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공포증상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검증 : 구조방정식모델 접근법을 사용하여

Tests of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ly Phobic Symptoms :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초록

본 연구는 불안장애에 대한 Beck, Emery 및 Greenberg(1985)의 인지적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사회공포증에 대한 직선적인 매개모델을 검증하였다. 이 직선적인 매개모델은 역기능적 신념이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취약성 요인으로서 주로 위협적인 대인관계상황에 의해 활성화된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를 통해 사회공포증상을 예언한다고 가정한다. 연구 1은 542명의 대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역기능적 신념,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 및 사회공포증상을 동일한 시기에 측정하여 직선적인 매개모델과 두가지 대안모델들을 비교검증하였다. 그 결과, 직선적인 매개모델은 자료에 아주 잘 부합되었으나, 단순효과모델은 그렇지 않았고, 충만모델의 경우 역기능적 신념이 사회공포증상으로 직접 가는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들이, 289명의 대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역기능적 신념,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 및 사회공포증상을 2주간의 간격에 걸쳐 두 번 측정한 자료에서도 교차타당화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직선적인 매개모델은 자료에 잘 부합되었으나, 단순효과모델은 그렇지 않았으며, 충만모델의 경우 포화모델로서 수집된 자료를 설명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횡단적 자료 뿐 아니라 단기종단적 자료 역시 직선적인 매개모델을 지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사회공포증에 대한 직선적인 매개모델이 사회공포증상의 발생과정을 설명하는데 잘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ies tested a linear mediation model of social phobia derived from Beck, Emery, and Greenberg's(1985) cognitive theory of anxiety disorder. The linear mediation model assumed that dysfunctional beliefs as a cognitive vulnerability variable might predict socially phobic symptoms mainly by mediating of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as a cognitive product of the beliefs activated by threatening social situations. In Study 1, the linear mediation model and two alternative models were tested with cross-sectional data from 542 undergraduate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linear mediation model fitted the data very well, while the simple effect model didn't and in the full model direct path of dysfunctional beliefs to socially phobic symptoms wasn't significant. Study 2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results of Study 2 might be cross-validated in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rom 289 undergraduate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linear mediation model fitted the data, while the simple effect model didn't and the full model as a saturated model was not adequate in explaining obtained data. Hence, the short-term longitudinal data of Study 2 as well as the cross-sectional data of Study 1 supported the linear mediation model.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ies suggest that the linear mediation model apply to the explanation of socially phobic symptoms well.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9-02-10
수정일Revised Date
1999-05-1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1999-05-2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