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국가 멸망을 해원(解冤)의 관점에서 조명하기 : 백제ㆍ고구려ㆍ신라ㆍ후백제의 멸망을 중심으로

Illuminating the Downfall of a Nation through the Lens of Grievance Resolution: Focusing on the Downfall of Baekje, Goguryeo, Silla, and Later Baekje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3, v.5, pp.81-113
https://doi.org/10.23209/jods.2023.5.81
차선근(Seon-keun Cha) (대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백제ㆍ고구려ㆍ신라ㆍ후백제의 멸망 과정을 해원의 관점에서 조명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한 국가가 멸망하는 이유가 정치⋅군사⋅외교⋅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인 원한을 풀기 위해 벌이는 복수 역시 그 원인에 포함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원통함을 복수로써 푸는 행위가 국가 멸망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는 드라마틱하다. 그리고 이것을 접하는 독자들은 인류 역사에 보편적이었던 탈리오법칙에 기대어 역사 전개의 필연성을 납득받게 된다. 폭력을 행사하여 원통함을 푸는 해원은 인간의 당연한 욕구라는 측면에서 그 정당성이 인정된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해원의 본질이 상대(또는 자신)를 향한 폭력이라는 사실은 국가 멸망이라는 역사를 통해 다시 확인된다. 그렇다면 근대 한국에서 출현한 많은 증산계 교단들이 ‘해원’을 자기들의 핵심 교의(敎義)로 표기하고 있는 현실은 짚어볼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이 교단들이 내세우는 해원은 복수의 폭력은 절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해원은 폭력을 동반하는 무서운 행위다. 그러므로 이 교단들은, 자신들의 해원이 폭력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고 한다면, 세간의 오해를 피할 수 있도록 해원 대신 다른 표현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현재 이것을 시행하고 있는 교단은 대순진리회가 거의 유일하다. 이 교단은 창립 초기부터 ‘해원’이 아닌 ‘해원상생’을 종교용어로 삼아 교의에 적시했다. 그들이 주장하는 해원이 폭력적이지 않고 상생을 지향한다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힌 것이다. 해원의 본질이 폭력임을 고려할 때, 해원 대신 해원상생을 선택한 대순진리회의 표기법은 다른 증산계 교단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국가 멸망, 탈리오법칙, 해원, 복수, 해원상생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downfall of Baekje, Goguryeo, Silla, and Later Baekje through the lens of grievance resolution. It asserts that while the factors leading to a nation's demise often involve elements like politics, military, diplomacy, and economics, revenge, as a primal human emotion, can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The narratives depicting vengeance as the catalyst for the destruction of nations are compelling. The reader is persuaded of history's unfolding inevitability, guided by the universal Talion law that has persisted throughout human history. The use of violence to address grievances is portrayed as a justified expression of a natural human need. Essentially, this article argues that violence against others (or oneself) is central to resolving grievances, as demonstrated by the historical record of national destruction. It is disconcerting, however, that many modern Korean religions stemming from Jeungsan incorporate “grievance resolution” as a fundamental tenet. While their interpretation of grievance resolution may not involve violent revenge, the original concept implies a terrifying act with violent undertones. Therefore, if these denominations do not perceive their grievance resolution as violent, they should use an alternative term to prevent misunderstandings. Currently, Daesoon Jinrihoe is one of the few organizations taking this approach. Since its establishment, the organization has coined the term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nstead of simply "Resolution of Grievances" within its religious doctrine. This deliberate choice underscores that the grievance resolution advocated by Daesoon Jinrihoe is non-violent and seeks mutual benefit. Given that the essence of grievance resolution is often associated with violence, Daesoon Jinrihoe's distinct terminology sets it apart from other denominations.

keywords
Collapse of A State, Talion Law, Resolution of Grievances, Reveng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