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재활정신의학 : 임상심리학의 새로운 전망
손명자(계명대학교 심리학과) pp.1-15
초록보기
초록

본 글은 정신건강분야에서 최근에 발전된 재활정신의학에 대해 소개하였다. 그 목적은 아직도 한국에서는 크게 논의되지 않고 있는 이 분야를 알리고, 그 적용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었다. 먼저 재활정신의학의 발전사를 통하여 그 출현의 당위성은 알아 보았으며, 기초가 되는 이론적 모형과 개입전략의 절차를 서술하였고, 대표적인 프로그램들의 내용을 설명하였다. 더하여 재활정신의학을 우리나라의 기존의 정신건강체계에 수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재활정신의학의 활성화를 위하여 요망되는 임상심리학자의 교육 및 훈련 과정의 보완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psychiatric rehabilitation which has been recently developed but unknown to Korea. First, it deals with the necessity of its dicipline through the history of psychitric rehabilitation. Next, the theoretical model and the steps of intervention strategy were described with it's major programs.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to the Korean Mental Care System was mentioned. Finally,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clinical psychologists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was discussed.

한국형 MMPI-168의 임상적 타당도
이정흠(서울대학교 병원 신경정신과) ; 김중술(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pp.16-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과 장면에서의 MMPI-168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계수나 집단간 평균비교 뿐만 아니라 개인별 프로파일쌍의 일치도를 살펴보았다. 피험자는 정신과 외래 및 입원환자 213명이었고, MMPI-168에서 표준형 MMPI의 점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김중술과 박동건(1991)의 회귀식을 사용했다. 표준헝과 MMPI-168의 척도별 상관계수, 차이점수의 평균 및 분포, 개인별 프로파일쌍의 일치도를 살펴 본 결과, 전반적인 상관정도는 높았으나, 개인별 프로파일쌍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고,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따라서 정신과 장면에서 불가피한 상황에 한정되어 개fir적인 screening 목적이외에, MMPI-168을 표준형 MMPI 대신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linical utility of the MMPI-168 in psychiatric settings. Subjects were 213 psychiatric patients of both sexes. Not only correlation coefficients or group mean comparisons between standard MMPI and MMPI-168 but also difference score and correspondence of individual profile-pairs were examined. Correlations were also generally within acceptable limits, but difference scores were too large and correspondence of individual profile-pairs was limi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sing MMPI-168 in psychiatric settings instead of standard MMPI is undesirable.

알콜리즘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홍창희(국립나주정신병원) ; 이상렬(군산의료원 정신과) ; 오상우(원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pp.29-4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알콜리즘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알아 보았다. 153명의 재표준화집단 자료의 문항분석결과 69문항 중 49개의 문항이 보다 타당한 문항으로 추출되었다(NAL). 66명의 알콜집단과 66명의 일반집단을 대상으로 NAL의 실시 결과 반분신뢰도, α계수 및 점사-재검사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편으로 척도의 내적일관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척도의 대부분의 문항들은 두 집단을 유의미하게 변별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알콜집단의 척도평균이 일반집단의 평균보다 크게 높았고 적정분류기준점수는 16점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알콜리즘선별검사와의 상관도 나타났다. NAL의 요인구조를 알아본 결과 심리적 불안정과 신체적 불편감, 인지적 손상, 사회적 내향성과 자신감의 결여, 가족불화와 투사, 음주요인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끝으로 진단 및 선발,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alcoholism scale. From the item analysis of 153 restandardization samples, 49 items(NAL) were extracted as more valid items among the original 69 items. The NAL was administered to 66 alcoholics and 66 normal adults. The results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high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split-half reliability, α coeffici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 Most items of the scale showed good validity index. The means of the scale of the alcoholic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adults, and the optimal cut-off score of the scale was 16 points. The corelation between NAL and AST was significant. Five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based on NAL. The extracted 5 factors were : psychological unstability & physical discomfort, cognitive impairments, social introversion & lack of self-confidence, family discord & projection, and drinking factors. Finally we discussed the considerations for the diagnosis, screening,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정신분열증환자 집단, 양극성장애환자 집단 및 분열정동장애환자 집단간의 MMPI 판별연구
김현호(용인정신병원) ; 한양순(용인정신병원) ; 한일우(용인정신병원) pp.41-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집단, 양극성장애 집단 및 분열정동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 집단에 대한 MMPI의 판별력과 각 집단별 MMPI의 반응 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991년 1월부터 1993년 7월까지 용인정신병원에 입원한 바 있는 정신분열증환자 25명, 양극성장애환자 25명, 분열정동장애환자 25명 등 총 75명으로 정신과 전문의가 DSM-III-R의 진단 준거에 따라 최종 진단을 내린 환자로 구성되었다. 세 집단 간에 MMPI의 하위 척도 중 D와 Si척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또한 코드유형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이와 더불어 MMPI의 프로파일은 정신분열증집단에서는 8-9-6형, 양극성장애집단에서는 9-6형, 분열정동장애 집단에서는 6-8-9유형으로 세 집단에서 보이고 있는 프로파일유형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판별함수분석에서는 세 집단 간에 정신분열증을 정신분열증으로 보는 판별력은 76%로 꽤 높았는데 이에 비해 양극성장애를 양극성장애로, 분열정동장애를 분열정동장애로 판별해줄 확률은 양 집단 모두 52%로 같았다. 마지막으로 양극성장애와 분열정동장애가 잘 감별되지 않는 이유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MPI patterns in schizophrenics, bipolar disorder and schizoaffective patient group and to discriminate among three groups by discrimination function analysis of MMPI. There were no significant code type differences in three groups. Schizophrenic group had 8-9-6 profile, bipolar group 9-6 profile and schizoaffective group 6-8-9 profile. Among three groups, probability to be discriminated schizophrenics in schizophrenics was 76%, probability to be discriminated bipolar disorder patients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52%, and probability to be discriminated schizoaffective parients 52% by discrimination function analysis of MMPI.

K-WAIS 의 요인분석 : 정신과 환자집단 자료를 중심으로
김은정(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김중술(서울대학교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pp.52-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과 환자집단의 K-WAIS(1992) 자료를 중심으로 K-WAIS의 요인구조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6세에서 73세의 남녀 141명으로, 9개월 동안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를 방문한 외래와 입원환자들이었다. 요인 분석 결과, 2 요인 모델이 정신과 환자집단의 K-WAIS 자료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두개의 요인들(언어적 이해력 요인, 지각적 조직화 요인)이 추출되었다. 언어적 이해력 요인은 어휘문제, 이해문제, 기본지식문제, 산수문제, 공통성문제 소검사 등으로 구성되었고, 지각적 조직화 요인은 모든 동작성 소검사들과 숫자외우기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또한, 모든 소검사들이 첫번째 회전되지 않은 요인에서 높은 요인 부하량을 보임으로서, 일반적 지능을 나타내는 일반요인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WAIS in a sample of 141 psychiatric patients(ages 16 to 73). The two-factor solution proved more informative and showed the familiar two-factor structure(Verbal Comprehension and Perceptual Organization). Vocabulary, Comprehension, Information, Arithmetic, and Similarity subscales showed strong loadings on Verbal Comprehension factor, whereas all Performance subtests and Digit Span subscale showed strong loadings on Perceptual Organization factor. And, the robustness of an overall intelligence dimension was supported. The first unrotated factor clearly represented general intelligence and all subscales loaded significantly.

조증환자와 정신분열증 환자의 Rorschach 반응 비교(1)
유인옥(부산 대남병원) ; 박순환(부산 대남병원) ; 주영희(부산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pp.62-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75명의 조증환자 집단과 77명의 정신분열증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두 집단의 Rorschach 반응의 특징을 알아보고, 두 집단을 잘 변별해 주는 반응들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Rorschach 반응들은 Exner 종합체계(1986)에 따라 실시되고, 채점되고, 분석되었다. 조증 집단은 7명의 경조증, 52명의 정신병적 증상이 수반되지 않은 조증기에 있는 양극성 장애, 16명의 정신병적 증상이 수반된 조증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정신분열증 집단은 26명의 편집형 정신분열증과 51명의 다른 하위유형에 속하는 정신분열증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Exner가 제안한 70개 변인중에서 조증 집단은 정신분열증 집단에 비해 14개 변인(R, P, W, FQo, M, Ma, FM, a, Wgt Sum C, Sum C`, Zf, EA, es, X+%)에서 평균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4개 변인(X-%, SCZI, SUM6 SP SC, WSUM6 SP SC)에서는 평균치가 유의하게 낮았다. 9개 변인(R, P, Ma, a, Sum C`, es, X-%, SUM6 SP SC, WSUM6 SP SC)이 유의한 판별 변인이었다. 그 후 같은 70개 변인에 대해, 정신병적 증상이 수반된 조증 집단(MP집단)의 반응과 편집형 정신분열증 집단(SP집단)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MP집단이 SP집단에 비해 10개 변인(R, W, DQv, FQo, Ma, a, CF, Wgt Sum C, Primary content, All H)에서 평균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2개 변인(S-CON, DEPI)에서 평균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이런 결과들을 볼 때, 조증 집단은 정신분열증 집단에 비해 더욱 능동적이고 활발한 사고 작용과 더욱 풍부한 정동 반응을 보이고. 더욱 적은 인지적 결함 반응들을 보였다. 그리고 정신병적 증상이 수반된 조증 집단은 편집형 정신분열증 집단에 비해 더욱 활발한 사고 작용과 유쾌한 정동반응 및 인간관계에 대한 관심을 보이나, 두 집단은 인지적 결함 반응들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purposed to identify and differentiate between manic group(N=75) and schizophrenic group(N=77) on Rorschach responses. Rorschach was administered, scored, and analyzed by Exner's comprehensive system(1986). Manic group consisted of hypomania(N=7), bipolar disorder, manic without psychotic features(N=52), and bipolar disorder, manic with psychotic features including schizoaffective, manic type(N=16). Schizophrenic group consisted of schizophrenia, paranoid type(N=26) and schizophrenia, ocher type(N=51). In 70 variables proposed by Exner, manic group was scored higher than schizophrenic group on 14 variables(R, P, W, FQo, M, Ma, FM, a, Wgt Sum C, Sum C', Zf, EA, es, X+%), but was scored lower on 4 variables(X-%, SCZI, SUM6 SP SC, WSUM6 SP SC). 9 variables(R, P, Ma, a, Sum C', es, X-%, SUM6 SP SC, WSUM6 SP SC) well discriminate these two groups. Further, manic disorder with psychotic features subgroup(MP subgroup) was compared to schizophrenia, paranoid subgroup(SP subgroup) on the same 70 variables. MP subgroup was scored higher than SP subgroup on 10 variables(R, W, DQv, FQo, Ma, a, CF, Wgt Sum C, Primary content, All H), but was scored lower on 2 variables(S-CON, DEPI).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anic group showed more active thinking and affective responses but less cognitive slippage than schizophrenic group, and that MP subgroup showed more active thinking, pleasant affective responses, and concern to human relationship than SP subgroup, but cognitive slippage was not different in these two subgroups.

정신분열증 환자의 암묵기억에 관한 일연구
이경희(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안창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73-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유회상, 단서회상, 재인 등과 같은 외현기억을 보는 전통적인 기억검사에서와 달리 의식적인 재생을 요구하지 않는 암묵기억에서도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기억손상을 보이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암묵기억과제로는 자료주도적 검사로 어간완성검사가 시행되었으며 각기 관련단어 조건과 비관련단어 조건으로 분류하여 실시되었다. 외현기억 과제로는 암묵기억 과제와 병행하여 단서회상이 실시되었으며 역시 관련단어 조건과 비관련단어 조건으로 분류되어 실시되었다. 결과는 단서회상에서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여 유의미한 기억손상을 보였다. 특히 관련단어 조건에서 회상이 용이하도록 기억조성적 조작이 가능할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였다. 어간완성량으로 본 암묵기억에서도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유의미한 손상을 보였다. 의도적으로 회상해낼 것을 요구하지 않은 채 물리적, 지각적 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사려되는 암묵기억에서도 정신분열증환자들이 기억손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은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자동적인 활성화 과정으로 사려되는 암묵기억에서도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손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은 기억손상이 주의나 동기에 부수되는 이차적인 장애라기보다는 뇌구조적인 장애에 기인되는 일차적인 장애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erformance o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tasks in schizophrenia. Tasks included the cued recall test as explicit task and the word stem completion test as implicit task under the two conditions(unrelated word condition vs related word condition). And then, analyses were done on scores of cued recall test, word stem completion test under the two conditions. The results wer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impaired performance on both the explicit and implicit memory tasks under the two conditions. Many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amnesic patients who showed deficits on explicit memory task did not show impaired performance on implicit memory task in comparison with normals. It is clear that abnormalities in attention, arousal and motivation are present in schizophrenia.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may be necessary to reconsider the implications of the brain structual or physiological abnormalities in schizophrenic's memory deficit.

정신분열증 환자의 개인적 구성개념 특유성
손정락(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84-104
초록보기
초록

형태 사고장애 정신분열중 환자들의 이완 구성개념화룰 평가하고, 록히 대인경험 영역에서의 개인적 구성개념 구조를 알아 보았다. 요소(인물사진, 실제인물 및 사물)와 구성개념 (심리적 구성개념, 신체적 구성개념 및 물리적 구성개념)의 조합으로 만든 다섯 종류의 Rep Grid로써 대인지각 영역과 사물지각 영역을 검증하기 위하여 분할 소구획 요인설계를 하였는데, 피험 자간 요인설계 (각 피험자 집단)와 피험자내 요인설계 (요소들과 구성개념들)를 하였다. 결과는 형태사고장애 정신분열증 환자들을 물리적 구성개념으로 사물을 판단할 때 보다, 특히 심리적 구성개념과 신체적 구성개념으로 사람을 판단할 때 구성개념에 요소를 일관되게 배정하지 못하는 이완 구성개념화와 구성개념-구성개념 이완 구성개념화를 나타내었다. 요소-구성개념의 이완 구성개념화는 인물사진 및 실제인물 요소에서 특히 이완 구성개념화를 나타내었으며, 사물요소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는 결과들로도 나타났다. 이들 비일관성은 대인경험 영역에서의 갈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완 구성개념화의 발생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loose construing of formal thought-disordered(TD) schizophrenics' personal construct system and to clarify whether their loose construing does occur in a specific construct subsystems, i.e., especially in interpersonal experience areas. For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five different Rep Grids were used, which were consisted in the possible combination of elements(photographs of people, real people, and objects) and constructs(psychological, body-related physical, and object constructs). Split-plot factorial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subjects' construct subsystems. The results were that TD schizophrenics were less disordered relative to NTD schizophrenics and normals when using object constructs than when using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body-related physical constructs irrespective of whether photographs of strangers of known people are used as elements to be construed. That is, TD schizophrenics obtained significantly lower construct intensity and element consistency than NTD schzophrenics and normals on Rep Grid employing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body-related physical constructs but not on object constructs. The inconsistency was inferred as a genesis of the schizophrenic formal thought disorder for its possible relations of interpersonal conflict.

간질환자의 인지적 장애와 정신과적 증상
정진복(가톨릭의대 신경정신과학교실) ; 최정윤(가톨릭의대 신경정신과학교실) pp.105-112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간질환자의 인지석 장애와 정신과적 동반장애를 평가하고 적절한 항경련제 치료 후 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지속적 치료를 받지 않아 간질조절정도가 빈약한 13명을 선택하었다. 처음에 이들에게 KWIS, WMS, BGT, MMPI를 실시하였고 vigabatrin 투여 10주후 재실시하였다. 결과는 인지적 측면에서 지능과 BGT 모사점수는 변화가 없었으나, BGT 회상점수와 웩슬러 기억척도의 논리적 기억 및 전체기억지수가 향상되었다. MMPI로 평가한 정신과적 증상은 2-3-1-7-8 프로파일을 보여 우울증이나 불안을 수반한 우울증진단이 시사되었으며, 항경련제 치료후 D, Pt 및 Pa, Sc 척도가 극적으로 감소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not only examine the cognitive performances and psychiatric morbidity of patients with epilepsy but also compare pre-post performances after adequate antiepileptic treatment. 13 epileptic subjects without persistent antiepileptic treatment before whose extent of seizure control was poor were selected. First KWIS, Wechsler Memory Scale, BGT, MMPI were administered and followed by retest session 10 weeks later with vigabatrin treatment. The results was following. In cognitive performences KWIS and BGT copy score were not significant. But post score on the BGT recall, Wechsler MQ, and logical memory of Wechsler Memory sub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score. In psychiatric symptoms MMPI showed a 2-3-1-7-8 profile which suggested the depression or depression with anxiety. They also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d score on D, Pt, Pa & Sc scale after antiepileptic treatment.

자의식과 부정적 생활경험이 대학생의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은주(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13-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의식이 높은 개인은 실패를 경험했을 때 괴로운 자기인식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자의식이 낮은 개인에 비하여 알콜소비정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Hull의 자기인식이론을 한국대학생의 음주행동을 이해하는데 적용해 보았다. 남녀대학생 985명에게 응답자의 배경정보와 자의식 척도, 긍정적/부정적 생활경험, 음주빈도와 양, 문제성음주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경정보와 자의식 총점, 생활경험 평점점수 등을 음주행동 예측변인으로 설정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한국 대학생들이 미국 대학생들보다, 또 여학생집단이 남학생집단보다 자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남학생은 자의식이 낮을수록, 부정적 생활경험을 많이 하고 이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낮을수록 음주정도가 높고 문제성음주를 하는 경향을 보였고, 술로 인한 문제를 지닌 가족력은 문제성 음주와 관련되었다. 여학생은 부정적 생활경험으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보고할수록 음주정도가 높고 문제성 음주를 하는 경향이 있었고, 대학생활에서 참여도가 높을수록 음주정도가 높았다. Hull의 이론이 가정하였던 자의식과 부정적 생활경험간의 상호작용은 남녀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높은 자의식이 한국 남자대학생의 음주행동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self-consciousness and negative life-events on drink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985 college students. The measures of interest included the following : self-consciousness scale, negative/ positive life events, personal background information, quantity and frequencey of alcohol use and problem drinking. With self-consciousness scores, life event impact rating scores and personal background information as predi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test direct effects of predi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are more self-conscious than men and Korean college students are much more self-conscious than their American counterparts. For men low self-consciousness, greater negative life event ratings, low major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degree of drinking in general and also with more problem drinking. Family history of alcohol abuse was also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For women, greater negative life event impact was associated with more drinking as well as more problem drinking.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was also associated with a greater degree of drinking.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negative life events was not obtained for either male or female drinkers. Contrary to what has been reported in studies with American subjec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a high level of self-consciousness affect alcohol use of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as an inhibiting factor.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role of self-consciousness in alcohol use and also to determine whether these findings apply to a alcohol use among adolescents and adults.

청소년기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 인지적 몰락을 매개변인으로 -
김정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26-14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적으로 만연하고 있는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밝히고자 Weiner의 분류 유형 중 신경증적 비행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서울 시내 실업계 및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생 528명을 대상으로 숨은 비행척도, Beck의 우울증 척도, 자기 도피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 질문지와 함께 사회경제적 수준, 학교 성적 수준 등을 평가하였다. 우선적으로 비행척도의 타당화 연구가 선행되었으며, 우울과 비행간의 내적기제에 대한 가설검증이 실시되었다. 분석 곁과, 고등학생 집단에서 우울은 비행과 관련이 있었으나 이는 인지적 몰락을 매개로 하는 관계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Baumeister의 '인지적 몰락'에 대한 이론이 우울로 인해 발생하는 비행을 설명하는데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neurotic delinquency, particularly delinquency associated with depres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Scale for Escape from the Self, Latent Delinquency Questionnaire and the brief questionnaire concerning social-enconomic status, academic performance level of the students were administered to 528 students in high school students. First,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alidate LDQ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LDQ is vali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delinquent behaviors committed by depressed adolescents might be mediated by the state of "cognitive deconstruction" as defined by Baumeister. The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linquency among that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were mediated by "cognitve deconstruction" as measured by SES. When the subject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a high depression group and a low depression group on the basis of BDI score), the cognitive deconstruction variable accounted for more variance in the high depression group than in the low depression group.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mean that Baumeister's theory of cognitive deconstruction is useful in understanding delinquency associated with depression. Finally, the pattern of results obtatined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specific types of delinquent behavior, suggesting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delinquents are mare important than the type of delinquent behaviors displayed in understanding juvenile delinquency.

신장수여자의 수술경과 시간에 따른 심리 사회적 적응, 대처행동, 정서 및 신체적 변화
유희정(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김창윤(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이철(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한오수(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박인호(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한덕종(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일반외과) pp.142-1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신장이식수술 이후 경과된 시간(수술 1∼10일 이전(32)명, 수술이후 1~6개월(29명), 수술이후 6∼12개월(23명), 수술이후 12개월∼36개월(26명))에 따라 4집단으로 구분된 총 110명의 신장수여자 집단간 및 이미 신장수술을 받은 78명의 신장수여자와 78명의 정상인 집단간의 심리사회적 적응, 대처행동, 정서적 변화 및 신체적 영향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신장이식 수술이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심리사회적 적응측면에서의 차이는 여가 및 사회활동을 제외하면 4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전혀 없었고 문제중심적 대처와 감정중심적 대처방식에서도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상태불안, 특질불안, 우울성향인 정서적인 측면과 보행, 기동성, 신체를 보살핌과 같은 신체적인 어려움은 수술이전 상태인 신장수여자들이 이미 수술을 받은 신장수여자들에 비해 점수가 높아서 4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신장수여자 집단과 정상집단을 비교한 결과, 건강에 대한 주의, 여가 및 사회활동은 오히려 정상인이 신장수여자보다 어려움이 더욱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심리석 고통, 우울성향의 정서적 측면과 보행, 기동성, 신체를 보살핌과 같은 신체적 어려움은 정상인에 비해 신장수여자가 더욱 컸다. 끝으로 신장수여자는 정상인에 비해 감정중심적인 대처경향이 높은 반면 정상인은 신장수여자에 비해 문제중심대처 경향이 높았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of psychosocial adjustment to illness, coping behaviors, emotions and sickness impact of 110 kidney recipients in before(N=32) and following kidney transplantation operation(1 to 6 months(N=29), 6 to 12 months(N=23), 12 to 36 months(N=26) and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78 posttransplant kidney recipients and 78 normal control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kidney recipients groups on psychosocial adjustment and coping behavior measures, except social enviornment, However on emotional and sickness impact measures, pretransplant recipien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tate anxiety, trait anxiety, depression, ambulation, mobility, body carement measures than three posttransplant recipient groups. In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transplant kidney recipients and normal control groups, on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and social impact measures, normal controls revealed higher scores on health care orientation and social enviornment than the posttransplant kidney recipients. But posttransplant kidney recipients were higher scores on psychological distress, depression, ambulation, mobility and body carement than normal controls. Finally, posttransplant kidney recipients showed more affect-oriented coping behaviors than normal controls, on the contrary normal controls were more problem-oriented coping behaviors than the posttransplant kidney recipients.

통제소재와 사회적 문제해결과의 관계 -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
이형초(서울 백제병원 가톨릭의대 정신과학교실) ; 최정윤(서울 백제병원 가톨릭의대 정신과학교실) pp.152-16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통제 소재와 사회적 문제 해결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73명의 (38-54세) 중년여성에게 내외통제 척도와 사회적 문제해결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사회적 문제해결과 내외통제 특성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r=.44 p<.001) 보였으며, 그 하위요소인 문제해결 지향척도와 문제해결 기술척도에서 각각(r=.33 p<.01 : r=.37 p< .001)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내외 통제 특성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문제 해결에서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해결의 모든 하위 요소에서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문제해결 기술척도(PSSS)가 문제해결 지향척도(POS)보다 더욱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통제소재의 차이에 따라 문제해결 양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 보다 문제해결 상황에서 긍정적인 기대와 동기를 가지게 되고 적극적인 자세로 상황에 대처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문제해결 상황에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대처반응이 중요하지만 실제적인 문제해결 기술을 학습시키는 것이 외적 통제자의 자기통제감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on middle-aged women. Seventy three wemen(37-54 age=44, SD=3.72) completed locus of control scale and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zero-order correlation and anal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positive relation(r=.44, p<.001)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nals and externals insocial problem solving. This results suggested that internals have more positive orientation and active problem solving skill than externals on social problem solving.

성격유형 형용사 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최윤경(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안창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61-1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여 Millon의 기본 성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형용사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척도의 구성과 타당화는 Loevinger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178문항을 포함한 9개의 성격유형 척도가 개발 되었으며, 이들은 Millon의 8가지 기본 성격과 세가지 심각한 유형을 반영하는 문제지표로 구성되었다. 요인분석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이 수행되었다. 이들은 높은 내적 합치도와 2주일에 걸친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 자기 보고식 검사에 기초한 좋은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보여주었다. 요인분석에서, 이들은 정서적 신경증, 주장성-공격성, 순응성, 그리고 사회적 내-외향성으로 해석되는 차원들을 산출했다. Millon의 이론을 정상인에게 적용하는 것과 같은 연구 노력은 성격의 전체 스펙트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djective scales to assess the Millon personality types in a normal population.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followed a method outlined by Loevinger. Nine scales containing 178 words were developed, one for each of Millon's eight basic personalities plus a Problem Indicator scale measuring aspects of his three more severe types. Extensive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es were conducted, including a factor analysis of scales. These revealed high internal consistency for each scale, high test-retest reliability over a 2-week period, and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based on self-report data. In factor analysis, these scales yielded dimensions which were interpreted as Affective Neuroticism, Assertiveness-Aggressiveness, Conformity, and Social Introversion-Extraversion. Research efforts focusing on Millon's theory as it applies to normals may bring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entire spectrum of personality.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역기능적 태도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효과
박희석(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오상우(원광대학교 의과대학) pp.179-196
초록보기
초록

이전 연구들에서 스트레스와 우울에 중재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많은 변인들이 아직 일관성있게 밝혀지지 않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30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변인들 가운데 사회적 지지, 역기능적 태도 및 대처방식 등의 변인들이 스트레스와 우울을 중재하는지 혹은 매개하는지 그 차별적인 역할을 분명히 밝혀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를 과업관련 스트레스와 대인관계관련 스트레스로 나누어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이들 독립변인들이 우울에 다르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 역기능적 태도 및 대처방식 모두는 스트레스와 우울에 중재작용하지 않고 매개작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와 역기능적 태도는 우울에 상호작용효과를 보여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역기능적 태도가 중재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스트레스 유형에서 과업관련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들에게는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대인관계 관련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들에게는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우울에 대한 설명변량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 유형간 비교에서 대인관계관련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들은 과업관련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들보다 스트레스의 우울에 대한 설명력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을 보다 정확하게 예언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와 우울을 보다 심도있게 접근하도록 해 줄 것으로 여겨진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Since many variables found as moderaters for stress and depression in previous studies have been inconsistent, this study was to see wheather social support, dysfunc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among moderaters moderatet or mediate for stress and depression. In addition, classified were work-related stress and interpersonal-related stress, this study was to see how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stress influence depression according to stress types. Subjects were 305 college students. The result was that social supports, dysfunc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were not found as moderators but mediators for stress and depression. However,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dysfunctioal attitude was so significant that dysfunction attitude moderated f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for people with work-related stress depression explained significantly by social support and stress in sequence, and for people with interpersonal-related stress depression explained significantly by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sequence. Stress by people with interpersonal-related stress explained more significantly depression than stress by people with work-related stress. This result can provide more precise predictors depression, and also can approach more profou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중학생용 생활스트레스와 대처 척도의 개발연구 I
김교헌(충남대학교) ; 전겸구(대구대학교) pp.197-2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학생들에게 사용될 수 있는 생활스트레스와 대처척도를 개발하려 하였다. 중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대처 경험에 대한 자유기술식 응답과 국내외 선행연구들로부터 문항을 구성하여 예비척도를 만들었다. 문항분석 과정을 거쳐 척도를 재구성하고, 본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자료를 얻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안산과 대전의 중학생 204명(예비문항 구성을 위한 연구)과 279명(문항분석 및 신뢰도ㆍ타당도 연구)이었다. 8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스트레스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면에서 연구용 척도로 사용하기에 수용할만 했다. 8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대처 척도 역시 신뢰도와 타당도에서 받아들일만 했다. 각 척도의 구성 타당도와 대처 유형의 일관성에 관한 문제가 논의되었다.

Abstract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a life stress and coping scale for Kore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ems, used in the preliminary scale were selected from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references on life stress and coping in both English and Korean. In addition, some items were selected from a preliminary survey on life stress and coping, using an open questionnaire. Items used in the scale were selected by item analysis. Participants were 204 (preliminary survey) and 279(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ife stress scale composed of 8 subscales were shown to be satisfactory. Those of the coping scale which is also composed of 8 subscales were shown to be satisfactory too. Finally,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and cross-situational consistency in coping strategies were discussed.

속담을 통해서 본 한국인들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종목(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송병일(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pp.218-2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중재변인을 이론적으로 설정해 놓고 우리의 속담이 지향하고 있는 대처전략의 방향을 분석하였다. 속담 분석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단순 양적 분석으로 스트레스 중재변인과 관련된다고 생각되는 속담을 속담사전에서 모두 뽑아 보았다. 이렇게 해서 선별된 속담은 모두 172개 였으며, 중재변인별로 분류해 본 결과 스트레스원, 정서중심적 대처, 그리고 A형 행동과 관련된 속담들이 가장 많았다. 즉 우리의 속담은 인생 자체를 스트레스로 보고 있으며, 가능한 한 빠른 시간내에 정서적으로 대처하려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172개의 속담중 인지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속담 93개를 최종 선별하여, 458명의 대학생들에게 속담 각각에 대한 인지도, 공감도, 사용도의 경향을 분석하여 보았다. 이들은 삶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기보다는 오히려 긍정적, 현실적 시각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특히 사회적 지원 관계를 통해 삶을 살아가려는 의지가 강했으며 감정적 수단보다는 능력과 경험을 중시하려는 현실지향적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성차별 의식은 상당히 해소되었으나 관련 행동에서는 아직도 차별주의적 경향이 그대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의 전통적 삶의 철학이 부정적, 감정적 차원에서 긍정적, 현실적 능력주의로 전환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se to direction of coping strategies as found in proverb and the hypothetical mediate variables. The analysis of proverb is consist of largely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sample quantitative analysis of proverb which is selected the proverb related to the mediate variable of stress as found in proverb cyclopedia. The proverb selected was as 172 and the result divided according to mediate variable show that stressor, emotional divided according to mediate variable show that stressor, emotional coping and A-type behavior are many. That is, The proverb of a Korean see the life as stress, and it is consisted mainly the content with is emotional copied as possible as quickly. The second stage selected finally 93 proverb which is considered the higher knowledge event among 172 proverb. The present analyzed the tendency for degree of the knowledge, empathy and use of the proverb seperately. The proverb interpreted the life as the possible perspective rather than the negative perspective. The will to live with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is strong and the result showed the reality tendency rather than the affective tendency. The sense of sex distinction is dissolved considerably but the related behavior yet expressed. The traditional life philosophy converted from the negative affective to the positive, realistic dimen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