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지하구조물 콘크리트 균열 탐지를 위한 semi-supervised 의미론적 분할 기반의 적대적 학습 기법 연구

Adversarial learning for underground structure concrete crack detection based on semisupervised semantic segmentation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P)2233-8292; (E)2287-4747
2020, v.22 no.5, pp.515-528
https://doi.org/10.9711/KTAJ.2020.22.5.515
심승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최상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석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성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지하 구조물은 수십 년 이상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지만 최근 들어 구조물 중 상당수가 당초의 기대 수명에 근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구조물 고유의 기능이 상실되고 다양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어 신속한 점검과 보수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는 지하 구조물 유지관리를 위하여 인력 기반의 점검과 보수가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영상 기술의 융합을 통한 객관적인 점검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딥러닝을 활용한 영상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지도학습 기반의 콘크리트 균열 탐지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지도학습 형태 영상 인식 기술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발이 되는데, 그 중에도 많은 수의 라벨 영상(Label image)이 요구된다.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적대적 학습 기법을 적용하여 균열 영역 탐지 정확도를 평균적으로 0.25% 향상시키는 방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 적대적 학습은 분할(Segmentation) 신경망과 판별자(Discriminator) 신경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상의 라벨 영상을 경쟁적인 구조로 생성하여 인식 성능을 높이는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방법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심층 신경망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고, 향후에 정확한 균열 탐지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적대적 학습, 균열 탐지, 의미론적 분할, 상태 점검, 영상처리, Adversarial learning, Crack detection, Semantic segmentation, Health monitoring, Image processing

Abstract

Underground concrete structures are usually designed to be used for decades, but in recent years, many of them are nearing their original life expectanc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promptly inspect and repair the structure, since it can cause lost of fundamental functions and bring unexpected problems. Therefore, personnel-based inspections and repairs have been underway for maintenance of underground structures, but nowadays, objective inspection technologie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rough the fusion of deep learning and image process. In particular,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developing a concrete crack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Most of these studies requires a large amount of image data, especially, label images. In order to secure those images, it takes a lot of time and labor in reality. To resolve this problem, we introduce a metho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crack area detection, improved by 0.25% on average by applying adversarial learning in this paper. The adversarial learning consists of a segmentation neural network and a discriminator neural network, and it is an algorithm that improves recognition performance by generating a virtual label image in a competitive

keywords
적대적 학습, 균열 탐지, 의미론적 분할, 상태 점검, 영상처리, Adversarial learning, Crack detection, Semantic segmentation, Health monitoring, Image processing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