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MMPI에서 평가하고 있는 증요한 정신병리와 성격차원을 밝히고, 내용 및 성격장애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표준 타당도 및 임상척도, 내용척도, 성격장애 척도의 상관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하여 척도들간 상호관련성의 정도와 본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표준, 내용, 성격장애 척도에서는 각각 3개, 2개,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들을 결합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집단별, 성별에 따라 요인의 수와 구조가 비교적 일관성있게 나타났다. 이는 MMPI의 해석의 명확성과 구체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 MMPI의 적응영역을 확장시키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sychopathological factors and personality-dimensions which were assessed by MMPI, an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content scales and personality disorder scales. For this purpose, the degree and nature of intercorrelation among scal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of standard validity, clinical scales, content scales and personality disorder scales in MMPI. The results showed that 3 factors were extracted in standard scales, 2 factors in content scales, 3 factors in personality disorder scales, and 6 factors in combining these scales, Also, the number and structure of factors are compartively consistent by groups and s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ecification and clarity of interpretation of MMPI may be improved. This study may be helpful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MMPI and obtain additive various informations.
본 연구에서는 비타당반응 700개와 정신과 환자 자료 553개, 정상인 자료 326개, 대학생 자료 209개를 대상으로 비타당 프로파일 탐지책략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타당도 척도와, CA, TR, 한국형 MMPI 척도(NF, NSc). 그리고 10개의 임상척도를 포함하여 판별분석한 결과, 타당반응과 비타당 반응을 매우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었고, 교차타당화 결과에서도 이 분류기준이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집단에 적절하게 각기 다른 탐지책략을 사용할 가능성과 비타당 프로파일의 유형의 확인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탐지책략은 현재 컴퓨터 자동채점을 이용한 대량채점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를 고려해 볼 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ity of invalid profile identification strategies with MMPI profiles of 700 invalid responses, 553 psychiatric patients, 326 normal populations, and 209 undergraduat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ecuted discriminant analysis in which 10 clinical scales as well as validity scales, CA, TR, Korean version MMPI scales(NP, NSc) were included. The results showed that valid response and invalid response were highly accurately classified. Also, this criterion were stable in cross validation. It was discussed whether different identification strategies were used in different groups and the type of invalid profiles was understood. Considering that massive scoring, using computer automatic scoring, is being pervasive, we can expect that identification strategies suggested by present study may be effective.
본 연구는 교통사고 이후 소송과 관련되어 있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MMPI를 통하여 알아보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이 MMPI에서 나타내는 대표적인 프로파일 유형을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 50명의 MMPI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들의 평균 프로파일은 1-2-3-7-8형으로 나타났다. 각 척도별 T점수를 군집분석한 결과 3개의 하위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첫번째 하위집단(8%)은 1-3-7-8 프로파일로 T점수가 70이상 상승된 집단이며, 두번째 하위집단(22%)은 타당도 척도 V형의 3-1-2 프로파일, 세번째 하위집단(70%)은 1-3-2-7-8 프로파일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집단의 MMPI 유형은 신경증 척도와 정신증 척도가 함께 상승하는 소위 '상승 프로파일' 형태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척도 1의 상승으로 신체화를 통한 호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patients who were at law because of compensation after traffic accident. MMPI was administered to 50 PTSD patients and 1-2-3-7-8 profile was founded by total mean of T score of each MMPI scale. Three groups were noted by multivariate cluster analysis of each T scores. They were 1-3-7-8 profile and above 70 T score(8%), 3-1-2 profile (22%), and 1-3-2-7-8 profile(7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typical MMPI characteristics of PTSD was "floating profile", that is, the increase of both neurotic and psychotic scale. In addition to this, the authors founded the probability of somatic displacement as another characteristic of PTSD.
본 연구에서는 만성 통증환자들을 MMPI 프로파일의 헝태에 의거하여 4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누고, 이 하위집단들이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신체적인 증상과 통증 유형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의 강남에 위치한 통증 전문 병원에 내원한 69명의 통증환자를을 대상으로 이들의 MMPI를 파종된 증다 변인 군집 분석(Seeded Mulivariate Cluster Analysis)한 결과 4개의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하위집단으로 나뉘었다. 척도 1, 2, 3이 상승하는 군집 1과 척도 1, 3, 4, 6, 8, 9가 상승하는 군집 3이 척도 1과 3만 상승하는 군집 2나 정상 범위를 보이는 군집 4에 비해 더 많은 신체 증상을 호소하였다. 하위 군집과 호소하는 통증과의 관계에서는 요통만을 호소하는 집단은 군집 2와 군집 4에, 두통만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군집 1과 군집 4에, 그리고 두통과 요통을 모두 호소하는 집단은 군집 1과 군집 3에 주로 분포하였다. 호소하는 통증 유형에 따른 성격적인 특성을 보다 명확히 알아보고자 통제집단을 포함한 106명의 자료를 신체 증상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통과 요통을 동시에 호소하는 환자들은 다른 통증 환자들에 비해 성격적인 문제가 심해 보이며, 특히 대인관계 영역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증 환자들의 성격 특성을 이해하고 치료적인 접근을 선택하는데 있어 MMPI가 임상적으로 유용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MMPI and somatic symptom checklist were administered to 69 chronic pian patients who came to Kang-Nam pain clinic. Seeded multivariate clustering analysed the MMPI profiles into four homogeneous subgroups. There were subgroup differences in terms of somatic complaints and type of pain. Subgroup 1, characterized by significantly elevated clinical scale 1, 2, 3, and subgroup 3, characterized by elevated scale 1, 3, 4, 6, 8, 9 complainted more somatic symptoms than subgroup 2, characterized by 'conversion V' profile, and subgroup 4, which show normal profile. Back pain patients belonged mostly under subgroup 2 and 4, headache patients mainly subgroup 1 and 4, and patients who complainted both back pain and headache mostly subgroup 1 and 3. Analysis of covariance procedure with control group was performed to identify personality differences among different pain type patients. It seemed that chronic patients with both pain and multiple somatic symptoms has personality problem, especiall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본 연구는 KWIS의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통하여 정신분열증 환자의 인지특성을 알아보았다. 피험자는 정신분열증 양성형 환자, 음성형 환자 및 우울증 환자 각 14명으로서, 환자의 선정은 DSM-III-R(APA, 1987)의 정신분열증과 우울증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과 전문의가 최종 진단한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세 집단간 KWIS의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양적분석에서는 우울증 집단에 비하여 정신분열증 집단의 인지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질적분석인 사고장애의 평가에서는 정신분열증 양성형 집단의 사고장애가 정신분열증 음성형 집단이나 우울증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심한 것(0.50, 0.75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about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KWIS). Subjects were positive and negative schizophrenics, and depressions of 14 each persons, diagnosed by psychiatrists based on criteria by DSM-III-R(APA, 1987). Through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gnitive function of the schizophrenics were declined in quantitative analysis compared with the depressions. In the evaluation of thought disorder, qualitative analysis, positive schizoprenics were found significantly severe on the thought disorder level(0.50, 0,75) compared with negative schizoprenics and depression. Finally,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 진단과 우울집단의 선발을 위한 한국의 BDI 분할점과 그러한 분할점의 적응시 발생할 수 있는 분류 오류율을 알아보았다. 분할점과 분류 오유율은 기저율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므로. 정상 집단 對 우울증 집단의 이론적인 기저율을 50 : 50으로 간주하였을 때와, 전집에서의 정상인과 우울증 환자의 실제적인 비율을 고려하여 기저율을 70 : 30으로 설정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분할점을 산출하였다. 89명의 우울증 환자 집단과 272명의 정상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빗 분석을 이용하여 두 집단을 구분하는 분할점을 산출한 결과, 기저율을 50 : 50으로 상정한 경우에는 BDI 16점이, 그리고 기저율을 70 : 30으로 상정하였을 경우에는 BDI 22점이 우울증과 정상 집단을 분류하는 분할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BDI 16점은 우울증 집단의 71.6%를, 그리고 정상 집단의 77.3%를 정확히 분류한 반면에, BDI 22점은 우울증 집단의 60.2%를, 그리고 정상 집단의 94.8%를 정확히 분류하였다. 이러한 긍정 오류율과 부정 오류율과 관련하여 각각의 분할점의 적용이 바람직한 상황과 그렇지 못한 상황에 대해서 논의되었다.
We determined the cut-off score for the Korean version of BDI in order to establish empirical and clinical criteria for screening clinical depressives from the populations with two different prior probabilities of clinical depression. To this end, BDI was administered to 8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psychiatrists and clinical psychologists as depression and 272 normal adults aged from 20 to 45. The cut-off score assuming the prior probability of .50 was turned out to be sixteen, which was determined by randomely selecting 89 normal subjects and analysing their BDI scores along with the scores of the 89 patients by a probit analysis. The cut-off score assuming the prior probability of .30 was twenty-two, which was determined by subjecting the BDI scores of the entire subjects to the same analysis. The cut-off score of sixteen under the assumption of .50 prior probability classified 71.6% of the depressives and 77.3% of the normals correctly. That of twenty-two under the assumption of .30 prior probability classfied 60.2% of the depressives and 94.8% of the normals correctly. The situations where each of the two cut-off scores would be appropriate or not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기대하는지, 그리고 우울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미래를 더 비관적으로 기대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00명의 대학생들에게 8개의 긍정적인 사건과 11개의 부정적인 사건들에 대해 평균적인 사람들이 경험할 확률을 준거로 해서 자신이 경험하게 될 정도를 10점 척도에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대상 전체의 자료를 처리한 결과, 사람들은 타인들에 비해 자기 자신이 긍정적인 사건은 더 많이, 부정적인 사건은 더 적게 경험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우울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미래를 더 비관적으로 기대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BDI점수를 근거로 우울집단과 비우울 집단을 구분하였다. 두 집단의 미래 사건에 대한 확률 추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예상했던 바와 같이 우울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긍정적인 사건은 더 적게, 그리고 부정적인 사건은 더 많이 경험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결과와 관련된 몇 가지 이론적인 설명과 본 연구의 문제점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mises that tendency of people to be optimistic about future in general and that of depressives to be pessimistic. Two hundred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a questionaire containing eight positive and eleven negative future events. The subjects were asked to estimate their own chance of experiencing positive and negative future events compare to average others on the 10-point scale. Overall, they rated their own chance to be above average for the positive events and below average for the negative events. To examine the hypotheses that depressives make negative predictions about the future, the depressed and nondepressed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ores of BDI an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s hypothesized, depressives estimated greater perceived probability of the negative future events and less probability of the positive events than did nondepressives. Several theoretical explanations for the results and the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인지치료가 긴장성 두통환자의 두통 감소, 자기 효율성 및 건강 내외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긴장성 두통을 가진 남, 여 대학생으로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 집단이 9명, 인지 치료 집단은 8명이었다. 두통 감소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는 두통 지수, 두통 빈도, 최고 두통 및 두통이 없는 날의 수를 기록하는 두통 일지를 사용했고, 인지변화를 알아보는 데는 자기 효율성 척도와 다차원 건강 내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기저선 단계 10일, 처치 단계 40일, 처치 후 단계 10일 동안 피험자들에 의해 기록된 자기보고형 두통 일지를 분석한 결과, 두 처치집단 모두 두통 감소에서 유의한 치료효과를 보였으나, 집단간 치료 효과 차이는 없었다. 인지 변화에서, EMG 바이오피드백 집단과 인지집단 모두 자기 효율성과 내적 통제감이 처치 전과 처치 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EMG 바이오피드백 집단에서 EMG 수준도 두통 지수 감소와 높은 상관이 있었다. 이 결과는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효과기제에 생리적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인지적인 구성 요소도 포함되어 있고, 인지치료에서도 역시 치료적 구성 요소가 자기 효율성과 내적 통제감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논의 부분에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electromyographic(EMG) biofeedback training and cognitive therapy on headache reduction, self-efficacy and levels of health locus of control in tension headache patients. Seventeen tension headache patients were randomly assinged either to a group receiving EMG biofeedback training(n=9) or to a cognitive therapy(n=8). From baseline state to post-treatment(60days), all subjects were required to report their daily headache activities on headache diary and to complete self-efficacy scale and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at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re were 8 treatment session(50 minutes each, one session every 5days) in treatment. A comparison of overall headache activity (headache index) revealed that both treatments were highly effective and nearly eqivalent for reducing headache complaints. Also, both EMG biofeedback training and cognitive therapy produced an increased sense of self-efficacy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MG level reduction and headache index reduc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echanism of action for EMG biofeedback training involve cognitive as well as physiological components. Finally, implications, restrictions and sugges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 응용되는 심상의 현상과 그 기능의 의미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심상심리치료기법(Imagery Psychotherpay)이 다루는 치료기능적 심상현상이 시야계 광선 자국 (Rhythmic-Photic-Stimulation : 이하 RPS)에 의하여 나타나는 환상적 심상시각화현상과 동일하다는 전제아래(Czycholl, 1985), 이 환상적 심상시각화에 관한 정신장에 집단의 자각능력이 정상인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한적인가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먼저 감겅부전장애 (Dysthymic Disorder : 이하 우울신경증) 집단을 선정하여 그를의 환상적 심상시각현상체험 능력을 정상집단의 경우와 동일한지 비교하였고. 여기에 Schultz식 자율긴장이완훈련(Autogenic Training, Schults, 1932)이 이 시각화체험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살펴보았다. RPS효과에 의해 나타난 시각화현상을 관찰, 측정하기 위하여, Stroboscope(Stampfer, 1832)원리에 의거, 제작된 일명 RPS-불꽃안경 (RPS-Flame glasses)의 실험도구틀 사용하였고, 정상집단과 우울신경증집단은 모두 독일어판 MMPI-Saarbücken검사와 FRI (Freiburger Persönllchkeitsinventar, 프라이브르호 성격검사) 검사를 받았다. RPS에 의하여 나타난 환상적 시각현상의 기준은 각 피험자가 진술한 체험에 의거하였고, 이 환상적 시각현상체험은 1) 명료성 2) 주관성 3) 자율성 4) 의미성 5) 생소성의 5 가지 특징적 조건척도로 판별하였다. 한편 RPS에 의하여 나타난 우울 신경증집단 및 정상집단의 환상적 심상시각화현상의 출현빈도에 영향을 주는 Schultz식 자율긴장이완 훈련의 효과 기준은 자율 긴장이완의 6단계를 체험한 각 피험자의 진술기록에 의거하였다. 실험결과 우울신경집단은 심상의 치료기능적 시각현상을 체험할 수 있었으나, 그들의 체험능력은 정상집단보다 제한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Schultz식 자율이완 훈련은 양집단의 환상적 시각현상체험 증가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우울집단은 정상집단보다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연구결과 심층적 심상심리기법이 다루는 심상의 명료한 시각현상이 특정정신장애집단에 주는 영향 및 의미를 부분적이나마 실험검증할 수 있었으며, 심리치료에서 다루는 긴장이완 훈련의 효과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앞으로 RPS에 의한 환상적 시각현상체험이 심층적 심상치료기법에서 다루는 심상의 시각현상체험과 유사한 현상이라는 점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타 다른 정신장애집단을 대상으로 그들의 특징적 심상체험의 형태모습과 그 기능을 밝히는 후속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들의 특징적 현상들이 밝혀지고, 나아가 이들을 다른 정신장애 집단의 경우와 상호 비교할 수 있다면, 앞으로 임상심리치료에서 다루는 심상현상을 실험적으로 정확히 검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될 것이다.
The therapeutic im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decrease and improvement of pathological neurotic symptom, is regarded as the necessary process for the imagery psychotherapy, and said to be the basically same phenomenon like that of meaningful imagination image in optic area through RPS stage. So, on the basis of it, this study regards the experience of menaingful imagination image in optic area through RPS stage as the therapeutic image and necessary process for the imagery psycho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compare the frequences of meaningful imagination images, which could be evocated by "RPS-flame glassess instrument", and to ascertain, Schultz's autogenic training (AT) effect on the normal and depressive neurosis group.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depressive neurosis group would experience the less meaningful images through PRS stage than normal group, maybe because the depressive neurosis group has the more defensive mechanisms and resistance to experience images than normal group in imagery psychotherapy situation.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experiments. In experiment I, only PRS was given to both groups without any preceding conditions. In experiment. II, RPS was given to both groups after AT was given to them. MMPI-saarbrücken in Germany and FRI(Preiburger Personality inventar Test)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and during the RPS(rhytimic-photic-stimulation) stage, the flameglasses, renewed stroboscopic instrument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Before Schultz's autogenic traning, the frequences of the meaningful imagination image experiences, in optic area through RPS stage in normal group,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of depressive neurosis group. 2) Schultz's autogenic tran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equences of the meaningful imagination image expereinces in optic area through RPS stage in the both groups. 3) Even though Schultz's autogenic tran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equences of the meaningful imagination image experiences in optic area through RPS stage in depressive neurosis group experiences, they are significantly fewer than those of normal group. In this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the strong unconsicous resistance to experiences of therapeutic images in depressive neurosis group, makes them experience fewer therapeutic images than normal group. The Leuner's assumption, that autogenic traning is one of the important preceding conditions for the therapeutic image in imagery psychotherapy, was partially testified by this experiment. And Stroboscopic-Renewed Flameglasses was turn out as the useful method for testifying image phenomena in clinical psychotherapy. The following experiments is required for 1) testif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herapeutic image in the imagery psychotherapy and meaningful imagination image in optic area through RPS stage, 2) investigating the therapeutic function of meaningful imaginatian image in optic area through RPS stage in various mental disorder group, and finally 3) identifying the pecularities of meaningful imagination image in optic area through RPS stage.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변인으로 알려진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방식이 우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또한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방식들이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고자 증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심리학개론을 수강하는 19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역기능적 태도와 소극적 대처는 정적으로, 적극적 대처와 문제-중심 대처는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울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기능적 태도가 높을수록, 소극적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이 높아지며, 적극적 대처와 문제-중심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우울에 대한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방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적으로 알아본 결과, 우울에 대한 역기능적 태도와 적극적 대처, 역기능적 태도와 문제-중심 대처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기능적 태도가 높아 우울이 높을 때, 적극적 대처와 문제-중심 대처를 사용할수록 역기능적 태도가 끼치는 그 영향력을 완화시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역기능적 태도와 대처는 부분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was to see the relationship of dysfunc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with depression, and to explore how interaction of dysfucn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influences depression by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ysfunctional attitude and coping style have been known moderators for stress and depression. Subjects were 196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introduction of psychology. The result was that dysfunctional attitude and passive coping style were found positively significant for depression. And active coping style and problem-focused coping style were found negatively significant for depression. It implies that higher dysfunctional attitude and more passive coping style increase depression, while more active coping style and mor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decrease depressio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 and both active and problem-focused copihg styles with depression were found significant. This explains the fact that if depression increases due to high dysfunctional attitude, active coping style and problem-focused coping style can buffer influence of dysfunctional attitud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artial interaction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coping style influenced depression. Finally significanc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작업치료에 참여하는 정신분열증 환자 88명과 작업치료에 참여하지 않는 정신분열증 환자 52명에 대해 스트레스, 대처 유형,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자기 지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령, 학력, 입원기간, 유병기간, 결혼상태, 및 증상의 정도 등의 인구 통계학적 변인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작업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통제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인 자기 지각을 보였고, 스트레스 대처 유형으로 신비적 대처(mysterious coping)를 더 적게 사용하였으며, 타인으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더 많이 받은 것으로 지각하는 경향성(p=.053)을 나타냈다. 또한 스트레스 유형에 있어서 재활집단은 '스트레스 없음'과 '대인관계 문제'를 주로 경험하는데 비해, 통제집단은 '스트레스 없음', '대인관계문제', 이 2가지 영역이외에도 '퇴원 안됨', '건강문제'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재활치료 및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77 schizophrenic inpatients participating in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and 52 schizophrenic inpatients were compared concerning on stress, coping, perceiced social support, and self-percep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the duration and number of hospitalization, marital status, and the severity of symptoms. However, rehabilitation group showed more positive self-perception, less mysterious coping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addition, rehabilitation group showed a tendency to perceive more emotional support from others than that of control group. With regard to the type of perceived stres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 most subjects of the rehabilitation group reported 'no stress' or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control group reported various type of stress such as 'no stress',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charing problem', and 'health problem'.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강박성향집단의 반복적인 확인행동과 사고가 기억력 내지 기억출처 변별에 기인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강박증 검사인 한국판 MOCI(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를 사용해 강박확인집단, 강박비확인집단, 중간성향집단 그리고 정상집단을 선발하였다. 피험자들에게는 범주단어와 본보기단어를 함께 제시하고 읽도록 요구하거나(실험자제시조건), 범주단어 그리고 본보기단어의 첫 번째 절차를 제시하고서 본보기단어를 내면적으로만 생성하거나(내면적 생성조건) 또는 본보기단어를 생성하여 쓰도록 요구하였다(외면적 생성조건), 그리고나서 본보기단어를 자유회상하게 한후, 본보기단어에 대해 예-아니오 재인반응을 하게 하고, 마지막으로 예-재인반응단어에 대해 그 출처를 식별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네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에는 자유회상, 재인, 정확출처확인 모두에서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강박집단(강박확인+강박비확인)과 비강박집단(중간성향+통제) 집단으로 재구분하여 비교했을 때에는 자유회상의 경우 전체적으로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단지 내면적 생성조건에서 강박집단의 수행이 비강박집단에 비해 저조하였다. 재인과 출처확인반응의 경우도 강박집단과 비강박집단에 차이는 없었으나 비강박집단에 비해 강박집단의 경우 쓴 내용과 상상했던 내용을 실제로 본 내용이라고 잘못 귀인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전반적으로 보면, 강박적 확인행동은 전반적인 기억력 결함때문이라기 보다는 기억 출처변별의 문제와 관련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The present experiment explored whether compulsive-checker symptoms result from the ability of recall and recognition or discrimination of memory source.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Maudsley Obsessive-Complusive Inventory, four groups of students were divided into each experiment : an compulsive-checker group, an compulsive-nonchecker group, mild-compulsive group and control group. The measure of main concern was the number of correct free-recall,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of memory source in three different tasks : experimenter-presentation, subjet-covert generation, subjet-overt generation. In free recall and recognition, compulsive-checker group did show no poor performance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In discrimination of memory sources Compulsive groups showed poor performance than the other group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might result from decision bias of discrimination of memory source. Several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생활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나 알코올의 효과에 대한 기대 및 주변사람들의 음주행동이 음주빈도나 음주량 그리고 음주문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예상했던 바 대로 생활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알코올효과에 대한 기대감 및 주변사람들의 음주정도가 복합적으로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음주빈도의 예언변인은 사회적인 영향, 스트레스, 알코올의 사회적인 촉진효과였으며 음주량의 경우는 스트레스와 알코올효과의 부정적인 기대 변인이었고 음주문제의 예언변인은 생활상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인 영향이었다. 그러나 여자들의 경우, 음주빈도나 음주량을 유의미하게 예언해 주는 변인은 사회적 영향이 유일하였으며 음주문제의 예언변인은 스트레스와 사회적 영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사회적인 요인들이 음주빈도나 음주량 및 음주문제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다소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such psychosocial determinants as stress, expectancy to alcohol effects and social influence on drinking behavior. The drinking behavior was measured with frequency and average amount of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s. As expected, the stress, the cognitive expectancy and the social influence variables significantly predicted drinking behavior. The male subjects, the drinking frequency measure was affected by the social influence, the stress and the social facilitation effect of alcohol. Average amount of drinking was predicted by the stress and the negative expectancy about alcohol. The predictive variables of the drinking problem were the stress and the social influence. In contrast, social influence was highly predictive of drinking frequency and drinking volume among female. The drinking problem among female was predicted by the stress and the social influence. This findings suggest that stress, alcohol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were differentially related to drinking measures, and that sexual difference must be considered to account for the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는 56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네 가지 수면양상(수면의 길이, 일주기리듬, 수면의 규칙성, 각성시 회복감)의 양극단에 속하는 군과 중간군의 성격특성을 MMPI를 통하여 Kunce와 Anderson의 해석방식에 따라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면길이에서 중간군은 단수면군, 장수면군보다도 조직화와 상상력이 더 높았고, 단수면군은 장수면군보다 열의가 더 많았다. 일주기 리듬에서 중간군이 아침형군에 비해, 또 저녁형군이 아침형군보다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이 더 높았으며, 저녁형군은 아침형군보다 신중성, 평가능력이 더 높았고, 중간군은 아침형군보다 주장성이 더 강했다. 수면규칙성에서는 불규칙군이 규칙군보다 평가능력과 상상력이 더 높았다. 각성시 회복감에서는 비회복군이 중간군보다 신중성이 더 높았으며, 비회복군은 회복군보다 평가능력, 표현력, 조직화, 상상력이 더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해석에서 고려해야 할 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sleep habits and personality traits was investigated in 565 college students. Four aspects of sleep patterns(length, circardian rhythm, regularity, refreshed feeling at the time of awakening)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sleep questionnaire. In each aspect,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 two extreme groups of those who belong to upper or lower ends of the distribution(long vs. short, morning vs. evening, regular vs. irregular, refreshing vs. nonrefreshing) and an intermediate group of those who do not belong to either group. To compar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the Korean version of MMPI (1989) was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and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ccording to methods of Kunce & Anderson (1976, 1984).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sleep lengths, the intermediate group was better able at organization and imagination than the short and long sleep groups. The short sleep group showed greater zest than the long sleep group. 2. From the view point of circadian rhythms, the evening type showed higher perception of stress than the morning type but lower than the intermediate type. The ability for conservation and evaluation was higher in the evening type than in the morning type while assertiveness was greater in the intermediate type than in the morning type. 3. The irregular sleepers showed higher ability of evaluation and imagination than the regular sleepers. 4. The unrefreshed group showed a greater ability to be conservative than both the refreshed and the intermediate groups. Also the unrefreshed group showed greater ability at evaluation, expression, organization, and imagination than the refreshed group. The present findings support the assumption that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specific aspects of sleep patterns and personality traits in normal young adults. However, th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re is need for further study.
본 연구는 시각운동 통합발달 검사의 한국 규준이 없으므로 그 규준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6세에서 14세까지의 아이들 630명에게 실시하여 규준을 제시하였으며, 본 검사와 IQ와의 상관은 .84였다. 논의에서는 본 검사가 임상이나 교육 현장에서 앞으로 쓰여질 수 있는 가능성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present of Korean norms of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This copy rest was tested in the children of 630 ranged from 6 to 14. The result was presented. And the correlation with IQ was .84. The implications for use of this test were discussed. The number of subjects would be ad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