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임진왜란(1592~1598)과 일본의 삼한(三恨)

The Imjin War (1592-1598) and the Three Resentments (三恨) of Japan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3, v.5, pp.29-54
https://doi.org/10.23209/jods.2023.5.29
김진영(Jin-you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전경』에서 증산은 일본이 맺은 세 가지 한(三恨, Three Resentments)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삼한 중 첫 번째 한은 당시 일본군은 서울에 들어오지 못하였던 것이고, 두 번째 한은 무고한 인명이 많이 살해되었던 것, 마지막으로 모를 심는 법을 가르쳤던 것이 세 번째 한이다. 대순진리회에 따르면, 일본은 훗날 대한제국을 강제합병하는 과정에서 첫 번째 한을 푼다. 두 번째 한은 임진왜란 당시 무고한 인명을 의도치 않게 많이 살상하였음에도 조선의 ‘완전한 점령’에 실패했으나 20세기 초 비교적 큰 인명의 희생을 치르지 않고 식민통치가 가능하게 되면서 풀리게 된다. 포한(抱恨)의 주체가 주로 피해자에 국한되는 일반적 통념과는 달리 대순진리에서 해원의 대상은 어떤 사건의 가해자나 피해자, 인간이나 신명, 심지어 동물에까지 이른다. 이는 우주 만물의 조화와 운행을 주관하는 주재자로서, 증산의 포용적이며 광범위한 관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마지막 세 번째 한은 벼농사와 관련된 문명사적 측면에서 조망해보려 한다. 일본은 임란중 이른바 못자리에서 일정 기간 모를 키운 후 본답에 옮겨 재배하는 농법인 이양법을 조선에 전수했는데, 이로 인해 침략의 목적도 달성하지 못한 채 오히려 조선의 농업 생산성만 높여 주게 된 것이다. 넓게 보면, 벼농사는 인구 증가와 도시화, 경제, 사회의 발전과 문화와 지식의 발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류문명의 발전을 추동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일본은 사실상 의도치 않게 ‘적국’을 이롭게 한 결과를 초래한 셈이었다. 결국 조선 땅에는 한일합병직전 3년 동안 극심한 흉년이 들어 일본의 세 번째 한도 풀리게 된다. 나아가, 이 연구에서는 임진왜란 전후 국내외 정세를 살펴보고, 기 발표된 삼한의 해소 과정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여 보완한다. 아울러, 삼한의 인과(因果)를 문명사적 측면에서 조망하고, 삼한당을 당호로 해석할 때, 이 명칭이 지닌 중층적 의미를 제시한다.

keywords
임진왜란, 삼한, 삼한당, 조선, 일본, 증산, 『전경』

Abstract

The Canonical Scripture depicts Jeungsan discussing the three resentments brought upon Joseon by Japan to his disciples. The first resentment refers to the Japanese army’s failure to enter Seoul, while the second resentment represents the large-scale loss of innocent lives. The third resentment involves the teaching of rice plant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Daesoon Jinrihoe, in the process of forcibly annexing the Korean Empire, Japan resolved the first resentment. Despite their failure to achieve a complete occupation of Joseon(Korea) during the Imjin War, Japan was able to establish colonial rule without inflicting significant sacrifices, thus resolving the second resentment. In the teachings of Daesoon Truth, the subject of resentment extends beyond the common notion that it primarily includes the victims. It encompasses not only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but also humans, divine beings, and even animals, as agents responsible for the harmony and operation of the heaven and earth. This reflects Jeungsan’s inclusive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as the presider governing the harmony of all things. The third resentment is examined from a civilization-historical perspective, specifically in relation to rice farming. Japan introduced the practice of cultivating rice in a separate location before transplanting it to the main field, known as the young rice planting method, to Joseon. This unintentionally increased Korea’s agricultural productivity without achieving Japan’s invasion goals. Broadly speaking, rice farming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driving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economic and social progress, as well as cultural and intellectual advancements. In inadvertently benefiting the ‘enemy’ by transferring advanced agricultural techniques from the birthplace of rice farming, Japan caused a result that was contrary to its original intentions. Ultimately, severe famine during the three-year Japanese colonial period led to the resolution of Japan’s third resentment on the land of Joseon.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s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r and analyzes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existing Three Resentments. Additionally, it explores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Three Resentments from a civilizational perspective. Interpreting the term, ‘the set of Three Resentments,’ as the House of Three Resentments suggests the potential for a layered meaning inherent in this designation.

keywords
Imjin War, Three Resentments, the set of Three Resentments, Joseon, Japan, Jeungsan, The Canonical Scripture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