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Characteristics of Its Case Markers in Korean Novel Choigowun: Hottori Library Script, Aston Script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n Script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1, pp.133-158
https://doi.org/10.25024/ksq.40.1.201703.133
Sunhyo Ki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에서는 『최고운전』의 한글본 중에서 소설 내용과 구성이 일치하는 핫토리문고본(1750, 핫토리본), 애스턴본(1700?~1800?), 국립중앙도서관본(1883, 국도본)을 통해 근대국어의 격조사 양상을 살펴보았다. 핫토리본과 애스턴본은 한글 필사본이며 국도본은 한글 활자본이지만 소설의 내용과 구성이 동일하여 근대국어의 언어 변화를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세 이본을 검토한 결과, 주격조사는 중세국어 ‘이, ㅣ, ∅’ 외에 근대국어에 형성된 ‘ᄭᆡ셔, 겨오셔, 계오셔, ᄭᅨ오셔’가 확인되었으나 ‘가’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목적격조사는 국도본에 이르러서야 ‘을/를’이 음운론적 변별성을 보였고, 보격조사는 ‘이, ㅣ, ∅’ 외 일본어의 간섭으로 인한 ‘에’가 국도본에서 소수 확인되는 특성을 보였다. 관형격과 부사격은 ‘의’와 ‘에’ 중에서 하나의 조사를 선택하여 일괄적으로 통일하여 기술하는 양상을 보였고, 부사격 ‘로셔’와 ‘에셔’는 탈격으로만 사용되고 주격으로까지 발전하지 않았다. 이에 의하면, 세 이본의 격조사가 다른 근대국어 자료에 비해 격조사의 통시적 변화가 소극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 원인은 근대국어의 형태음운론적 과도기성과 저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투고일 2016. 12. 13. 심사일 2017. 1. 9. 게재 확정일 2017. 2. 27. 주제어(keyword) 『최고운전』(Choigowun), 핫토리문고본(Hottori library script), 애스턴본(Aston script), 국립중앙도서관본(National library of Korean script), 근대국어(Modern Korean), 격조사 (Korean case markers)

keywords
최고운전, 핫토리문고본, 애스턴본, 국립중앙도서관본, 근대국어, 격조사, Choigowun, Hottori library script, Aston script, National library of Korean script, Modern Korean, Korean case markers


Reference

1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제3판. 집문당, 2010.

2

김선효,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연구』. 역락, 2016.

3

범세동(范世東), 『話東人物叢記』. 전남대학교출판부, 1993.

4

안병희·이광호,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5

이승욱, 『국어 문법체계의 史的 硏究』. 일조각, 1973.

6

허웅, 『16세기 우리 옛말본』. 서울: 샘문화사, 1989.

7

홍윤표, 『近代國語硏究(Ⅰ)』. 태학사, 1994.

8

橋本進吉, 『助詞, 助動詞の硏究』. 東京: 岩波書店, 1969.

9

士井忠生, 『日本大文典』. 東京: 三省堂, 1955[原著: Rodriguez(1604–8)]

10

山田昌裕, 『格助詞 “ガ”の通時的硏究』. 東京: ひつじ書房, 2010.

11

山田孝雄, 『日本文法論』. 寶文館出版, 1933.

12

石垣謙二, 『助詞の歷史的硏究』. 東京: 岩波書店, 1955.

13

松尾捨治郎, 『國語法論攷』. 白帝社, 1961.

14

此島正年, 『國語助詞の硏究』. 東京: 櫻楓社, 1973.

15

Palancar, E. L., The Origin of Agent Marker. Berlin: Akad, Verl, 2002.

16

고광모, 「주격조사 ‘가’의 발달」. 『언어학』 68호, 한국언어학회, 2014, 93‒118쪽.

17

권택경, 『최고운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8

김선효, 「의사관형구조 ‘에의’의 형성 과정과 요인」. 『국어학』 55, 국어학회, 2009, 105‒124쪽.

19

김선효, 「<교린수지>에서의 조사 ‘의’와 ‘에’의 분포와 특성」. 『개신어문연구』 31, 개신어문학회, 2010, 33‒54쪽.

20

김선효, 「근대국어의 조사 ‘의’의 분포와 기능」. 『어문논집』 46, 중앙어문학회, 2011, 141‒162쪽.

21

김선효, 「일본 근대 한어 자료에서의 부사격 ‘의’의 과잉 양상과 그 요인」. 『국어학』 67, 2013, 223‒250쪽.

22

김현룡, 「‘최고운전’의 형성 시기와 출생 담고」. 『고소설연구』 4, 한국고소설학회, 1998, 4‒15쪽.

23

김현주, 「주격표지 ‘께서’의 형성에 대하여」. 『어학연구』 41권 4호, 2013, 133‒158쪽.

24

민영대, 「崔忠傳 이본연구」. 『한남어문학』 7·8, 1982, 17‒50쪽.

25

박일용, 『최고운전』의 창작 시기와 초기본의 특징」. 『고소설연구』 29, 2010, 85‒115쪽.

26

박진완, 「『朝鮮語譯』의 모음 표기 고찰」. 『국어학』 48, 2010a, 131‒155쪽.

27

박진완, 「러시아 동방학연구소 애스턴 문고의 한글 자료」. 『국어학』 46, 2010b, 199‒228쪽.

28

송민, 「국어에 대한 일본어의 간섭」. 『국어생활』 14, 1988, 25‒34쪽.

29

이강민, 「개화기 일본의 한국어 학습서」. 『일본학보』 67, 2006, 65‒80쪽.

30

이경희, 「근대국어의 격조사」. 『근대국어의 이해』, 박이정, 1998.

31

이남순, 「통합범주 처속격 설정 문제: <심쳥젼>과 함께」. 『진단학보』 80, 1995, 291‒306쪽.

32

이승희, 「중세국어 ‘NP1엣 NP2’ 구성의 의미 유형에 대한 고찰」. 『국어학』 54, 2009, 197‒224쪽.

33

이지영, 「‘로서’ 구문의 통시적 변화」. 『국어국문학』 165, 2013, 151‒182쪽.

34

이태영, 「근대국어 ‘긔셔, 겨셔’의 변천 과정」. 『주시경학보』 8, 1991, 88‒107쪽.

35

이태영, 「국어 격조사의 변화」. 『국어사연구』, 태학사, 1997.

36

이현희, 「‘멀리서’의 통시적 문법」. 『관악어문연구』 3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6, 25‒93쪽.

37

정광, 「주격 ‘가’의 발달에 대하여: 근대국어 자료의 해석을 중심으로」. 『우리문화』 2, 우리문화연구회, 1968.

38

정병설, 「18·19세기 일본인의 조선소설 공부와 조선관: <崔忠傳>과 <임경업전>을 중심으로」. 『韓國文化』 3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5, 27‒55쪽.

39

정병욱, 「최문헌전에 대하여」. 『한국고전의 재인식』, 홍성사, 1955/1979.

40

정승혜, 「일본에서의 한어 교육과 교재에 대한 개관」. 『이중언어학』 30, 2006, 335‒353쪽.

41

정승혜, 「와세다대학 핫토리문고 소장 <조선어역>에 대하여」. 『이중언어학』 40, 2009, 153‒183쪽.

42

최전승, 「19세기 후반 전라방언의 특질 몇 가지에 대한 대조적 고찰: 중간본 <여사서언해>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41, 2002, 27‒80쪽.

43

편무진, 「일본 명치시대의 한국어 학습서에 보이는 한국어 가나 표기에 관한 고찰」. 『일본문화학보』 43, 2009, 83‒104쪽.

44

하귀녀, 『국어 보조사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45

홍윤표, 「근대국어의 처소 표시와 방향 표시의 격」. 『동양학』 1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1, 35‒54쪽.

46

홍윤표, 「근대국어의 통사론」. 『동양학』 2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2, 35‒44쪽.

47

황선엽, 「중세·근대국어 속격조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국어사연구』 23, 2016, 71‒95쪽.

48

후쿠이 레이, 「小倉文庫의 특징에 대하여」. 『규장각』 39, 2011, 241‒376쪽.

49

岸田文隆, 「早稻田大學服部文庫所藏の「朝鮮語譯」についてー‘隣語大方’との比較」. 『朝鮮學報』 199·200, 2006, 1‒35.

50

白井純, 「助詞ヨリ/カラの主格表示用法について ー キリシタン文献を中心として」. 『國語學』 52卷 3號, 2001, 1‒14.

51

朴眞完, 『朝鮮資料』の新硏究: 日韓語の對照から』, 京都大學博士學位論文, 2005.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