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방식의 우울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Dysfunc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with Depress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변인으로 알려진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방식이 우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또한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방식들이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고자 증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심리학개론을 수강하는 19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역기능적 태도와 소극적 대처는 정적으로, 적극적 대처와 문제-중심 대처는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울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기능적 태도가 높을수록, 소극적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이 높아지며, 적극적 대처와 문제-중심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우울에 대한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방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적으로 알아본 결과, 우울에 대한 역기능적 태도와 적극적 대처, 역기능적 태도와 문제-중심 대처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기능적 태도가 높아 우울이 높을 때, 적극적 대처와 문제-중심 대처를 사용할수록 역기능적 태도가 끼치는 그 영향력을 완화시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는 부분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see the relationship of dysfunc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with depression, and to explore how interaction of dysfucn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influences depression by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ysfunc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have been known moderators for stress and depression. Subjects were 196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introduction of psychology. The result was that dysfunctional attitude and passive coping style were found positively significant for depression. And active coping style and problem-focused coping style were found negatively significant for depression. It implies that higher dysfunctional attitude and more passive coping style increase depression, while more active coping style and mor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decrease depressio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 and both active and problem-focused copihg styles with depression were found significant. This explains the fact that if depression increases due to high dysfunctional attitude, active coping style and problem-focused coping style can buffer influence of dysfunctional attitud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artial interaction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coping style influenced depression. Finally significanc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