다.

keywords
구수략, 최석정, 하도낙서, 역전, 소강절, 채침, GuSuRyak, Choi Seok‒jung, he tu luo shū, yi zhuan, Shao Yung, Cai Shen


Reference

1

최석정, 『九數略』. 규장각.

2

『성리대전』 3권. 학민문화사, 1989(『황극경세서』, 『역학계몽』, 『율려신서』, 『홍범황극내편』).

3

『주역』,

4

『서경』,

5

『춘추좌전』,

6

『논어』,

7

『맹자』,

8

『중용장구』,

9

『주례』,

10

『주역본의』,

11

『宋元學案』.

12

고회민 저, 곽신환 역, 『소강절의 선천역학』. 예문서원, 2011.

13

김용운, 『한국수학사 논문집』. 한국학술정보(주), 2001.

14

김용운·김용국, 『한국수학사』. 살림, 2009.

15

이창일, 『소강절의 철학』. 심산, 2007.

16

장혜원, 『수학 박물관: 조선 최고의 수학자들이 빚어낸 수의 세계』. BM성안당, 2010.

17

최석정 저, 정해남·허민 역, 『구수략』(건, 곤). 교우사, 2006.

18

江愼修(淸) 著, 孫國中 校理, 『河洛精蘊』. 北京: 學園出版社, 2007.

19

張其成, 『象數易學』. 北京: 中國書店, 2007.

20

朱伯崑, 『易學哲學史』 2권. 北京: 崑崙出版社, 2005.

21

고영미·이상욱, 「朝鮮 算學의 흐름」. 『한국수학사학회지』 제22권 제3호, 한국수학사학회, 2009, 61‒78쪽.

22

구만옥, 「조선전기의 산학 정책과 교육」. 『人文學硏究』 제11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7, 81‒114쪽.

23

구만옥, 「마테오 리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韓國實學硏究』 제20호, 民昌社, 2010, 301‒355쪽.

24

김성숙·강미경,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 『한국수학사학회지』 제23권 제3호, 한국수학사학회, 2010, 21‒31쪽.

25

김연재, 「『洪範皇極內篇』에 나타난 채침의 수본론과 그 세계관」. 『유교사상연구』 제42집, 한국유교학회, 2010, 35‒80쪽.

26

김용운, 「최석정의 마법진」. 『한양대논문집』 제8집, 1974, 437‒451쪽.

27

김용운, 「九數略 解題」. 한국과학사학회편, 『九數略』,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1983, 5‒13쪽.

28

송홍엽,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의 오일러방진」. 『한국통신학회지』 제30권 제10호, 한국통신학회, 2013, 101‒108쪽.

29

오영숙, 「조선후기 算學의 一面: 崔錫鼎의 算 ‘읽기’」. 『韓國實學硏究』 24호, 民昌社, 2012, 329‒366쪽.

30

이광연, 「수학의 뿌리는 인문학이다」. Science Times(인터넷 뉴스), 2014. 8. 29.(기획연재).

31

전영주, 「周易에 나타난 中國古代의 數理思想」. 『한국수학사학회지』 제23권 제2호, 한국수학사학회, 2010, 75‒87쪽.

32

정해남, 「수학철학적 관점에서 본 『구수략』」. 『한국수학사학회지』 제22권 제4호, 한국수학사학회, 2009, 67‒82쪽.

33

정해남, 「소강절의 수론 사상과 『구수략』에 미친 영향」. 『한국수학사학회지』 제23권 제4호, 한국수학사학회, 2010, 1‒15쪽.

34

조희영, 「소강절 역수론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철학논총』 제81집, 새한철학회, 2015a, 260‒280쪽.

35

조희영, 「주역에 내재된 理數의 함의」. 『韓國思想과 文化』 제77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b, 305‒330쪽.

36

조희영, 「송대 역학과 율도량형의 맞물림」. 『철학논집』 제44집,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a, 351‒380쪽.

37

조희영, 「수학적 인문학 관점으로 본 채침의 상수사상」. 『대동문화연구』 제96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b, 163‒188쪽.

38

조희영, 「조선 도서학의 효시: 권근의 『입학도설』」. 『민족문화연구』 제72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c, 203‒234쪽.

39

홍영희, 「조선산학과 수리정온」. 『한국수학사학회지』 제19권 제2호, 한국수학사학회, 2006, 25‒46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