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울산 달리마을 풍속에 따른 농악의 갈래와 구성에 관한 제시

A Proposal on the Compositional Structure of Nongak in Correspondence to Seasonal Customs of Dali Village, Ulsa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4, pp.69-100
https://doi.org/10.25024/ksq.40.4.201712.69
최흥기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농경에서 비롯된 울산 남구 달리마을 농악은 1980년대만 하더라도 울산문화원에서 장·노인층에 의해 세시풍속으로 조금씩 행해왔다. 지금은 급격한 사회 환경의 변화로 본모습을 알 수 없고, 이 또한 사라져가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울산남구문화원은 달동 지역에서 유래된 달리농악을 복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1936년 일본 학자가 기록한 달리 지역의 문헌을 통하여 그 당시의 역사와 생활모습, 세시풍속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하여 달리농악에 대한 기본적인 농악의 갈래와 구성에 대하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을 통하여 달리 지역의 농악 갈래를 농경과 함께한 노작농악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달리 지역에서 행하였던 세시풍속과 농경의 노동 행위를 근거로 농악의 구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노작농악에서 타 지역의 사례를 본보기로 하여 달리농악의 작품을 실행할 수 있는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과거 1936년 달리 지역에서 왕성하게 이루어진 달리농악을 복구할 수 있게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Ulsan Namgu Munwhawon(the Ulsan South Cultural Center), Dali Nongak, Ulsan Dali Nongak, Ulsan Daldong, Ulsan Munwha, 울산남구문화원, 달리농악, 울산 달리농악, 울산 달동, 울산문화

Abstract

Ulsan Namgu Dali Village Nongak, which originated from an agricultural society, was occasionally performed by the elderly as a seasonal custom in Ulsan Namgu Munwhawon (the Ulsan South Cultural Center) until 1980. However, it has gradually disappeared due to the dramatic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in Ulsan. Despite these difficulties, Ulsan Namgu Munwhawon is working to restore Dali Nongak that originated in Daldong.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reestablish the traditional form of Dali Nongak in its compositional structure. It aims to compile the lifestyle, seasonal customs and the history of Dali based on literature a Japanese scholar recorded in 1936 with regard to Dali.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Dali Nongak was an elaborate Nongak in its form, which was played for the agricultural success of the region. Its formation went hand in hand with agricultural labor and seasonal customs of the village. The formations of elaborate Nongak in other regions were illustrated as examples that show a connection between seasonal customs and Nongak. I wish this study to become a foundation for recovering the original form of Dali Nongak, from when it was actively played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of the 1930s.

keywords
Ulsan Namgu Munwhawon(the Ulsan South Cultural Center), Dali Nongak, Ulsan Dali Nongak, Ulsan Daldong, Ulsan Munwha, 울산남구문화원, 달리농악, 울산 달리농악, 울산 달동, 울산문화


참고문헌

1

국립민속박물관, 『석남 송석하 한국 민속의 재음미·上』. 경희정보인쇄(주), 2004.

2

김석보, 『蔚山遺事』. 昭文出版社, 1979.

3

김진곤, 『석남 송석하 주해 민속어 모음』. 한국문화원연합회 울산광역시지회, 대일인쇄(주), 2011.

4

성범중 역주, 『국역 학성지』. 울산남구문화원 부설 향토사연구소, 애드비젼, 2010.

5

성범중·엄형섭 역주, 『譯註 蔚山地理志』. 울산광역시문화원연합회, 명디자인, 2014.

6

송석하, 『한국민속고』. 일신사, 1960.

7

송석하, 『民俗寫眞特別展圖錄』. 한국민속박물관, 양서문화사, 1975.

8

울산박물관, 『75년만의 귀향, 1936년 蔚山 達里』. 협진인쇄, 2011.

9

울산박물관, 『울산과 달리』. 대일인쇄(주), 2014.

10

울산남구문화원, 『울산남구지명사』. 애드비젼, 2010.

11

윤석운, 『한국무악고』. 동학당, 1979.

12

정상박, 『정상박의 우리민속 되짚어보기』. 민속원, 2015.

1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제3판). 지식산업사, 1998.

1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front=D727ABF5220302C756123E9806A92830).

15

국립문화재연구소, 1997년 기록(youtube.com/watch?v=p4MPNbLnI5M).

16

디지털논산문화대전(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562).

17

디지털창원문화대전, 창원시(changwon.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angwon&dataType=01&contents_id=GC02210040).

18

디지털광명문화대전, 광명시(gwangmyeong.grandculture.net/Contents?local=gwangmyeong&dataType=01&contents_id=GC03100474).

19

위키백과사전, <강릉농악>(ko.wikipedia.org/wiki/%EA%B0%95%EB%A6%89%EB%86%8D%EC%95%85).

20

정선규, 「부산 아미 농악을 아시나요」, 아시아경제, 2013(news.zum.com/articles/7013635).

21

홍성림(cafe.daum.net/gugudung/H48l/363?q=%BA%CE%BB%EA%20%BE%C6%B9%CC%B3%F3%BE%C7).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