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1010-0695
  • E-ISSN 2288-3339

Study on Moxa density-related Changes in Warm Needle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Journal of Korean Medicine, (P)1010-0695; (E)2288-3339
2008, v.29 no.3, pp.11-20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Objectives: Warm-needling is a method combining the effects of acupuncture with the effects of moxibustion. We need to standardize the characteristics of warm-needling in order to achieve consistency in its operational mechanisms and effects, which will improve clinical ability in the field of Eastern medicine. Methods: In this study, using the LabVIEW system on the warm-needling technique, we measured and compared partial temperature changes which varie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the moxa cone and the moxa cone's core peak temperature. Results& Conclusions: Examination of the warm-needle's partial temperature in relation to the cone density of the 0.8g moxa specimen suggests that a lower density of the moxa cone corresponds to a higher peak temperature and but with a shorter duration. During the effective stimulus time, the lower the density of the moxa cone, the shorter the duration of the effective stimulus time and the higher the mean temperature. Conversely, the higher the density of the moxa cone, the longer the effective stimulus time and lower the mean temperature.

keywords
warm needling, combustion temperature, density of moxa cone


Reference

1

1. 謝錫亮․許曉琳. 灸法. 山西. 山西人民出版社. 1984;7-20, 55-57.

2

2. 田中泰平. 灸の醫學的硏究. 東京. 細川活版所. 昭和 16;16-19.

3

3. 張馬合註. 皇帝內經 素問篇. 서울. 영동문화사. 1975.

4

4. 張馬合註. 皇帝內經 靈樞經. 서울. 영동문화사. 1975.

5

5. 송윤희. 온침이 Methorexate를 투여한 생쥐의 면역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6

6. 송윤희. 온침, laser침 및 호침이 한냉자극으로 저하된 생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7

7. 주태청. 온침이 한냉자극으로 저하된 생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8

8. 임사비나. 혈위별 온침이 방사선 피폭에 의한 면역기능저하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5; 15(2): p.191-206.

9

9. 김윤홍, 이승호, 여수정, 최일환, 김영곤, 임사비나. 溫鍼의 표준화를 위한 점화부위별 溫度 측정 연구. 경락경혈학회지. 2008;25(1);247-257.

10

10. 임성택, 김경호, 김갑성. 애구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4;11(1):327- 336.

11

11. 박영배, 강성길, 허웅. 애구의 연소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애주의 밀도를 중심으로. 경희한의대논문집. 1994;17(1):191-199.

12

12. 박영배, 강성길, 김창환, 고형균, 오환섭, 허웅. 애주의 형태별 연소 특성에 대한 연구 : 연소온도의 유형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1995; 16(1):370- 378.

13

13. 방도향, 박영배, 강성길. 애구의 구간별 연소 시간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5;12(1):243-251.

14

14. 박영배, 강성길, 김창환, 고형균, 오환섭, 허웅. 재료에 따른 뜸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6;17(1):222-233.

15

15. 박영배, 허웅. 보사법에 따른 애구의 내열판상 연소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1999;3(2):81-93.

16

16. 박영배, 조명래. 격물종류에 따른 간접구의 보온기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1999;3(2):65-80.

17

17. 박영배, 채우석, 하치홍, 조명래. 간접구의 제품별 입열기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2000;17 (1):89-105.

18

18. 김진경, 임난영. 냉적용 방법에 따른 심부 및 피부온도 변화. 대한간호학회지. 1992;23(2): 158.(433)

19

19. Du Gas, B. Witter. Introduction Patient to Care. Philadelphia: W.B. Saunders, 402-419.

20

20. 문준전 외 편저. 傷寒論精解. 서울 경희대학교출판국. 2000. p.81.

21

21. 高武. 鍼灸聚英.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78. p.31-32.

22

22. 楊繼洲. 校訂註解鍼灸大成. 서울. 정담 출판사. 1984. p.134.

23

23. 張介賓. 張氏類經. 서울. 成輔社. 1982. p.446.

24

24. 崔貴萬, 嚴泰植. 鍼材質이 溫鍼의 溫度變化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2; 9(1): p.143-151.

25

25. 許 浚. 東醫寶鑑. 서울. 남산당. 2001. p.754.

26

26. 김태영. 鍼灸醫學典論. 서울. 韓方弘報社. 1979 ;204.

27

27. 上海中醫學院. 鍼灸學. 上海. 三聯書店. 1974; 392-394.

28

28. 成樂箕. 必須鍼灸全書. 서울. 醫道韓國社. 1975 ;45.

29

29. 張基洙. 診斷과 鍼灸治療學. 서울. 계축문화사. 1976;105, 106.

30

30. 金賢濟 外 譯. 最新鍼灸學. 서울 成輔社. 1979; 393.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Other articles from this issue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Journal of Korea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