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서울지하철 터널의 T.R.c.M. 공법 적용 사례 연구

An application of the 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for seoul sudway tunnel construction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P)2233-8292; (E)2287-4747
2004, v.6 no.4, pp.345-356
지홍근 (㈜대우건설)
유광호 (수원대학교)
박연준 (수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 공법으로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해 온 것이 개착식 공법이나, 지상교통 흐름을 방해하고 공사소음 및 주변 지반의 침하로 인한 민원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해 왔다. 많은 경우에 있어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하수도관․도시 가스관․고압 전력구․통신 케이블 등 지중 매설물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아서 안전한 시공에 어려움이 크고, 개착공사 시 지하지장물의 이설로 인한 공지지연 및 추가공사비가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지하구조물 축조공법을 개선하여 슬래브강관과 PC벽체 트렌치를 이용한 터널축조공법 (T.R.c.M.)을 서울지하철 현장에 적용한 시공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T.R.c.M.공법은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여 주변환경과 교통의 흐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터널을 축조할 수 있는 공법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T.R.c.M.(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s, tunneling method, stability, T.R.c.M. (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지하구조물, 터널축조공법, 안정성, T.R.c.M.(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s, tunneling method, stability

Abstract

Open-cut method has been widely used to construct underground structures, but it causes several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public resentment resulting from severe construction noise and ground settlement. In many cases, it is very difficult to build underground structures safely due to the unknown locations of buried facilities such as water pipes, drainage pipes, gas pipes and high-pressure cable conduits etc. Also in open-cut method, moving buried facilities causes additional cost and extension of construction period. Therefore, this paper is to present a case study in which 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T.R.c.M.), a newly develope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slab steel pipes and PC wall trench, is applied for the construction of a subway tunnel in Seoul.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R.c.M. is a construction method by which tunnels can be constructed safely without any effect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ffic flow due to the minimized construction vibration and noise.

keywords
T.R.c.M.(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s, tunneling method, stability, T.R.c.M. (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지하구조물, 터널축조공법, 안정성, T.R.c.M.(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s, tunneling method, stability

참고문헌

1.

(1997) SAP2000 Manual , Computers and Structures, Inc

2.

(1991) FLAC Manual,

3.

(2003)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해설, 한국지반공학회.

4.

(2002) 지하공간개발을 위한 N.T.R.공법의 적용성 연구 , 한국터널공학회

5.

(2004) 국내 지하공간개발을 위한 T.R.&T.공법의 적용성 연구, 한국터널공학회

6.

(2002) 지반조사보고서, 서울특별시 지하철 건설본부

7.

(2004a) T.R.c.M. 공법 설계검토서, 서울특별시 지하철 건설본부

8.

(2004b) T.R.c.M. 공법 구조계산서, 서울특별시 지하철 건설본부

9.

(2004c) 계측관리 월간 보고서, 대우건설

10.

(2001) 슬래브강관과 PC벽체 트렌치를 이용한 터널축조공법(T.R.c.M.) ,

11.

(2000) PENTAGON-3D 사용 설명서.,

12.

(2003) 대구경강관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축조공법의 국내지반 적용성 연구,

13.

(2000) 지하구조물 축조를 위한 TRM공법,

14.

(2002)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15.

(2004) http://www.knts.co.kr,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