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본 연구는 낙관성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낙관성이 진로결정수준에 영 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서 대학생 34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3을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기초분석과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Baron 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과 진로결정수준 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에서 사회적 지지(부모님, 친구)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낙관성과 진로결정 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 능감이 갖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코칭장면에서 진로결정 수준을 높이 기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 시켜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 total of 34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ic data was analyzed by SPSS 23, and mediating effects was analyzed by following 3 steps of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ll predictor variables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cond,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ocial support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suggest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in career coaching situation for enhancing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권혜경, 이희경 (2004). 낙관성이 진로태도 성숙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723-741.
김민선, 서영석 (2009). 공과대학 학생들이 지각한 맥락적 지지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1-22.
김민정 (2006).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인지 정서조적 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완수 (2005).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종운, 박성실 (2014).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1), 279-300.
김필기 (2003). 여중생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우울, 학습된 무기력, 자기효능감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노영천 (2001). 한국인용 낙관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용두, 이기학(2007).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1041-1056.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손은령, 이순희 (2012). 대학생의 낙관성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5(3), 181-199.
송재영 (2003).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 논문.
신현숙 (2006). 대입 수험생의 낙관성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7(2), 485-503.
오은경 (2003). 사회적 지지와 의사결정 유형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치선, 이복희 (2005).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이상희 (2005). 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순희 (2012).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순희, 손은령 (2013).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 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 연구, 14(4), 2525-2544.
이은경 (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은진 (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현진 (2009). 영어교사의 교사유형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진현정 (2011).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정서지능의 매개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최영순 (2006). 중학생의 낙관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수현 (2003).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 성숙 및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황혜숙 (2012). 진로정체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매개 및 조절효과.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Betz, N. E. (1994). Self-concept theory in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3(1), 11-32.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47-576.
Blustein, D. L. (1989).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5(2), 194-203.
Blustein, D. L. (1997). A context-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 260-274.
Brissette, l., Scheier, M. F., & Carver, C. S. (2002).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02-111.
Creed, P. A., Patton, W., & Bartrum, D. (2002). Multidimensional properties of the LOT-R:Effects of optimism and pessimism on career and well-being related variables in adolesc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0(1), 42-61.
Dougall, A. L., Hyman, K. B., Hayward, M. C., McFeeley, S., & Baum, A. (2001). Optimism and traumatic stres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1(2), 223-245.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Folkman, S., & Moskowitz, J. T. (2000). Positive affect and the other side of coping. American Psychologist, 55(6), 647-654.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016-1024.
Hackett, G., & Lent, R. W. (1992). Theoretical advances and current inquiry in career psychology.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2, 419-452.
Herr, E. L., Cramer, S. H., & Niles, S. G. (2004).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span: Systematic Approaches (6th ed.). Bacon, Needham Heights, MA: Allyn & amp.
Levittt, M. J., Guacci-Franco, N., & Levitt, J. L. (1994).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A multicultural study.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2), 207-222.
Luzzo, D. A. (1995).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3(3), 319-322.
McWhirter, E. H., Hackett, G., & Bandalos, D. L. (1998). A causal model of the educational plans and career expectations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2), 166-181.
O'brien, K. M., & Fassinger, R. E. (1993). A causal model of the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choice of adolescent wo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4), 456-469.
Park, C. L., & Folkman, S. (1997). Stability and change in psychosocial resources during caregiving and bereavement in partners of men with AIDS. Journal of Personality, 65(2), 421-447.
Pederson, E. L., & Vogel, D. L. (2007).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willingness to seek counseling: Testing a mediation model on college-age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4), 373-384.
Peterson, C. (2000). The future of optimism.. American psychologist, 55(1), 44-55.
Savickas, M. L. (1999).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7, 326-336.
Scheier, M. F., & Carver, C. S. (1992).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2), 201-228.
Scheier, M. F., Carver, C. S., & Br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6), 1063-1078.
Seligman, M. E. (1990).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New York:Simon & Schuster.
Seligman, M. E. (2004).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Simon and Schuster.
Tiger, L. (1979). Optimism: The biology of hope. Simon and Schuster.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Trunzo, J. J., & Pinto, B. M. (2003).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optimism and distress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4), 805-811.
Wanberg, C. R., & Muchinsky, P. M. (1992).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7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