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을 적용한 사회성 증진 코칭 프로그램이 저학년 아동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based Coaching Program o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s and Sociality with first-and second-grad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18, v.2 no.2, pp.23-44
https://doi.org/10.51457/kjcp.2018.12.2.2.23
김미정 (광운대학교)
이상희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사회성 향상을 위하여 디자인씽킹을적용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O초등학교의 겨울방학돌봄교실 이용학생 중 교사의 추천을 받은 1-2학년 1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각각 8명씩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총 8회기로 각 회기 당 80분씩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사전, 사후, 4주 후인 추후에 평가를 시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으로 진행하였으며 t검증 및 혼합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사회성 증진 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후, 실험집단 아동들의 대인문제해결력의 평균, 총 범주 수, 긍정적 사고 수가 유의미하게증가하였다. 둘째, 실험집단 아동들의 사회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추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들에게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하고 향후 연구를 위하여 제언하였다

keywords
디자인씽킹, 사회성 향상, 대인문제해결력, 코칭 프로그램

Abstract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ity improvement coaching program applied to design thinking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 and sociality for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ixteen participants(aged 7-8) were selected from daycare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randomly assigned to a sociality improvement coaching program or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conducted for 8 weeks (one session a week, 80 minutes for each session). To examine the effect of program,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f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 and sociality.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in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 Second, they also had increased sociality after participating in coaching program. Third, the effect of coaching program were continued with follow-up test. Through this research, we found the benefits of coaching program applied design think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kil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design thinking, coaching progam,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ociality


참고문헌

1

김보경 (1999).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방안의 모색.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준 (1993). 가설적 갈등상황과 토의가 유아의 도덕적 추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배정의 추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3

류정석 (2005).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방안의모색.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4

박민정 (2018).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를 활용한 문제해결 수업의 설계원리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찬옥, 최은혜 (2008). 갈등해결활동이 유아의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재완, 최현아 (2014). 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적사고를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제안.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컨퍼런스, 2014 (5), 135-136.

7

성락인 (1991).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훈련의효과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8

송동주, 박재호, 강상희 (2016). 디자인 싱킹.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9

염동문 (2017).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11(2),107-114.

10

유덕현 (2013). 온몸으로 사고하라 = Design thinking : 탁월한 기획의 마지막 1분을완성하는 생각의 조각법. 서울, 피플트리.

11

임수연 (2016). 디자인씽킹 기반 융합예술교육프레임워크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임지민 (2017).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공감능력에 및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3

장인록 (2015).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이 소년수형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4

정범모, 김선자 (2007).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원광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5

정정호, 장동련 (2014). 창의적 디자인융합 인재의 사고양식 유형. 디자인학연구, 27(2), 215-229.

16

정현숙 (2014). 사회성 향상 집단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국내 학회지 게재논문(2003-2013)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차진숙 (2007).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이유아의 공격성 감소 및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명선, 정유진, 서은미 (2012).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돕기.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19

Brown, T., & Wyatt, J. (2010). Design thinking for social innovation. Development Outreach, 12(1), 29-43.

20

Chiaki Murata (2017). KOUI NO DESIGN. 랙스코드 역. 행위 디자인씽킹. 파주 : 바프로그.

21

Duffy, T. M. & Savery, J. R., (1995).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5), 31-38.

22

Law, H., Ireland, S., & Hussain, Z. (2007). The psychology of coaching, mentoring and learning. 탁진국, 이희경, 김은정, 이상희 역 (2010). 코칭심리. 서울: 학지사.

23

Martin R., (2009). The design of business. 현호영 역 (2018). 디자인씽킹 바이블. 부산: 유엑스리뷰.

24

Mootee, I. (2013). Design thinking for strategic innovation: What they can't teach you at business or design school. John Wiley & Sons.

25

Rubin, K. H. (1985). Socially withdrawn children:an “at risk”population?. In Children’s peer relations: Issues 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125-139. Springer, New York, NY.

26

Schwab, K. (2016).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송경진 역 (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산업혁명. 서울: 메가스터디(주).

27

Shure, M. B. (1992c). I Can Problem Solve(ICPS):An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program [intermediate elementary grades]. Champaign, IL:Research Press.

28

Spivack, G., & Shure, M. B. (1974). Soci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A congitive approach to solving real-life problems. San Fracisco:Jossey-Bass.

29

Tudge, J. R., & Winterhoff, P. A. (1993). Vygotsky, Piaget, and Bandura: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world and cognitive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6(2), 61-81.

30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uture of jobs: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85. World Economic Forum, Geneva, Switzerland.

투고일Submission Date
2018-11-15
수정일Revised Date
2018-12-1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8-12-22
상단으로 이동

한국심리학회지: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