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1010-0695
  • E-ISSN 2288-3339

A Study on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Abdominal Obesity of Workers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Journal of Korean Medicine / Journal of Korean Medicine, (P)1010-0695; (E)2288-3339
2008, v.29 no.3, pp.113-12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Objectives:Obesity is chronic condition which can severely influence health. People with a high percentage of body fat (%BF) have high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hypercholesterolemia. Abdominal obesity (AO) seems to play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and hyperlipidem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F and AO of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Methods: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by sex, age, job class, drinking history and smoking history. %BF and AO were measured by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Jawon Medical, Seoul, Kore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sex, job class, drinking history, smoking history and %BF and WHR into frequencies, χ2-test using the SPSS Ver. 12.0. Results: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BF, AO,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men had a significant higher level of %BF and AO than wome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both %BF and AO. Workers in their 40s especially ran level of AO up. In job class, office workers were apt to have a higherlevel of %BF and AO than production line workers. %BF and AO of the non-drinker group showed a lower level than the drinker group. On the other hand, the ex-smoker group had higher levels of %BF and AO than the non-smoker or current-smoker groups. Conclusions: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men, the advanced in years, office workers, drinkers and ex-smokers had high levels of %BF and AO.

keywords
percentage body fat (%BF), abdominal obesity (AO), bioelectrical impedance


Reference

1

1. 노동부. 산업장 보건관리 실무(한국 산업 안전 공단). 1998:10-2.

2

2. 김창윤. 제언:사업장 건강증진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자. 대한산업보건협회. 2006;214:2-3.

3

3. 이은경, 유승현, 이수경, 강성호, 한종민, 정명수, 천은주, 송용선, 이기남. Moire영상을 이용한 근골격계 질환의 한의학적 진단에 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0;4(2):72-92.

4

4. 한현정, 정재열, 권소희, 송용선, 장두섭, 이기남.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방 건강검진의 만족도.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3; 13(2):135-43.

5

5. 김정연. 비만지표의 차이가 비만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회지. 1998;8(2):338-46.

6

6. 최신웅, 안점우, 김정연.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도 및 혈압과 음주, 흡연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0;10(2):59-68.

7

7. 이재성, 이성현. 한방치료의 체지방 및 복부비만 감소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1;1(1): 33-42.

8

8.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서울:고려의학. 2003: 27, 76-84, 90, 197-9.

9

9. 심완섭, 김수경, 김혜진, 강은석, 안철우, 임승길, 이현철, 차봉수.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과 작고 밀집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와의 관계. 당뇨병. 2006; 30(3):207-13.

10

10. 강은홍. 근로자 정기 건강진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업간호학회지. 2000;9 (1):30-8.

11

11. 상재홍, 이은실, 박형무. 산욕기 체질량지수 및 복부지방률의 변화.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7; 50(12):1720-6.(536)

12

12. 황수관, 김남익, 최근식. 한국성인에서 체지방, 혈중지질 농도와 혈압간의 상관관계.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997:15(2):423-31.

13

13. 고기환. 체지방율(%BF)과 체적지수(BMI) 간의 상호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2005;16(5): 619-26.

14

14. 서재명, 조성봉. 중년 남자의 복부지방특성에 따른 혈중 지질변인의 농도.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15(3):1595-604.

15

15. 박수현, 한태경, 이신호, 강유철, 강현식. 12주 걷기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강도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복부비만,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07;16(1):1-10.

16

16. 김덕희. 지방질의 섭취와 비만증. 대한의학협회지. 1988;31(19):933-5.

17

17. 허수영, 강효신. 비만의 동서의학적 고찰과 치료.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7;7(1):272-83.

18

18.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007년 한국의 사회지표. Available from: URL: http://www.kosis.kr

19

19.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 서울:군자출판사. 2003:349-62.

20

20. 洪元植. 精校黃帝內經. 서울: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91:61,94,219-20,275.

21

21. 김희승, 김남초. 복부형비만군과 정상군간의 비만지수, 혈압 및 혈청지질의 성별 차이. 대한간호학회지. 2000;30(4):948-54.

22

22. 강재헌, 김남순. 한국의 비만추이. 대한비만학회지. 2002;11(4):329-36.

23

23. 대한 일차의료학회. 비만학 이론과 실제. 서울:한국의학. 1996:42.

24

24. Kadowaki T, Watanabe M, Okatama A, Hishida K, Okamura T, Miyamatsu N, Haya- kawa T, Kita Y, Ueshima H. Continuation of smoking cessation and following weight cha- nge after intervention in a healthy population with high smoking prevalence. J Occup Health. 2006;48:402-6.(537)

25

25. 이강숙. 직장 금연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기획방법. 산업보건. 2006;224:7-19.

26

26. 주남석, 공미희, 김범택, 박샛별, 이태영, 김광민. 성인 남성에서 흡연과 음주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의학회지. 2006;27(11):911-6.

27

27. 이은경. 한방검진 프로그램의 내용과 참가자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석사논문. 2001.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Other articles from this issue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Journal of Korea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