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 P-ISSN2586-0755
  • E-ISSN2799-8444
  • KCI

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Improving Coach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Communication Skills, Self-Esteem, Consideration․Interaction and Self-Control of the Youth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18, v.2 no.2, pp.45-62
https://doi.org/10.51457/kjcp.2018.12.2.2.45
Cho Jinsook (Kwangwoon University)
Tak Jinkook (Kwangwoon University)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 based communication enhancement coach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bility, self - esteem, consideration, communication and self - regulation of adolescents. For this study, 16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one - on - one coaching with 8 experimental groups and 8 control group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pre - test, post - test, and coaching were conducted one month later.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using SPSS 18.0 to confirm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sitive psychological - based communication enhancement showed that the coach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self - esteem, consideration, communication and self - control of adolescent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aching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coaching, positive psychology, communication, strength, self-esteem, consideration.interaction, self-control


Reference

1

고지은 (2014).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해소를 위한 성인아이 부모의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개발-비폭력대화모델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인성교육 설문조사 보도자료 (2012. 9. 4).

3

김기년, 탁진국 (2013). 청소년 강점척도 개발및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4),803-828.

4

김지영 (2011). 성격강점이 긍정적 정신건강에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현진, 김현진 (2011).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정서 및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간의 경로 탐색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5(3), 693-716.

6

나문경 (2007).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초등학교교사·학부모간 갈등중재모형구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마셜 B.로젠버그 (2014). 비폭력대화, 한국NVC 센터.

8

모의희 (2001).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통한 부부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미윤 (2012). 강점을 활용한 코칭 프로그램이대학생의 구직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신혜 (2013). 비폭력대화 모델에 기초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인기, 박정진, 박창균, 이지영, 강용철 (2012). 학생 언어문화 개선을 통한 인성교육 강화방안 연구. 한국교육정책연구소.

12

박춘금 (2012).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손향신 (2011).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가변화몰입과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송정미 (2008).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윤성민, 신희천 (2012). 한국 수도권 중년여성들의 성격적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4(1), 27-49.

16

이동천 (2014). 내면아이와 비폭력대화를 접목한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국립목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명숙 (2011). 위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환경진단 및 긍정적 발달을 향한 전망. 교정담론, 5(1).

18

이명진 (2011). 자기조절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과정연구 39, 161-193.

19

이자영 외 (2009).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 타당도분석.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1(1), 173 -189.

20

이정순 (2011). 강점 인식, 태도 및 활용과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임그린, 김기년, 탁진국, 김태은, 임광모, 김거도, 방준석, 임슬기 (2015). 청소년 강점척도의 구성 타당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4(1), 185-203.

22

장경희 외 (2010).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3

정옥분,한성열,이숙자,이종호,임정하,정순화,김경은 (2009). 대학생의 정서 및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 간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6(2), 171-190.

24

조지연, 탁진국 (2016). 긍정심리기반 강점 중심 코칭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 279-304.

25

지은림, 도승이, 이윤선, 박소연, 주언희, 김해경 (2013). 인성지수 개발연구, 교육부.

26

추병완 (2012). 자기 조절과 도덕교육. 윤리교육연구 29, 301-322.

27

최경화 (2015).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 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최경희 외 (2012). 예술인성교육의 비전 및 실천과제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KACES-1270-R001.

29

최은경 (2006).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의 의사소통효과.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최은연 (2004). 의사소통 기술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창우, 최연실 (2016).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해결중심 및 긍정심리모델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3).

32

탁진국, 임그린, 정재희 (2014).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치프로그램 개발 및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39-166.

33

현 주, 임소현, 한미영, 임현정, 손경원 (2014). KEDI 인성검사 실시요강. 한국교육개발원.

34

Carmell Proctor, John Maltby, & P. Alex Linley. P. A.(2011). Strengths use as a predictor of wellbe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2(1),153-169.

35

Diener, E., & Seligman, M. E. P. (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13, 81-84.

36

Galvin, Kathleen M. & Brommel, Bernard J. (1986). Family communication: Cohension and change. United States: Scott, Foresman.and Company.

37

Gardner, H.(1997). Extraordinary minds. New York : Basic Books.

38

Gross, I. H., Crandall, E. W. and Knoll, M. M. (1980). Management for Modern families. 5th ed. Englewood Cliffs. N. J.: Prince Hall.

39

Harter, S. (1998).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omain-Specific and global self-evaluations of learning-disabled, behaviorally disordered, and normally achieving adolescent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5(4), 653-680.

40

Linley, P. A. & Harrington, S. (2006). Strengths coaching: a potential-guided approach to coaching psychology.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1, 37-46.

41

Lopez, S. (2003). Striking a vital balance developing a complementary focus on human weakness and strength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3-20.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2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3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44

Seligman, M. E. P., & Csik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45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11, 774-788.

46

Shoshani, A. & Slon, M. (2013). Middle school transition from the strengths perspective:Young adolescent's character strength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4(4), 1163-1181.

Submission Date
2018-11-15
Revised Date
2018-12-18
Accepted Date
2018-12-24
상단으로 이동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