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도교 판화(版畵) 연구 : 대영도서관(大英圖書館) 소장 『옥추보경(玉樞寶經)』 사주본(四註本)의 연대 및 삽화에 대한 고찰

Daoist Woodblock Prints: A Study of the Illustrations and Dating of the Glossed Yushu Baojing Collected in the British Library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3, v.5, pp.117-172
https://doi.org/10.23209/jods.2023.5.117
인추이치(Maggie Chui-ki Wan) (홍콩중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은 대영도서관(大英圖書館)이 소장한 『고상신뢰옥추뢰정보경부전(高上神雷玉樞雷霆寶經符篆)』(이하 간칭 ‘대영본(大英本)’)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이 판본의 판각 연대 및 비화(扉畫: 책 본문 앞에 있는 삽화-역자 주)와 본문 속 삽화(揷畵)가 지니는 도상(圖像)의 특징과 기능을 연구하였다. 대영본은 도교 신소뇌법(神霄雷法)의 경전인 『옥추보경(玉樞寶經)』의 사주본(四註本)으로 오늘날 소량으로 전해지는 도회본(圖繪本)의 하나이다. 기존 학계에서는 책 뒤편의 태현자(太玄子)의 후서(後序)에 근거하여, 이 판본의 판각 연대가 원(元) ‘지순계유(至順癸酉)’년, 즉 1333년이라고 추정하였고, 대영본이 『옥추보경』의 사주본(四註本) 중에서 현존하는 판본 중 최초의 도회본이라고 믿었다. 그리하여 이 판본의 판각 연대를 원대(元代)라고 전제하고, 비화(扉畫)와 45개의 신장(神將)의 입상(立像), 26폭의 본문 삽화 및 경전을 보호하는 신상(神像) 등 다양한 도상을 근거로 들어, 대영본을 원대 도교 판화의 중요 자료라고 여겼다. 본 논문의 제 1부분은, 대영본의 판각 연대에 대해 새롭게 고증하고, 대영본의 후서와 패기(牌記, 일종의 판권면, 책의 서지사항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나와 있음-역자 주) 및 페이지의 보존 상태를 분석하여, 이 판본이 원(元) ‘지순계유(至順癸酉)’에 처음 새겨서 인쇄된 초인본(初印本)이 아니고, 나중에 인쇄된 후인본(後印本)임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대영본과 원명(元明) 시기 불교와 도교의 도경(道經)의 비화(扉畫)와 삽화를 비교 분석하여, 대영본의 원각본(原刻本, original edition)이 명대(明代) 영락조(永樂朝) 혹은 그 이후에 제작된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제 2부분은, 대영본의 본문 속 삽화와 경문(經文)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영본은 과의용(科儀用) 서적으로, 대영본의 삽화는 경문의 내용을 설명할 뿐 아니라, 보다 중요한 것은 삽화가 그것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천존(天尊)의 형상과 공덕에 대해 확실하고 깊은 인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삽화는 경문을 읽고 부적을 그리는 신도들을 위해 존사(存思)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대영본의 비화(扉畫)와 삽화의 분석을 통하여, 도경(道經) 판화가 도교 연구에 대해 갖는 의의를 살펴보고, 아울러 도교 판화를 정리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keywords
도교, 판화, 옥추보경(玉樞寶經), 뇌성보화천존(雷聲普化天尊), 존사(存思)

Abstract

The article studies the Gaoshang shenlei yushu leiting baojing fuzhuan (abbr. “BL edition”) collected in the British Library. It investigates the date of production of the BL edition and analyzes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its frontispiece and illustrations. The BL edition is one of the few surviving illustrated versions of the Shenxiao thunder rite classic,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yushu baojing jizhu (abbr. “Glossed Yushu baojing”). Basing on a colophon written by the thirty-ninth Celestial Master, it was dated to ad 1333 in some previous studies. This early dating made the BL edition the oldest illustrated version of the Glossed Yushu baojing. Further, the richness of its illuminations, including a frontispiece, portraits of forty-five Daoist deities, twenty-six illustrations accompanying the text, and a scripture guardian, led the BL edition to be considered as material essential to the study of Daoist woodblock prints of the Yuan dynasty.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aims at reinvestigating the dating of the BL edition. Through analyzing the colophons, the final cartouche and present physical condition of the BL edition, I propose that the BL edition is a later reprint rather than the first edition of the Glossed Yushu baojing printed in 1333. Comparison between the frontispieces and illustrations of the BL edition and those of other Buddhist and Daoist illustrated scriptures of the Yuan and Ming period further shows that the BL edition is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Yongle reign of the Ming dynasty or after.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enty-six illustrations and the accompanying text. As a printed copy intended for ritual use, the BL edition is illuminated by illustrations that serve not only to explicate the contents of the text, but also to impress viewers with the image of the Celestial Worthy and his virtue, so that the viewers could have a precise and profound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god whenever they recite his name or write talismans. This article takes the BL edition as an example and seeks to demonstrate how the study of scriptural images can shed light on the study of Daoism, and also serve as a step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Daoist prints.

keywords
Daoism, woodblock print, Yushu baojing, Leisheng puhua tianzun, visualization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