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1010-0695
  • E-ISSN 2288-3339

A Clinical Study to Observe Nasolabial Angle on Facial Palsy Sequelae by Disproportional Muscles of Expression

Journal of Korean Medicine / Journal of Korean Medicine, (P)1010-0695; (E)2288-3339
2008, v.29 no.3, pp.131-14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Objectives:Electroacupuncture has the effect of recovering paralytic nerves and muscles. To treat disproportional muscles of expression with electroacupuncture,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the correct point of paralytic muscle. Methods:We investigated 20 cases of patients with facial palsy sequelae. We measured nasolabial angles, checked grade of muscle palsy, and tested ENoG. Results: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asolabial angles with these muscle groups (zygomatic groupⅠ, zygomatic groupⅡ , orbicularis oris muscle). Conclusions:Disproportional facesare fixed by muscles of expression observed in facial palsy sequelae. We can treat muscular paralysis of these muscle groups with electroacupuncture for more complete recovery.

keywords
facial palsy, facial palsy sequelae, muscle of expression, nasolabial angle, electroacupuncture


Reference

1

1. 김창환. 마비질환클리닉. 서울:정담출판사. 1996: 233.

2

2. 나창수, 황우준, 이언정, 원진숙. 頭面脊椎四肢病의 診斷과 治療. 서울:대성문화사. 1995:31-49.

3

3. 백만기. 최신이비인후과학. 서울:대성출판사. 1993:122-7.

4

4. John JB. Disease of the nose throat and ear. Philadelphia:Lea&Febiger. 1969:798-800.

5

5. Peitersen E. Bell's palsy:the spontaneous course of 2,500 peripheral facial nerve palsies of different etiologies. Acta Otolaryngol Suppl. 2002;(549):4-30.

6

6. 林村邦夫. 증례로 배우는 통증치료. 서울:군자출판사. 1996:289-296.

7

7. 인창식, 강미경, 김종덕, 홍장무, 서동민, 우현수, 이현종, 하지영, 강중원, 박상민, 서병관, 정인태, 이상훈, 고형균. 구안와사 후유증의 분포와 인식도에 대한 단면조사. 대한침구학회지. 2003;20(3):24-33.

8

8. 황지혜, 이동건, 이현진, 조현석, 김경호, 김갑성. 말초성안면신경마비에 대한 SSP치료요법과 전침요법의 병행치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7;24(4):69-80.

9

9. 김일두, 오희홍, 송호천, 범희승, 변재영, 안수기. 족삼리 전침자극이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핵의학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18(2):18-26.

10

10. 전국한의과대학침구경혈학교실편저. 침구학(하). 서울:집문당. 1991:1447-1451.

11

11. 윤형철. 보톡스 임상적 사용. 부산:미래출판사. 2004:133-154.

12

12. 김남권. 안면신경마비 후유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02;23(1):100-111.

13

13. 홍준표, 전유삼, 김영균. 얼굴성형해부학. 서울:E·PUBLIC. 2006:58-75.

14

14. House JW, Brackmann DE. Facial nerve grading systems. Otolaryngol Head Neck Sug. 1985;93:146-147.

15

15. 윤종태, 김한성. 구안와사에 있어서 전기진단검사법의 유용성에 대한 문헌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0;9(1):259-266.

16

16. 최정화. 구안와사(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1994;7(1) :157-167.

17

17. 이도생 주편. 신편침구치료학.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98:155-156.

18

18. 구길희. 안면신경 마비와 그 치료. 대한통증학회지. 1996;9(1):14-25.

19

19. 안창범, 박인범, 김상우, 이채우, 김홍기, 허성웅, 윤현민, 장경전. 말초성 안면신경마비 경과에 대한 임상적 예후인자 및 신경생리검사의 유용성 분석. 대한침구학회지. 2007;24(4):209 -223.

20

20. 황지혜, 임대정, 이현진, 조현석, 김경호, 김승현. 이후통과 Bell's palsy의 예후와의 상관성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6;23(6):9-18.

21

21. Li Khao Lin. Treatment of limb paralysis using low frequency deep electric stimulation. Med Tr Prom Ekol. 1995;(9):33-37.

22

22. 전형준, 황욱, 김종인, 이홍민, 남상수, 김용석. 전침으로 치료한 동안신경마비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2;19(4):200-207.

23

23. 김남권, 황충연. 외안근 전침 자극을 이용한 마비성 사시 환자의 치험 3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1):247-250.(557)

24

24. 안병준, 송호섭. 말초성안면신경마비의 전침 치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5;22(4):121-129.

25

25. 김종인, 이상훈, 최도영, 강성길, 고형균, 서정철. 안면신경평가기준에 따른 구안와사의 임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19(5):112-23.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Other articles from this issue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Journal of Korea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