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esthetic Transmutation of ‘Loving for Water and Hills’ Ideas that Brought the Rich Sentiment of Natural Scenery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4, pp.7-34
https://doi.org/10.25024/ksq.40.4.201712.7
Kim, Taehwa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산수나 산수 경물을 들어서 사람의 도덕적 자질을 빗대어 말하는 비유를 ‘비덕(比德)’이라고 이른다. 사물의 도덕적 의미를 참작하는 온갖 연상을 아예 떨쳐버리고 오로지 감각적 직관과 그 형상에서 흥취를 일으키고 또 오로지 그것을 흐뭇하게 즐기는 심미적 완상을 ‘창신(暢神)’이라고 이른다. 비덕에 치중하는 요산수는 산수를 산수로 마주하지 아니하고 반드시 도덕적 의미를 앞세워 비유의 수단을 삼았던 까닭에 자연미의 본질적 성분에 대한 갈망을 불렀다. 창신에 치중하는 요산수에 와서야 산수는 비로소 심미 활동의 감성적 근거로 작용하여 이로써 사람의 심성을 기르는 객관적 자원으로 존립할 수 있게 되었다. 창신에 치중하는 요산수는 산수 경물을 독립적인 심미 대상으로 간주하는 태도를 견지하는 점에서 종래의 요산수와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태도는 산수 경물에 대한 묘사가 감정에 관한 술회를 대신할 정도로 사물의 형상을 위주로 하는 화폭을 선호하고 흥취가 충만한 화의를 중시하는 미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요컨대 창신에 치중하는 요산수의 새로운 경향은 작품의 전면을 압도하는 산수 경물의 진보로 나타났다. 그것은 곧 자연과 자연미에 몰입하여 도취하는 동참자의 태도에 의하여 포착된 감각적 직관과 그 형상의 점진을 뜻한다. 예컨대 박순의 ‘돌길의 지팡이 소리를 자는 새가 듣는다.’는 지각의 주체와 그 대상이 어떠한 피차의 간격도 없이 마주쳐 하나를 이루는 물아동일(物我同一)의 정경을 그렸고, 이황의 ‘산굽이 고요한 때를 다만 저 물소리가 졸졸 울린다.’는 또한 내외미분(內外未分)의 경계에 베푸는 산인의 언어를 읊었다. 저물녘 땅거미에 울리는 저 물소리와 지팡이 소리에 메아리치는 저 새들의 낮은 지저귐은 대자연의 율동과 그 정신 면모를 온전히 드러낸 형신겸비(形神兼備)의 전형적 형상이다. 더없이 다정한 저들의 표정은 이로써 자연의 언어화에 도달한 예술적 창조의 최고 형식에 속한다.

keywords
요산수, 비덕, 창신, 흥취, 경물, 다정, loving for water and hills, moral analogy, making spirit pleased and free, interest, natural scenery, rich sentiment


Reference

1

金榦, 『厚齋先生集』: 『韓國文集叢刊』 제156집. 民族文化推進會, 1996.

2

李奎報, 『東國李相國全集』: 『韓國文集叢刊』 제1집. 民族文化推進會, 1991.

3

李衡祥, 『樂學拾零』: 『韓國音樂學學術叢書』 제9집. 國立國樂院, 2013.

4

朴淳, 『思菴先生文集』: 『韓國文集叢刊』 제38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5

朴孝寬·安玟英, 『歌曲源流』: 『韓國音樂學資料叢書』 제5집. 國立國樂院, 1981.

6

徐居正 等, 『東文選』. 太學社, 1975.

7

徐敬德, 『花潭先生文集』: 『韓國文集叢刊』 제24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8

申光漢, 『企齋別集』: 『韓國文集叢刊』 제22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9

申緯, 『警修堂全藁』: 『韓國文集叢刊』 제291집. 民族文化推進會, 2002.

10

李彦迪, 『晦齋先生集』: 『韓國文集叢刊』 제24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11

李滉, 『退溪先生文集』: 『韓國文集叢刊』 제29·30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12

鄭夢周, 『圃隱先生文集』: 『韓國文集叢刊』 제5집. 民族文化推進會, 1996.

13

鄭宗魯, 『立齋先生別集』: 『韓國文集叢刊』 제254집. 民族文化推進會, 2000.

14

鄭澈, 『松江歌辭(星州本)』: 『松江全集』.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64.

15

周世鵬, 『武陵雜稿』: 『韓國文集叢刊』 제26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16

黃俊良, 『錦溪先生文集』: 『韓國文集叢刊』 제37집. 民族文化推進會, 1988.

17

荀況, 『荀子』: 『文淵閣四庫全書』 第695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4.

18

王琦 撰, 『李太白集注』: 『文淵閣四庫全書』 第1067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19

王弼 注, 『老子道德經』: 『文淵閣四庫全書』 第1055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4.

20

趙殿成 撰, 『王右丞集箋注』: 『文淵閣四庫全書』 第1071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5.

21

胡廣 等, 『論語集註大全』: 『文淵閣四庫全書』 第205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4.

22

王先霈, 『美學十五講』.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6.

23

趙潤濟, 『國文學槪說』. 東國文化社, 1955.

24

崔珍源, 『韓國古典詩歌의 刑象性』.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96.

25

權德周, 「宗炳의 畫山水序 考釋」. 『論文集』 19호, 淑明女子大學校, 1979, 37‒52쪽.

26

안장리, 「소상팔경(瀟湘八景) 수용과 한국팔경시의 유행 양상」. 『한국문학과 예술』 13집,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4, 43‒73쪽.

27

全丙哲, 「論語 ‘樂山樂水’章에 관한 조선시대 학자들의 해석과 內在的 修養論」. 『東方漢文學』 50집, 東方漢文學會, 2012, 427‒454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