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이근영의 해방 전 농민소설 연구 -근대인의 불안과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e Keun Young’s Peasant Novel written in Pre‒Liberation in Korea: Focused on the Anxieties of Modern People and the Communalit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1, pp.159-190
https://doi.org/10.25024/ksq.40.1.201703.159
엄숙희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이근영의 소설에서 불안한 근대인들이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공동체성을 발현하는 양상을 고찰해봄으로써 근대인들에게 공동체와 공동체성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혀보는 데 있다. 근대 초기는 공동체적 삶으로부터 단자화된 삶으로의 본격적인 이행기였다. 농촌의 마을 공동체를 배경으로 하는 이근영의 소설에는 근대 공간에 피투된 존재들의 불안과 그 속에서 삶을 영위해나가려는 구성원들의 기투 양상이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다. 이근영의 소설은 오랫동안 유대로 묶여 있던 마을 공동체가 와해되어가는 정황이 씁쓸하게 그려지는 한편, 위기에 처한 민중들의 공동체적 행위들이 인상적으로 그려지는 점이 주목된다. 소설에서 극한에 처한 근대인들은 마을의 당산제나 풍물과 같은 공동체적 행위를 통해 불안을 해소하고 위안을 얻는다. 근대인들은 공동의 신념과 신명을 경험하며 불안한 삶 속에서 혼자가 아님을 느끼고 불안을 이겨낼 힘을 얻는다. 그러면서 이근영 소설은 개체로서의 인간은 특히 불안한 시기에 운명을 같이하고 많은 것을 공유하는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안도감을 느끼며 살아가게 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이렇듯 이근영 소설이 보여주는 마을 공동체의 모습은 마을 공동체의 긍정성에 주목하면서 공동체의 향수에 젖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공동의 신념과 유대로 공동의 삶을 지향하는 마을 공동체의 가치를 사유하게 한다.

keywords
이근영, 불안, 공동체, 공동체성, 마을 공동체, 공동의 신념, 공동의 신명, Lee Keun Young, Anxiety, Community, Com‒munality, Village Community, Common Belief, Common Shinmyoung


참고문헌

1

이근영 저, 유임하 역, 『이근영 중·단편 선집』. 현대문학, 2009.

2

송건호, 『송건호전집 4 한국현대사 2』. 한길사, 2002, 72‒75쪽.

3

오출세, 『한국민간신앙과 문학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2, 248쪽.

4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저, 이기숙 역,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163쪽.

5

이기상, 『존재와 시간』. 살림출판사, 2006, 273쪽.

6

장 뤽 낭시 저, 박준상 역, 『무의의 공동체』. 인간사랑 2010. 23‒37쪽.

7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세계의 민간신앙』.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6, 3쪽.

8

한설야 외, 『나의 인간수업, 문학수업』. 인동, 1990, 200쪽.

9

허정, 『공통성과 단독성』. 산지니, 2015, 24쪽.

10

공종구, 「이근영 농민소설의 이야기 구조 분석: 「당산제」」. 『한국언어문학』 제37권, 1996, 470쪽.

11

공종구, 「이근영 농민소설의 이야기 구조 분석: 「농우」, 「고향사람들」」. 『국어국문학』 제119호, 1997, 392‒393쪽.

12

김기홍, 「모둠살이의 진화: ‘마을’, ‘공동체’, 그리고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25권 1호, 2015, 142‒143쪽.

13

김수진 외, 「전통마을 공동체 공간의 문화경관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권 4호, 2010, 25쪽.

14

류양선, 「1930년대 농민소설에 나타난 계몽적 인간형」. 『국제고려학회논문지』 제1호, 1999, 279‒280쪽.

15

박승규, 「정체성,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노두」. 『대한지리학회지』 제48권 3호, 2013, 454쪽.

16

엄숙희, 「윤흥길의 장마에 나타난 민간신앙의 의미」. 『현대문학이론연구』 제57권, 2014, 188쪽.

17

유임하, 「고뇌하는 양심과 농촌 공동체의 윤리: 이근영 소설의 현재성」. 『돈암어문학』 제22집, 2009, 152쪽.

18

이용범, 「무속에 대한 근대 한국사회의 부정적 시각에 대한 고찰」. 『한국무속학』 제9집, 2005, 163쪽.

19

이윤갑,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마을문화의 해체」. 『한국학논집』 제32집, 2005, 250‒251쪽.

20

이해준, 「한국의 마을문화와 자치 자율의 전통」. 『한국학논집』 제32집, 2005, 213‒214쪽.

21

임재해, 「공동체 문화로서 마을 민속문화의 공유 가치」. 『실천민속학 연구』 제11호, 2008, 131‒132쪽.

22

전명수, 「현대적 불안의식과 종교의 역할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종교연구』 41집, 2005, 43‒44쪽.

23

전지훈 외, 「공동체 인식과 행복의 영향관계 분석」. 『2016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16, 133‒134쪽.

24

정성훈, 「공동체주의 공동체의 한계와 현대적 조건에서 현실적인 공동체」.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 제8권 2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6.

25

정용교 외, 「인간존재의 이중주: 개체성과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제17집 1호, 2009, 196‒200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