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편집증의 핵심요인으로 가정되는 부정적 자기개념과 방어적 귀인양식, 자기참조적 표적 추론, 의도성, 적대성에 대한 추론 편향간의 관계, 그리고 대학생 편집성향 집단이 이 변인들에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대학생 444명에게 편집척도, Beck 우울척도, 적대감 척도, 자기개념 질문지, 자기개념 괴리 질문지, 귀인 및 표적지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자기개념, 다른 사람의 애매한 행동을 자신을 표적으로 한 의도적, 적대적 행동으로 추론하는 경향이 편집증과 관련되었고, 편집성향 집단은 애매한 상황의 원인은 내부 귀인하고, 명백하게 부정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외부 귀인 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기개념 수준은 편집성향 자체는 물론 표적, 의도성, 적대성 추론에 대해서도 유의미한 상관과 예언력을 나타내 편집증 이해의 핵심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negative self-concept, defensive attributional style, self-referential target reasoning, reasoning biases about intentionality and hostility. It was postulated that these variables are the core factors in paranoia. The Paranoia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Hostility Scale, the Self-concept Scale, the Self-Discrepancy Scale, the Attribution and Target Reasoning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444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anoid tend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negative self-concepts, and reasoning bias that showed more self-as-target bias for other person's ambiguous behaviors and interpreted the behaviors as more intentional and more hostile. Paranoid group attributed the ambiguous situation more internally and the obviously negative situations more externally. And, It was showed that the self-concep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asoning biases of target, intentionality, and host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concept is a core variable in paranoia.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불안장애에 대한 Beck, Emery 및 Greenberg(1985)의 인지적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사회공포증에 대한 직선적인 매개모델을 검증하였다. 이 직선적인 매개모델은 역기능적 신념이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취약성 요인으로서 주로 위협적인 대인관계상황에 의해 활성화된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를 통해 사회공포증상을 예언한다고 가정한다. 연구 1은 542명의 대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역기능적 신념,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 및 사회공포증상을 동일한 시기에 측정하여 직선적인 매개모델과 두가지 대안모델들을 비교검증하였다. 그 결과, 직선적인 매개모델은 자료에 아주 잘 부합되었으나, 단순효과모델은 그렇지 않았고, 충만모델의 경우 역기능적 신념이 사회공포증상으로 직접 가는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들이, 289명의 대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역기능적 신념,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 및 사회공포증상을 2주간의 간격에 걸쳐 두 번 측정한 자료에서도 교차타당화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직선적인 매개모델은 자료에 잘 부합되었으나, 단순효과모델은 그렇지 않았으며, 충만모델의 경우 포화모델로서 수집된 자료를 설명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횡단적 자료 뿐 아니라 단기종단적 자료 역시 직선적인 매개모델을 지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사회공포증에 대한 직선적인 매개모델이 사회공포증상의 발생과정을 설명하는데 잘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ies tested a linear mediation model of social phobia derived from Beck, Emery, and Greenberg's(1985) cognitive theory of anxiety disorder. The linear mediation model assumed that dysfunctional beliefs as a cognitive vulnerability variable might predict socially phobic symptoms mainly by mediating of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as a cognitive product of the beliefs activated by threatening social situations. In Study 1, the linear mediation model and two alternative models were tested with cross-sectional data from 542 undergraduate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linear mediation model fitted the data very well, while the simple effect model didn't and in the full model direct path of dysfunctional beliefs to socially phobic symptoms wasn't significant. Study 2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results of Study 2 might be cross-validated in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rom 289 undergraduate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linear mediation model fitted the data, while the simple effect model didn't and the full model as a saturated model was not adequate in explaining obtained data. Hence, the short-term longitudinal data of Study 2 as well as the cross-sectional data of Study 1 supported the linear mediation model.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ies suggest that the linear mediation model apply to the explanation of socially phobic symptoms well.
사람들은 불쾌하고 원치않는 생각들이 떠오르면 이를 회피하거나 억제하려는 시도를 한다. 불쾌하고 원치않는 사고를 통제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오히려 의도와는 반대되는 역설적인 효과를 야기한다고 알려졌으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지연 반동 효과, 즉각 증진 효과, 역설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연구들). Wegner와 Zanakos(1994)는 이러한 원치않는 부정적인 사고를 억제하는 일반적인 경향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 질문지인 사고 억제 질문지(White Bear Suppression Inventory; WBSI)를 개발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사고 억제 질문지를 번안하여 이와 관련된 심리 측정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사고 억제 경향성이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우울증 등과 관련된 특성을 측정한다고 알려진 자기보고형 질문지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사고 억제의 다양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차 변인들과의 관계를 탐색해보았다. 마지막으로 불쾌하고 원치않는 침투 사고들을 통제하는 일반적인 통제 방략들과 심리장애가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탐색적인 시도를 해보았다.
People may try to suppress or avoid unpleasant, unwanted thoughts, but deliberate attempts to suppress particular thoughts actually produce ironic rebound effect. Wegner and Zanakos(1994) develop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general tendency to suppress unwanted thoughts. The current article investigates Korean version of WBSI's reliability,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es of the WBSI with the various inventories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Finally, strategies for controlling unpleasant, unwanted thoughts and their relation with psychopathology and symptoms such a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depression, and autogenous and reactive obsessions are investigated.
이 연구의 목적은 강박증상과 걱정의 공통 특성과 변별적 특성이 무엇인가를 밝히려는 데 있다. 강박질문지로서의 MOCI와 PI, 걱정질문지로서의 PSWQ 간의 상관 연구를 통해 이를 부분적으로 밝혀보려 하였다. 연구 결과, PI의 4개의 하위척도들과 PSWQ간에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임으로써, 심성통제의 실패, 반사회적 충동을 위주로 한 강박사고, 확인 강박행동, 오염/청결 강박행동의 강박 현상들과 걱정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Pl의 심성통제실패 척도점수를 통제변인으로 하여 PI의 다른 3개 하위척도들과 PSWQ간의 부분상관을 구하였을 때, 이들 서로간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MOCI와 PSWQ 간에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다양한 강박 증상들간의 관련성 및 강박증상들과 걱정간의 관련성은 과도한 통제욕구를 반영하는 성격 요인을 공통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the common and separate characteristics of obsessional symptoms and worry. Measures included the MOCI(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 PI(Padua Inventory), and PSWQ(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Correlations with the 4 PI subscales and the PSWQ showed that they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each other. So, it is suggested that self-reported various obsessional symptoms and worry are closely associated. But partial correlations controlling the 'impaired mental control' subscale scores showed that the 3 remaining PI subscales and the PSWQ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each other. It is suggested that obsessional symptoms and worry both are characterized by the common personality factor of 'excessive need for control'.
본 연구는 적응적, 부적응적 측면이 함께 시사되어온 사적자의식 요인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부생 340명을 대상으로 자의식척도(SCS), 우울(CES-D), 불안척도(STAIT)를 실시하였다. 자의식내의 하위요인인 공적자의식은 불안과, 사회불안은 우울, 불안 모두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사적자의식은 우울 불안 모두와 약한 부적 상관을 보여 사적자의식이 높을수록 오히려 우울 불안성향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적자의식내의 2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한 결과, 두 요인이 확인되었으나 내용은 기존의 외국의 연구결과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1요인은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숙고능력으로, 2요인은 순간적 감정에 대한 인식으로 해석될 수 있었으며, 자신에 대한 숙고능력은 우울 및 불안과 부적상관을 보여 적응적 측면을 지닌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임상적 의미 및 문화적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which has shown both adaptive & maladaptive aspects. Three-hundred forty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Self-Consciousness Scale(SC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 Depression Scale(CES-D), an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ubscale of the SCS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Subscaie shar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the Social Anxiety Subscale, with depression & anxiety. The present study also replicated previous findings of the two-factor structure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with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each factor. In the present study, the first factor was interpreated to represent general reflectiveness of self and the second, awareness of immediate emotion. General reflectiveness of self, but not awareness of immediate emot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n indication of high adaptivenes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이 가족관계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와 같이 악화된 가족관계가 증상의 악화와 재발에 작용한다는 문제제기에 따라 우울증과 관련된 가족관계 양상을 조사하였다. 서울 및 근교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60세 미만 기혼 여성 150명을 대상으로 우울증상(CES-D), 자녀 양육 스트레스(PSI/SF), 부모로서의 역할 효능감(PSOC), 그리고 부부만족도(DAS)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우울증상 수준과 양육스트레스는 r= .40, 부모역할 불안감과는 r= .41, 부부 적응과는 r= -.51의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들 가족관계 변인이 현재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 지각, 부부관계 적응 등 자녀와의 관계 및 부부관계의 어려움이 현재 우울증상 전체변량의 45.7%로 상당히 높은 설명량을 보였다. 또한 우울증상 수준과 DSM-IV의 진단준거를 기준으로 임상적 우울집단과 준 임상 우울집단, 비 우울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양육스트레스와 부모역할 효능감, 부부적응 등 모든 가족관계에서 임상적 우울집단과 준 임상우울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우울증 준 임상집단에 대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며 이들의 치료에 있어 가족관계중심의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women'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quality of their family relationship. 150 women between 20 and 60 of ages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for Depression(CES-D), Parenting Stress Index,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Dyadic Adjustment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r= .40), parenting sense of anxiety(r= .41) and marital dissatisfaction(r= -.51). Also, parenting stres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nd marital dissatisfaction accounted for 45.7% of the variance in concurrent depressive symptoms. Women who scored above 24 on CESD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Clinical Depresion Group consisting of women who meet the DSM-IV criteria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ubclinical Depression Group consisting of women who do not. The Subclinical Depression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linical Depression Group on the levels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nd marital dissatisfa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bgroup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for subclinically depressed women is needed and the therapeutic approach based on the family for women's depression would be helpful.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주요 우울장애의 임상적 진단기준을 충족시키는 임상적 우울집단과 CES-D 에서 높은 우울증상을 보고하지만 임상적 진단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준 임상 우울집단을 비교하여 심리 사회적 특성 및 우울증상의 지속성에서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서울 및 서울근교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60세 미만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중상(CES-D), 사회적응정도(SAS), DSM-IV의 진단기준, 생활사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평가하는 척도들로 구성된 설문을 3개월의 간격을 두고 2차례 실시하여, 1차 설문에서는 591명, 그리고 2차 설문에서는 150명의 자료가 회수되었다. CES-D 24점과 DSM-IV의 진단기준을 이용하여 두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임상적 우울집단과 CES-D 24점의 기준만을 충족시키는 준 임상 우울집단, 그리고 비우울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1차 설문에 응답한 총 571명중 8.1%가 임상적 우울집단, 15.4%가 준 임상 우울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준 임상 우울집단은 임상적 우울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주관적으로 보고하는 스트레스 정도, 자기효능감 수준,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에서 임상적 우울집단과 다름없는 기능의 저하를 나타냈으나, 회피적 대처방식이나 기능적 측면에서 평가한 사회적응수준에서는 임상적 우울집단이 준 임상 우울집단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보였으며 3개월 후의 2차 조사에서도 심각한 우울증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가 준 임상 우울집단과 임상적 우울집단의 임상적 중재에 대하여 가지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compared women who scored above 24 on CES-D and met the DSM-IV criteria of Major Depressive Disorder(Clinical Depression Group) and women who scored above 24 on CES-D but did not meet the DSM-IV criteria of Major Depressive Disorder(Subclinical Depression Group) o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591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CES-D, Social Adjustment Scale-self report form, questions concerning DSM-IV MDD criteria, life stress, coping styl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of the 591, 150 women responded to the second wave of questionnaire at the 3 month follow-up. At the initial assessment, 8.1% of the 591 women were categorized as Clinical Depression Group, and another 15.4%, Subclinical Depression Group. The Subclinical Depression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linical Depression Group on the level of self reported life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social adjustment-subjectiv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owever, the two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on the style of coping behaviors and functional aspect of social adjustment with the Clinical Depression Group showing more severe impairment. Furthermore, the Clinical Depression Group were more likely to remain depressed at the 3 month follow-up than the Subclinical Depression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clinical management of women with clinical and subclinical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일반 음주자들의 성격 특성과 음주문제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음주문제에 대한 성격적 위험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TPQ(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척도 점수의 고저로 구성한 성격 유형에 따라 음주 정도와 음주문제의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봄으로써, 음주문제 예방을 위한 개입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대상을 선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단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통해 성격이 음주 정도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바, 성격은 음주 정도 및 음주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새로운 경험의 추구 차원과 위해 회피 차원이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음주 정도를 통제했을 때도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성격이 음주 정도를 통해 미치는 효과와 별도로 음주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성격 유형에 따라서도 음주 및 음수문제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성격 유형 집단들 중 우리 나라에서는 수동-공격형 집단이 음주문제 정도가 가장 심한 집단이며, 반면에 기분고양형 집단은 음주문제의 정도가 가장 낮은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By exploring the influences of personality on drinking problems in general population, it was hoped that the present study could identify personality factors of drinking behavior and problems. Also the clusters of personality traits, which were composed of by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TPQ) subscale scores, were compared by the degree of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Helping to screen target person whom we must intervene first for alcohol prevention was first consideration of the study. Results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s follows. Personalit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Both Novelty Seeking(NS) and Harm Avoidance(HA)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Even when alcohol use was controlled, these two dimensions had strong roles in explaining drinking problems. In other words, this fact suggests that personality directly affects on drinking problems without mediating factors such as alcohol use. Depending upon the clusters of personality traits, the degree of drinking and ensuing problems were different. Among the clusters of personality traits, passive-aggressive cluster was most prone to drinking problems, whereas hyperthymic cluster showed relatively less dangerous level in drinking problems. The overall findings suggested that for predicting the possible drinking problems of people, we should consider types of personality.
본 연구에서는 Snyder(1979)의 결혼 만족도 검사(MSI)를 한국실정에 맞게 번안, 수정하고, 두 번의 예비검사를 거쳐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K-MSI)의 최종 문항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K-MSI)에는 타당도를 재는 2개 척도(비일관적 반응 척도, 관습적 반응 척도)와 결혼 만족도를 재는 12개 척도 총 14개 하위 척도가 있다(전반적 불만족 척도, 정서적 의사소통 문제 척도, 문제해결 의사소통 문제 척도, 공격행동 척도, 공유시간 갈등 척도, 경제적 갈등 척도, 성적 불만족 척도, 관습적 성역할 태도 척도, 원가족 문제 척도, 배우자 가족과의 갈등 척도, 자녀 불만족 척도, 자녀 양육 갈등 척도). 배우자 가족과의 갈등 척도는 원검사에는 없던 척도로 우리 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때 결혼 만족도 평가에 필요하다고 보아 새로이 제작하여 포함시켰다. K-MSI의 표준화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 남자 440명, 기혼 여자 540명에게 K-MS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하위 척도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71~.92로 나왔으며, 이 중 30명의 피검자에게 2주간 간격으로 K-MSI를 실시하여 .70~.96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를 얻었다. 또한 이들 집단을 대상으로 성, 연령, 학력, 가계수입, 직업이 K-MSI의 각 하위 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주성분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K-MSI를 요인분석한 결과 단일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변량의 43.3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부부들의 결혼 만족도가 단일요인으로 구성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K-MSI) consists of two validity scales(Inconsistency and Conventionalization) and one global affective scale(Global Distress), and eleven additional scales measuring specific dimensions of relationship distress(Affective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ggression, Time Together, Disagreement About Finances, Sexual Dissatisfaction, Role Orientation, Family History of Distress, Conflict With In-Laws, Dissatisfaction With Children, Conflict Over Child Rearing). The Conflict With In-Laws scale was developed to assess conflicts in relationship with in-laws. Two preliminary studies for selecting items by item analysis were executed and the final 160 items were administered to 440 married men, 540 married women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 area for standardization. The effect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family income and job were examined. Coefficients of internal consistency of individual scales ranged from .71 to .92 and the coefficients of temporal stability(test-retest) ranged from .70 to .96. Results of factor analysis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icated the existence of single factor, explaining 43.37 percent of total variance. Overall, results suggest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Implications for use of the instrument both as a clinical tool and a research instrument are discussed.
사회공포증에는 인지적 변인들이 특히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회공포중의 주된 인지적 내용의 하나로 간주되는 역기능적 신념들을 체계적으로 정의해서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는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두가지 일련의 연구를 통해, 사회공포증의 역기능적 신념들을 체계적으로 정의한 후 예비 문항들을 표집하였고, 그 문항들의 내용타당도에 대한 검토 및 일련의 요인분석을 거쳐 70개의 문항으로 된 역기능적 신념검사를 개발하였으며,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검사는 내적 합치도, 반분신뢰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매우 높았다. 요인분석 결과,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 그리고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 및 실수에 대한 과도한 염려'라는 3 요인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이 검사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공포 성향 뿐만 아니라 사회공포증과 관련된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 정서적 및 행동적 증상, 그리고 특질불안 등과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던 반면, 사회적 스트레스 자극과의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역기능적 신념검사는 사회공포중의 역기능적 신념들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연구 및 치료에서 이 검사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Cognitive variables have been known to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social phobia. However, there has not yet been developed any instrument to define systematically and measure objectively dysfunctional beliefs regarded as one type of main cognitive contents of social phobia. Based on the systematic definitions of dysfunctional beliefs of social phobia, a pool of 220 preliminary items were sampled, and 199 items were initially selec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content validity. And then the Dysfunctional Beliefs Test(DBT) with 70 items was constructed using a series of factor analyses on the data of 199 items, and was examin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wo separate studies. The DBT was highly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it had three factors labeled 'Negative Concept of Social Self', 'Excessive Demand for Others' Approval', and 'Negative Belief of Others and Excessive Concern over Mistakes'. And the DB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and trait anxiety related to social phobia as well as a vulnerability to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ut not with social stressor. In conclusion, the DBT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valid measure to assess dysfuntional beliefs of social phobia. Lastly, both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ies and the utilization of the DBT in the cognitive study and treatment of social phobia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Maudsley 강박행동질문지(MOCI)와 한국판 Padua 강박질문지(PI)를 각각 675명과 244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여 이 두 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평가하였다. PI는 MOCI에 비해 내적 일관성 및 시간적 안정성이 더 우수하고, 요인 구조가 더 안정적이며, 측정하는 강박 현상의 범위가 더 포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MOCI는 PI에 비해 변별타당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하위요인들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두 질문지의 하위요인들의 수렴/변별타당도가 일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질문지의 주성분분석에서 확인된 '의심' 요인 및 '심성통제실패' 요인의 본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Korean translations of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MOCI) and Padua Inventory(PI)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MOCI and the PI were administered to 675 and 244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ir psychometric properties were evaluated. As compared with the MOCI, the PI was found to have higher internal consistency and temporal stability, have more stable factor structure, and include more comprehensive obsessional phenomena. On the contrary, the MOCI was found to have higher discriminant validity than the PI.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subscales of two measures have good convergent/divergent validity. Finally, the nature and implications of 'doubting' and 'impaired mental control' subscal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MMPI 원형과 단축형 MMPI간의 상승척도에 기초한 임상적 해석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단축형 MMPI의 임상적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외래 및 입원환자를 포함한 정신과 환자 133명을 대상으로 MMPI와 정신과적 증상평정 목록을 실시하여, MMPI 원형과 MMPI 단축형간의 임상적 증상과 진단을 비교한 결과,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MMPI 단축형은 충분한 임상적 타당도를 지니고 있으며, 원형 MMPI를 대신하여 정신과적 감별진단의 목적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한국판 단축형 MMPI의 임상적 타당도를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An attempt was made to confirm clinical validity of MMPI-168 through comparison of clinical interpretation between the original MMPI and MMPI-168 on the basis of high-point codes. MMPI and the psychiatric symptom checklist were administered to 133 psychiatric patients including 59 males and 74 females. Clinical symptoms and diagnoses from the high-point codes of both original and short-form MMPI were compar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forms of MMPI in term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es. This study provided with a rational basis for clinicians to use MMPI-168 in place of the original MMPI for differential diagnosis as well as clinical description of psychiatric patients although further replication is needed to confirm the present results.
본 연구는 성격장애 A, B, C군이 인물화검사시 서로 어떤 다른 특징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이런 특징들이 각 군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별해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성격장애군으로 진단내려진 A군(18명), B군(20명), C군(11명) 입원환자들이었다. 측정변인들은 그림의 크기, 위치, 그림의 순서, 몸의 자세, 팔의 위치, 선의 압력, 선의 지속성, 선의 음영, 머리의 단순화, 신체의 단순화, 성적 정교화, 성적 분화 등 12개의 변인이며, 각 군간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그림의 크기, 그림의 순서, 선의 지속성 변인에서 차이가 났다. 변인들을 각기 세부변인으로 나누어 두 집단간의 비교를 하였을 때 A군과 B군을 구별하는 세부변인은 그림의 크기, 그림의 순서, 선의 약한 압력, 선의 비지속성이었으며, B군과 C군을 구별하는 데는 좌측위치, 그림의 순서, 선의 지속성, 선의 비지속성, 선의 약한 압력 변인이었고, 마지막으로 A군과 C군을 구별하는 세부변인은 그림의 크기, 하단위치, 신체의 단순화, 성적 분화 변인이었다. 모든 세부변인들을 투입하여 판별분석을 했을 때 세 군을 판별하는 정확도가 71%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 군을 구분하는 세부변인 9개 모두를 투입하였을 때보다 6% 더 높은 수치였다. 결과적으로 세 성격장애군을 구별하는 데 있어 그림의 크기, 그림의 순서, 그림의 지속성, 이 세 변인이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Draw-A-Person Test among personality disorder cluster A, B, C. Size, placement, sequence, posture, placement of arm, pressure of line, continuity of line, shading, body simplification, head simplification, sexual elaboration, sexual differentiation, total 12 variables in Draw-A-Person Test were scored. In ANOVA or chisquire analysis, Size, sequence, stro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uster A, B, C. To further We differentiate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between two clus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1)variables differentiated between cluster A and B were size, sequence, light pressure, discontinuity of line, (2)variables differentiated between cluster B and C were left placement, sequence, continuity of line, discontinuity of line, light pressure, (3)variables differentiated between cluster A and C were size, below of page, body simplification, sexual differentiation. In discriminant analysis, when all variables were put into analyses, hit-ratio was 71 % and this discriminant functions effectively differentiated the three clusters. The results suggest that size, sequence, continuity of line seem very important to differentiate among cluster A, B, C.
다양한 뇌 손상 환자 및 치매환자들에서 기억장애는 가장 공통적으로 호소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표준화 절차를 거쳐 신뢰도와 타당도가 충분히 입증된 기억검사배터리가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Memory Assessment Scales(MAS:Williams, 1991)를 한국판(K-MAS)으로 수정하여 정상집단을 대상으로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한 동시에 규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408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K-MAS를 실시한 결과 MAS와 유사한 점수 분포를 보임으로서 K-MAS가 MAS의 내적 구조에 충분히 부합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기억기능이 유의미하게 저하됨이 대규모 정상 표집을 통해 확인되었는데 특히 40대부터도 기억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39세, 40~59세, 60세 이상의 세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수준에서는 6년, 7~12년, 13년 이상의 세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K-MAS의 모든 소 검사와 하위 척도들이 전체 기억 척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언어성 과제들은 언어기억과, 시각과제들은 시각기억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얼굴기억검사는 언어기억, 시각기억 둘 다와 유의한 상관을 보임으로써 두 기억과정의 통합적 과제임이 시사되는 등 검사의 내적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시사되었다. 이상에서 볼 때 K-MAS는 기억검사배터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규준개발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연령, 학력의 구체적인 분류기준도 제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60대 이상의 집단에서 한국 노인들이 미국 노인들에 비해 학력과 상관없이 낮은 점수를 보여 사회 문화적 환경의 빈약함과 같은 가정과 함께 추후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lthough memory deficit is one of the most common features of various brain diseases and dementia, its assessment tool with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has not yet been develop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inical usefulness of the K-MAS(Korean form of Memory Assessment Scale) and to collect normative data. K-MAS is Korean version of MAS(Memory Assessment Scales; Williams,1991), in which several original items were adjusted to the Korean culture. But we made every effort to ensure that the same cognitive processes that MAS aims to assess would be tapped in K-MAS. We administered K-MAS to 408 normal ad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 patterns of K-MAS were similar to those of MAS, indicating the same internal structure as that of MAS. The traditional notion that memory function is correlated with age and educational level was confirmed in this study. Especially, memory weakening seems to begin as early as in the forties. It is thought to be desired that the ase range be divided into categories of age of between 19-39, between 40-59, 60 or over, and the levels of education into categories of educational year of 6 or below, between 7 and 12, 13 or over. All subtests and summary scales of K-MA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Global Memory Scale, verbal subtests with Verbal Memory Scale, and visual subtests with Visual Memory Scale. The Names-faces subtest was correlated with both Verbal and Visual Memory Scales, which confirms that the task measures the ability to associate verbal(names) and nonverbal(faces) material. The above results suggest K-MAS has high internal consistency. Final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mory functioning of the Korean elderly was poorer than the American elderly in any educational level.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explore possible factors which might explain such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