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Hangnyeolja of Full Name: Focused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ype of Hangnyeolja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4, pp.237-265
https://doi.org/10.25024/ksq.40.4.201712.237
Kwon Ikki
Kim Manta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항렬자는 친족집단 간의 상하 세대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각 가문에서 미리 정하여 공통으로 사용하는 이름 두 글자 중의 한 글자이다. 신라 말 10세기 초반 왕족을 중심으로 형제간에 자연 발생적으로 생성되어 상층·중층·하층으로 4촌과 6촌을 거쳐서 17세기 초반에 8촌까지 확대되었고, 18세기 후반부터 대동(大同) 항렬자를 만들어 동성동본까지 확대 사용하였다. 형성 과정에 중국 영향을 받아서 16세기 말에 정착한 오행상생법과 음양순환법, 기타 유형으로 구분되나 오행상생법이 대부분이고 음양순환법과 기타 유형은 소수이다. 세 유형 모두 가문의 화합과 번성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전후 1대 순환이 보편적인 배정 원칙이다. 갑오개혁과 1909년 민적법(民籍法)으로 세 글자 성명을 갖게 된 후에도 상층 지향과 가문 중시로 항렬자 사용은 증가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빈곤에서 벗어나고 가문 의식이 약해지면서 개인주의가 강해지고 줄어든 출생아의 좋은 이름 작명에 제약이 되어 1960년대부터 항렬자 사용은 감소하였다. 최근 여성 상위가 일부 정착되고 특히 부계 친족집단인 동성동본 가문 의식도 더욱 약해지고 있으므로 항렬자 사용은 앞으로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항렬자는 1,000년 이상 우리와 함께한 전통문화 유산이다. 상층 신분의 표지(標識)로 가문의 화합과 번성을 담은 항렬자가 가문의 통제 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았으나 작명에 제약이 되고 시대적 흐름도 읽지 못하여 사용이 줄어들고 있지만, 융통성과 개방성으로 항렬자 사용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우리 전통문화인 항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여성 대동 항렬자 제정과 보명(譜名) 사용 장려 및 확대 대책이 필요하다.

keywords
항렬자, 항렬, 성명, 이름, 작명, 음양오행, a generation character, generation name, Full name, Given name, Naming,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行列字, 行列, 姓名, 作名, 陰陽五行


Reference

1

『高麗史』,

2

『成宗實錄』.

3

『광산김씨족보』(1957),

4

『밀양박씨세보』(1923),

5

『여흥민씨계보』(1973),

6

『영일정씨세보』(1872)

7

『인천이씨족보』(1765)

8

『한산이씨세보』(1958) 등 200대 본관 가문족보 다수.

9

김만태, 『한국 성명학 신해』. 좋은땅, 2016.

10

김만태, 『명리학강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11

신라김씨이천년편찬위원회, 『신라김씨이천년』. 신라김씨이천년편찬위원회, 2009.

12

윤병준, 『한국씨족항렬고(韓國氏族行列攷)』. 회상사, 1987.

13

이수건,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14

조남호, 『주희, 중국철학의 중심』. 태학사, 2004.

15

중앙일보사, 『한국성씨대백과 성씨의 고향』. 중앙일보사, 2002.

16

통계청, 『2015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016.

17

고민정, 「조선후기 입후 방식과 계후자의 항렬에 관한 연구」. 『태동고전연구』 제34집, 2015, 157‒181쪽.

18

권기중, 「조선후기 족보의 인적 구성과 특징: <달성서씨족보(1769)>를 중심으로」. 『사림』 제43호, 2012, 215‒235쪽.

19

김만태, 「현대 한국사회의 이름짓기 방법과 특성에 관한 고찰: 기복신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제65집, 2011, 151‒186쪽.

20

송하순, 「성씨별 항렬자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81쪽.

21

양명희, 「인명의 특징과 그에 대한 언어태도 연구: 서울, 광주, 목포, 거주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제55집, 2012, 239‒266쪽.

22

양명희·강희숙·박동근, 「인명에 대한 태도 연구: 고등학생 자녀와 그 부모세대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제21권 제3호, 2013, 181‒203쪽.

23

양종국, 「중국인 학자가 본 <신안주씨세보(新安朱氏世譜)>」. 『역사와 역사교육』 제5호, 2000, 193‒206쪽.

24

우인섭, 「항렬자고」. 『국어교육』 제23‒제25 합병호, 1975, 159‒164쪽.

25

윤병준, 「성(姓)으로 본 한국: 한국씨족항렬고(韓國氏族行列攷)」. 『세대』 제2권 통권 11호, 1964, 202‒215쪽.

26

이복규, 「한국인의 이름에 대하여」. 『온지논총』 제16집, 2007, 363‒388쪽.

27

이은용, 「강화학파(江華學派)와 초기 기독교 연구」. 『양명학』 제20호, 2008, 325‒354쪽.

28

장희흥, 「<양세계보((養世系譜)>를 통해 본 조선시대 내시가의 가계 계승」. 『역사민속학』 제22호, 2006, 243‒274쪽.

29

정성학, 「조선후기 안동 상층 향리의 향직계승과 존재양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61쪽.

30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편찬과 의의: 강릉김씨 족보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제2집, 1997, 33‒79쪽.

31

차재은, 「17‒19세기 대구 호적 인명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남성 인명의 계층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제56집, 2016, 411‒448쪽.

32

최재석, 「조선시대의 족보와 동족조직」. 『역사학보』 제81집, 1979, 37‒79쪽.

33

고령신씨대종회(goshin.or.kr).

34

국가통계 포털(kosis.kr).

35

오작당(ojakdang.com).

36

청송심씨내금위공종회(csshimng.com).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