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한국아동인성검사(KPI-C) 프로파일을 통해 본 학습장애아동의 정서와 행동특성의 하위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Subtypes of The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Profile for Learning-Disabled Childre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아동들의 KPI-C의 프로파일을 군집분석함으로써 이질적인 정서와 행동특성 및 적응양상을 보이는 학습장애아동들을 하위유형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정서와 행동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6-12세의 학습장애아동 23명(공존병리를 보이는 학습장애아동 포함)의 KPI-C 12개 척도(자아탄력성척도와 11개의 임상척도)를 군집분석한 결과, 세 유형이 추출되었다. 9명의 학습장애아동들은 언어발달이 약간 지체되어 있고 주의력이 다소 부족한 것외에는 정서나 행동상의 문제가 없는 '적응적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언어와 동작발달상의 지체가 심하고 자폐적인 양상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며 주의가 산만하고 과잉행동적인 특성을 보이는 '발달지체 및 과잉행동유형'에는 3명의 아동이 포함되었다. 이 유형에서 공격적이고 반항적인 특성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리고 가장 많은 학습장애아동(10명)이 정서적인 문제와 사회적 관계에서의 어려움이 두드러지는 '우울 및 사회적 철수유형'(10명)으고 분류되었다. 공존병리를 보이는 학습장애아동들이 각 유형에 골고루 분포하였고 선행연구에 비해 부적응적인 학습장애아동의 비율이 높아졌는데 이러한 점은 다른 사회에 비해 한국사회에서 학습장애 아동들이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추후 보다 많은 학습장애아등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추출된 학습장애아동의 KPI-C 프로파일 유형의 일반화가능성과 외적 타당성을 평가해 보아야 할 것이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ubtypes of the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profiles for heterogeneous learning disabled children(LD) in terms of emotion and behavior. KPI-C is an instrument which is concerning children's development, emotion, behavior, and social relation and so on completed by their parents. The KPI-C 12 scales(Ego Resilience scale and 11 clinical scales) from 23 learning-disabled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6 and 12 years were investigated using cluster analysis. The nine of LD sample were classified as LD subtype 1 and appeared to be well-adjusted with mild language-delay, attention-deficit. This subtype was named "well-adjusted subtype". LD Subtype 2 contained only 3 subjects showed a pattern of developmental delay, autism, attention-deficit, and hyperactivity. This subtype was named "developmental delay and hyperactivity subtype". LD subtype 3 contained 10 subjects characterized as emotional problem with social withdrawal. This subtype was named "depressive and social withdrawal subtype". The proportion of maladjusted LD in this study was higher than in other study, which suggest that LD children in Korea suffer from psychological troubles more frequently than in other society. Generalization for KPI-C profile subtypes classified in the this study need to be cross-validated with many other LD children.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