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조선시대 도원도와 표현의 근대적 변천

Joseon Period Peach Blossom Land Paintings and Modern Changes in Their Expressio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4, pp.35-68
https://doi.org/10.25024/ksq.40.4.201712.35
최경현 (문화재청)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도원도는 동양의 이상향을 대표하는 그림으로 조선시대와 근대까지 꾸준히 그려졌다. 이러한 그림은 도연명의 「도화원기」를 주제로 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전하는 도원도를 분석하며 당나라 시인 왕유가 ‘도원’을 차운하여 지은 「도원행」과 거의 구분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중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의 도원도에서는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 동굴과 빈 나룻배가 있고, 중앙 부분에는 어부와 노인이 만나는 것을 보기 위해 여인들과 아이들은 물론 개들까지 모여들고 있으며, 그 뒤로는 전답과 산 아래 집들이 배치되어 있는 장면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이러한 장면은 1606년 주지번을 통해 전래된 《천고최성첩》에 실린 <도원도>와 거의 유사하여 조선 문인들 사이에서 이 화첩이 얼마나 널리 감상 임모되며 확산되었는지 알려준다. 1910년대와 1920년대 전반 안중식과 그의 제자들이 그린 도원도는 조선시대와 비교했을 때 다른 표현 형식을 보여준다. 이들 작품에는 산수를 배경으로 배를 탄 어부가 도원의 입구인 동굴을 향하는 장면이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근대 도원도의 새로운 표현 형식은 안중식이 상하이에서 발간된 『소훈본 개자원화전』에 실린 오경운의 <도원도> 같은 해상화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안중식은 도원도의 공간 표현에서 근대적 시방식을 차용하여 고전적 이상경을 현실경으로 표현하는 변화를 보여준다. 이는 근대 한국 화단에서 동연사 이후 사경풍 실경 산수화의 성행을 예고한 것으로 회화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keywords
The Peach Blossom Land Paintings, Tao Yanming, Wang Wei, Qian‒gu‒zui‒sheng Album, Ju Jibeon, Jeong Seon, Ahn Jungsik, 도원도, 도연명, 왕유, 천고최성첩, 주지번, 정선, 안중식


참고문헌

1

김학주 역저, 『고문진보』 전집. 명문당, 2005.

2

도연명 지음, 송용준 옮김, 『陶淵明 詩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3

『澗松文華』 74. 한국미술연구소, 2008.

4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하. 돌베개, 2001.

5

김창환, 『도연명의 사상과 문학』. 을유문화사, 2009.

6

안휘준·이병한, 『안견과 <몽유도원도>』. 예경산업사, 1991.

7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1800‒1945 한국미술사사전』. 열화당, 1998.

8

고연희, 「<夢遊桃源圖 題讚>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9

김석회, 「武陵桃源 形象化의 유형과 그 含意」. 『국어국문학』 148, 2008. 5, 65‒89쪽.

10

김은미, 「夢遊桃源圖 題讚의 桃源觀 연구」. 『이화어문논집』 10, 1989. 3, 489‒510쪽.

11

김이순, 「1910년대 心田 安中植의 실경산수화에 나타난 근대성」. 『미술사연구』 30, 2016. 6, 131‒159쪽.

12

김인숙, 「한국 근대 회화에 표상된 이상향에 관한 연구: 혼종성을 중심으로」. 『東亞人文學』 34, 2016. 3, 331‒350쪽.

13

김주순, 「<도화원시병기> 창작배경의 연구」. 『중국어문학』 39, 2002, 139‒159쪽.

14

민길홍, 「朝鮮 後期 唐詩意圖」.『美術史學硏究』 233·234, 2002. 6, 63‒94쪽.

15

박동수, 「심전 안중식 회화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3.

16

박은순, 「謙齋 鄭敾의 寫意山水畵 연구: 詩意圖를 중심으로」. 『미술사학』 34, 2017. 8, 63‒96쪽.

17

배병균, 「桃花源記 小考」, 『중어중문학』 7, 1985. 8, 41‒66쪽.

18

선승혜, 「일본 문인화에 있어서 桃源圖의 수용 양상: 仇英과 谷文晁의 <桃源圖> 연구」. 『美術史學』 16, 2002. 8, 25‒47쪽.

19

안대회, 「옛 문학 작품 속 이상향의 세계」. 『산수화, 이상향을 꿈꾸다』, 국립중앙박물관, 2014, 222‒227쪽.

20

오세권,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武陵桃源圖의 표현에 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2권 6호, 2011, 267‒278쪽.

21

유미나, 「朝鮮 中期 吳派畵風의 전래: 《천고최성》첩을 중심으로」. 『美術史學硏究』 245, 2005, 73‒116쪽.

22

유미나, 「조두수 소장 《千古最盛帖》 고찰」. 『강좌 미술사』 26권 2호, 2006, 989‒1014쪽.

23

유홍준, 「野人 기질의 예술적 편력」. 『韓國近代繪畵選集』 韓國畵 6 卞寬植, 삼성출판사, 1990, 79‒98쪽.

24

이구열, 「傳統의 계승, 近代韓國畵의 개창」. 『韓國近代繪畵選集』 韓國畵 1 安中植, 금성출판사, 1990, 79‒100쪽.

25

이구열, 「靑田과 小亭, 그 相反된 特質의 위대함」. 『韓國近代繪畵選集』 韓國畵 6 卞寬植, 금성출판사, 1990, 99‒104쪽.

26

이인경, 「東洋의 理想鄕 ‘桃花源’의 특징과 「桃花源記」의 藝術境界」. 『東洋學』 54, 2013, 41‒63쪽.

27

이종은 외, 「한국문학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 연구: 유토피아의 개념과 유형」. 『동아시아문화연구』 28, 1996, 11‒34쪽.

28

정호진, 「도원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29

조인희, 「王維 詩意圖를 통해 본 朝鮮 文人들의 理想」. 『동악미술사학』 17, 2015. 6, 127‒152쪽.

30

최경현,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상해 지역 화단과 한국 화단과의 교류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31

한정희, 「동아시아 산수화에 보이는 이상향」. 『산수화, 이상향을 꿈꾸다』, 국립중앙박물관, 2014, 208‒221쪽.

32

허용, 「조선시대 도원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3

홍선표, 「한국적 이상향과 풍류의 미학: 변관식 작품론」. 『변관식』, 삼성문화재단, 1998, 150‒158쪽.

34

황효순, 「심향 박승무의 작품세계」. 『인물미술사학』 7, 2011, 145‒176쪽.

35

Nelson, Susan E., “On Through to the Beyond: The Peach Blossom Spring as Paradise.” Archives of Asian Art, Vol. 39, 1986, pp. 23‒47.

36

한국고전번역원(itkc.or.kr).

37

『謙齋鄭敾展』. 대림화랑, 1988.

38

국립광주박물관 편, 『전통회화 최후의 거장 의재 허백련』. 비에이디자인, 2015.

39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22. 국립중앙박물관, 2014.

40

『궁중서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도록 제6책. 국립고궁박물관, 2012.

41

『선문대학교박물관 名品圖錄 Ⅱ』. 선문대학교출판부, 2000.

42

李龜烈 외 편, 『韓國近代繪畵選集』 韓國畵 1 安中植. 금성출판사, 1990.

43

『韓國美術五天年』 현대편 1권. 예경산업사, 1981.

44

『한국의 미술가 이상범』. 삼성문화재단, 1997.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