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서구관찰자들의 텍스트 이면에 숨겨진 의도 분석 : 영국왕립아시아협회 한국지부 연구결과를 토대로

The Analysis of Hidden Intent behind the Text of Western Observers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4, pp.101-136
https://doi.org/10.25024/ksq.40.4.201712.101
김신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타자에 의해 기획되고 서술된 텍스트는 과거 ‘우리의 것’을 타자의 관점으로 관찰하고 분류한 후 범주화했다. 이 과정에서 판단중지(epochee)와 감정이입(empathy), 즉 현상학적 패러다임이 활용되었으며, 개입된 이데올로기(ideology)는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이다. 외교, 선교, 사업, 탐험 등 상이한 방문목적에 따라 한국을 찾아온 타자의 경험이 텍스트를 형성한 후 한국에 관한 지식(knowledge)이 서서히 축적(蓄積)되었다. 그러나 조선을 관찰했던 외부의 관찰자들은 물론 당시 조선인들에 비해 근대화에 대한 경험의 밀도(density)는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이들 또한 조선을 보편문화담론이나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수준에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외부관찰자들은 주로 자신들이 보고 싶은 것을 보고자 했고, 관심이 있는 것에만 집중했다. 결국 한국에 대한 타자의 이미지는 시종일관 비 일관적이고 파편적(fragmentary)이었다. 때로는 전근대적 비문명 사회로 조선을 인식하는가 하면, 신기함으로 표상되는 조선이 있고, 그들이 미처 생각지 못한 경이로움으로 재현되는 조선도 있었다. 결국 조선에 대한 이방인들(일본과 중국을 포함한)의 해석은 다층적이고 동시에 자의적이다. 그리고 물리적으로 그곳에 이미 ‘사람들’이 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자들에게 조선은 자신의 욕망 내지 이상을 실현해야 할 ‘빈 공간’이었을 수 있다. 타자의 선택에 따라 수없이 많은 ‘조선(한국)’의 이미지가 만들어졌고, 도리어 오늘의 우리는 타자의 ‘시선’을 통해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우리의 과거를 발견하고 있다. 결국 타자가 한국에 이식(移植)하길 희망했던 근대성(modernity), 달리 말해 ‘타자적 욕망’은 그들의 언어로 재현되었다. 그리고 현재 우리가 당연시하는 우리의 정체성과 으레 ‘우리의 것’으로 여기는 것들이 대체 어떤 과정을 거쳐 근대담론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 오늘 우리는 타자의 시선을 통해 그 낯선 ‘우리 자신’의 과거를 들여다보고 있다.

keywords
observer, orientalism, empathy, epoche, image, Modernity, 관찰자, 오리엔탈리즘, 감정이입, 판단중지, 이미지, 근대


참고문헌

1

강신표, 『우리 사회에 대한 성찰적 민족지』. 세창출판사, 2014.

2

김귀원, 『구한말 프랑스문헌에서 군인 및 외교관이 본 조선의 이미지』. 조선프랑스학회, 2004.

3

김보림, 『개항기 재조선 서양인의 일상생활과 조선문화 인식의 분화』. 역사교육연구회, 2013.

4

권수현, 『문화철학과 자율성』. 철학과 현실사, 2008.

5

유홍림, 『데리다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2.

6

이광규, 『새로운 민족관의 수립을 위하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7

정상수, 『제국주의』. 책세상, 2009.

8

철학아카데미 편,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철학』. 동녘, 2013.

9

최종천,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의 해체론적 접근: 바바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2011.

10

Childs, Peter and Williams, Patrick, An introduction to post‒colonial theory 325. London: Prentice Hall/Harvester Wheatsheaf, 1997; 피터 차일즈·패트릭 윌리엄스 저, 김문환 역, 『탈식민주의 이론』. 문예출판사, 2004.

11

Foucault, Michel, Maladie mentale et psychologie, PUF, 1954; 미셸 푸코 저, 박혜영 역, 『정신병과 심리학』. 문학동네, 2002.

12

Foucault, Michel and Sheridan, Alan, The Archeology of Knowledge. New York: Pantheon Books, 1969.

13

Moore, Jerry D., Visions of Culture: An Introduction to Anthropological Theories & Theorists, Walnut Creek, California: AltaMira Press, 1996; 제리 무어 저, 김우영 역, 『인류학의 거장들: 인물로 읽는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한길사, 2002.

14

김교빈, 「동아시아 근대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시대와 철학』 제21권 제4호, 2010, 69‒97쪽.

15

이순예, 「근대성, 합리와 비합리성의 변증법」. 『담론 201』 제13권 제1호, 2010, 5‒33쪽.

16

A Sister of the C.S.P., “Some Wayside Flowers of Central Korea.”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Seoul: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Vol. 18, 1929, pp. 22‒82.

17

Cable, E. M., “The United States‒Korean Relations 1866‒1871.”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Seoul: Y.M.C.A. Press, Vol. 28, 1938, pp. 1‒229.

18

GALE, JAMES S., “The Korean Alphabet.”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Yokohama: The Fukuin Printing Co., Ltd, Vol. 4 Part 1, 1912, pp. 37‒67.

19

Hunt, Charles, “Some Pictures and Painters of Corea.”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19, Seoul: Y.M.C.A. Press, 1930, pp. 1‒34.

20

Hulbert, Homer, “Korean Survivals.” Transaction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1 Part 1, Yokohama: The Fukuin Printing Co., Ltd, 1900, pp. 25‒50.

21

Kolluoglu-Kirli, Biray, “From Orientalism to Area Studies.” The New Contennial Review, Vol. 3. 3.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03, pp. 93‒111.

22

McCune, G. M. and E. O. Reischauer, “The Roman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ransacit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29, Seoul: Y.M.C.A. Press, 1939, pp. 1‒55.

23

Noble, Harold J., “The Korean Mission to the United States in 1883.”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18, Seoul: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1929, pp. 1‒21.

24

Taylor, W. W., “Korean Roads Past and Present.”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15, 1924, pp. 33‒56.

25

Underwood, Horace H., “Occidental Literature on Korea.”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20, Seoul: Y.M.C.A. Press, 1931, pp. 1‒16.

26

Underwood, Horace H., “Korean Boats and Ships.”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23, Seoul: Y.M.C.A. Press, 1934, pp. 5‒84.

27

Van Buskirk, J. D., “Some common Korean Foods.”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 14, Seoul: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1923, pp. 1‒62.

28

Yamagata, “Japanese‒Korean Relation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in the 16th Century.”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 Vol. 4 Part II, Yokohama: The Fukuin Printing Co., L’td., 1913, pp. 1‒11.

29

영국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 「Homer Hulbert Biography」. 2013년 2월 13일, (raskb.com/blog/2013/02/13/homer‒hulbert‒biography(검색일: 2017년 9월)

30

영국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 「The RASKB Returns to Life: 1911」. 2012년 8월 30일, raskb.com/blog/2012/08/30/raskb‒returns‒life‒1911(검색일: 2017년 9월).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