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문제 음주 대학생에 대한 단기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한상미(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이봉건(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1-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알콜로 인한 음주문제들이 청소년과 여성들 나아가서는 대학생들 사이에서 증가되는 추세를 배경으로, 문제음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기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내담자를 모집하기 위하여 충북 청주시 소재 00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내 신문 광고를 통해 집단프로그램의 참여 신청을 받았다. 이들에게 알콜의존 설문지(MAST)를 실시하여 13점 이상인 자들만 선별하였다. 이들 중 인지행동집단에는 7명, 통제집단에는 10명을 배정하였다. 중도탈락자는 인지행동 집단에서는 3회기에 2명, 4회기에 1명이, 통제집단에서는 3회기에 2명 4회기에 1명이 발생하여 각 집단마다 3명씩이었다. 띠라서 본 연구에 최종적으로 참여한 인원은 인지행동 집단 4명, 통제집단 7명이었다. 인지행동 집단에서는 알콜과 관련된 인지적 요인의 파악 및 수정을 통하여, 알콜로 인하여 생긴 문제들을 극복하고 음주위험이 높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내담자들의 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두었다. 통제집단은 알콜에 관한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받고 알콜섭취량을 기록하도록 요구되었다. 각 집단의 내담자들은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알콜의존 심각성(SADQ), 음주행동설문(DBQ)과 음주조절에 대한 자기효능감 설문(CDSE), 우울(BDI)설문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치료효과가 클 것으로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행동 집단과 통제집단의 처치 후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알콜의존 설문(SADQ)과 음주조절에 대한 자기효능감 설문(CDSE)에서 나티났다. 즉, 인지행동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서 치료 후에 알콜의존의 심각성이 감소하였고, 음주의 양 및 빈도를 조절하는 것과 관련된 자기효능감이 높아졌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일상 생활 중의 음주와 관련된 신념의 비합리성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내담자의 인지 재구조화를 추구하는 인지행동 치료가 유용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brief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CBGT) for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 problems. The is that CBGT group will have more difference scores on SADQ, CDSE, DBQ, and BDI than th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screened with the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MAST) and Problem Drinking Questionnaire(PDQ). The CBGT group consisted of 4 subject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7 Subjects. Before the treatments begin, both groups were given the SADQ, CDSE, DBQ, BDI Questionnaires. The control group were provide information about alcohol effects. They were encouraged to monitor their alcohol intake daily. However, they were not information on strategies to reduce the amount of drinking. The CBGT subjects were asked to record situations in which they drank alcohol and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f alcohol, and they were asked to record strategies to control drinking and problem solving.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CBGT condi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 on the dependent measures were tested by 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T-Test. Within-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s and the post-tests were also examined the same nonparametric. The statistical have shown that only the SADQ scores and CDSE scores between the CBG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indicated that CBGT reduced alcohol dependency and increased confidence in controlling alcohol intake in common high-risk situation. As a case example, one subject showing the most improvement in CBGT was described in this study. Also the reasons for nonsignificant results were suggest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Some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과 심리 사회적 특성: 3개월간 추적 연구
김은정(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하은혜(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5-2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의 우울증상의 유발과 지속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심리 사회적 변인들을 확인하고자 3개월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및 근교에 거주하는 20대에서 60 대 미만의 기혼여성 591명이었으며, 이들 중 150명의 2차 추적 자료를 얻었다. 1차 설문의 내용은 최근 6개월간 경험한 스트레스 지각 정도, 우울증상 및 사회적 적응 수준 그리고 주요 심리 사회적 변인으로 대처 양식, 자기 효능감 및 사회적지지 정도가 포함되었으며, 2차 조사에서는 우울증상에 대해 재측정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연령의 증가에 따라 스트레스 지각 정도가 증가되었으며, 전반적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각 정도가 낮았고 취업 주부들은 전업주부들에 비해 높았다. 1차 조사시의 우울수준 및 심리 사회적 변인들이 3개월 후 우울증상 수준을 설명해 주는 정도를 분석해 본 결과, 1차 조사의 우울수준은 2차 조사의 우울수준을 20.1% 설명해 줌으로써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고 그 외 회피적 대처 행동 및 사회적지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이들 변인들은 2차 우울수준을 총 36.8%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 사회적 기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혼 여성들의 주요 스트레스 영역을 확인하고 이후 우울증상을 예측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심리 사회적 변인들의 우울증치료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of married women. A total of 591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were married participated in the 1st survey and after 3 months 150 among them mailed their responses for the 2nd survey. The 1st questionnaire included the type and level of stress in the past 6 months,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CES-D) and social adjust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oping style. At the follow-up,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 were reassessed. The results said that age, level of education and status of employ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1st CES-D explained the 20.1.% of variances of 2nd CES-D and the psychosocial variables altogether explained the 36.8%. The avoidant and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it although 1st CES-D was controlled.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psychosocial functioning of married women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indicated the psychosocial factors which would be usefuI for intervention program.

우울증상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지속성: 안정집단과 변동집단간 비교
김은정(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하은혜(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7-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상의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조사하고 구체적으로 우울증상의 유지 및 변화에 영향을 주는 심리 사회적 변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상과 심리 사회적 특성들에 관해 3개월 간격으로 2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CES-D 24점을 기준으로 3개월 동안 집단소속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1차조사시의 집단소속과 비교하여 집단소속의 변화를 보이지 않은 집단은 전체 68.7%에 해당되었고 집단소속의 변화를 보인 비율은 전체 31.3%인 것으로 나타났다. 1차와 2차조사에 따른 집단소속 변화결과에 기초하여 네 집단(우울지속집단, 호전집단, 유발집단, 비우울안정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 심리 사회적 변인들상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회피적 대처 행동에서 유발집단과 비우울안정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집단소속이 변화된 집단을 변동집단으로 구분하여 세 집단간 비교를 한 결과, 변동집단은 전반적인 심리 사회적 변인에 있어서 비우울안정집단보다 우울지속집단과 더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울증상의 유발 및 지속과 관련된 심리 사회적 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변동집단의 특성과 이에 대한 임상적 관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temporal change of depressive symptoms and examined the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it. A total of 150 married women participated in the first survey which assesse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social adjustment, life stressors, self-efficacy, coping styl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y reporte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t the 3 months follow-up. Based on the CES-D scores on the first and follow-up survey, they were divided into Movers and Stayers. The stayers ( over 24 on the first and follow-up CES-D or under 24 on the first and follow-up ) were 68.7% and the movers ( over 24 on the first and under 24 on the follow-up, or vice versa ) were 31.3%. The movers who were not depressed ar the first and reported depressive symptoms at the follow-up, were more avoidant in their coping style than the nondepressed stayers. And the Depressed Stayers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than the Movers,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overs in the psychosocial functioning. The results sevealed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suggested clinical implication for the Movers.

정신분열병 환자의 불일치 복합메시지에 대한 이해 -얼굴표정 이해를 중심으로-
진복수(경북과학대학 사회복지과) ; 손명자(계명대학교 심리학과) pp.4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불일치 복합 메시지 처리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어떤 것이며,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불일치 복합메시지에 대한 이해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피험자는 정신분열병 집단(양성집단 15명, 음성집단 15명)과 정상인(15명)이었다. 불일치 복합메시지 이해도는 주인공의 감정상태에 대한 판단 정도와 대화상황에 대한 판단 정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2에서는 환자들이 불일치한 복합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원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 2-A에서는 메시지 이해의 어려움에 대한 원인으로 주의결함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정신분열병 양성집단은 주의유도를 지시한 조건이 주의유도를 지시하지 않은 조건에 비해 이해도가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양성집단은 선택적인 주의결함이 메시지 이해에 어려움을 가져온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집단은 주의를 유도한 조건과 주의를 유도하지 않은 조건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주의결함으로는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 실험 2-B는 정신분열병 음성집단의 메시지 이해의 어려움을 다른 가능한 원인인 인지손상으로 설명할 수 있을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역시 정신분열병 양성집단에 비해 정신분열병 음성집단의 얼굴표정 이해도는 낮았다. 이 결과는 같은 정신분열병 환자라도 복합메시지를 정확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원인이 두 하위집단 간에 다르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것은 환자들의 의사소통에서의 불일치 메시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집단에 따라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problems schizophrenic patients have in understanding of inconsistent mixed messages an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problems. In Experiment 1,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inconsistent mixed messages of schizophrenic patients was analyzed. The subjects were 30 schizophrenic patients, 15 with positive symptom and 15 with negative symptom, and 15 normal peop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nconsistent mixed messages by subjects, the judgement on state of emotion and the situation of dialog were measured. In Experiment 2,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why schizophrenic patients have a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nconsistent mixed messages. In order to explain the cause of messages understanding difficulty shown in Experiment 1, Experiment 2-A intend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attention deficit. The result was that in the case of positive schizophrenics, the condition in which the attention was inducted increase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more than the condition which had no attention induc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ause of performance of positive schizophrenics could be due to the selective attention deficit. However, the low understanding of the negative schizophrenics can't be explained by the attention deficit because they didn't show a difference between attention inducting condition and no attention inducting condition. In Experiment 2-B, the possible cause of low performance in negative schizophrenic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cognitive ability impairment. The experiment condition was a simpler inconsistent task than in Experiment 2- A, in which only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acial expressions was measured. As expected, facial expression understanding of negative schizophrenics as compared with positive schizophrenics, was shown to be low. This tells us that the reasons why schizophrenic patients cannot handle mixed messages a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f schizophrenic patients.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patients' communication with inconsistent messages, we may need different approaches depending on each group.

정신분열병의 양성증후군과 음성증후군의 인지적 결손 - 기억수행과 기억조직화를 중심으로 -
백용매(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59-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환자의 특징적인 인지결손을 밝히기 위하여 양성/음성증후군과 정신분열병이 아닌 다른 정신과 환자집단 정상집단의 피험자에게 중다시행 목록학습과제를 실시한 후 목록유형과 반복시행에 따른 기억수행과 기억조직화를 검증하였다. 양성증후군은 정상집단에 비해 재인기억에서는 뚜렷한 기억결함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억조직화와 관련되는 자유회상과 기억군집화에서는 기억결함이 관찰되었고 알콜의존환자와 기분장애 등 비정신분열병환자와 비슷한 수준의 기억수행을 보였다. 그리고 동일한 내용의 단어목록을 반복하여 제시할 경우 시행에 따라 의미적으로 관련있는 단어를 범주별로 유목화하여 기억하는 기억군집화량이 증가하였고, 단어를 범주에 관계없이 무선적으로 제시하여도 동일한 유목의 단어를 묶어서 기억하는 기억군집화량도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음성증후군은 기억과제의 유형에 관계없이 기억결함이 나타나는 전반적인 기억결함이 있었고, 동일한 내용의 단어를 반복하여 제시하여도 의미적으로 관련있는 단어를 유목화하여 기억하거나 유목조건을 단서로 활용하는 능력이 양성증후군보다 저하되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정신분열병이 동일한 진단집단이라 하더라도 하위유형에 따라 기억정보의 처리방식과 인지결손의 형태가 서로 상이하고 특히 음성증후군의 인지결손이 더욱 심각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정신분열병의 이질성을 검증하기 위한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deficits in positive and negative schizophrenic patients on tests of memory performance and memory organization. Positive schizophrenics, negative schizophrenics, nonschizophrenics and normals were administered multi-trial word list learning procedu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 1) positive schizophrenics were unimpaired on recognition test, and showed explicit impairment on recall and cluster tests related to memory organization, but positive schizophrenics and nonschizophrenics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mory performance; 2) the positive schizophrenics, as well as normals and nonschizophrenics were able to organize semantically related words and improved clustering scores in trials with lists presented in categorized and uncategorized fashion; 3) negative schizophrenics were impaired on recall, and recognition test regardless of memory organization; and 4) the normals, nonschizophrenics and positive schizophrenics were able to organize semantically related words in trials, but negative schizophrenics were not able to organize semantically related words which presented in unorganized fash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schizophrenics are in the same diagnosis category, but are explicitly different in the pathological process and the cognitive deficits. The validation of heterogeneity in schizophrenics is discussed for future study.

정신분열증과 주요 우울장애의 자아기능의 장애 - Rorschach 검사상의 자아 손상 지표를 중심으로 -
채숙희(조선대병원 정신과) ; 조용래(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 교실) ; 박상학(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 교실) ; 김학렬(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 교실) ; 김상훈(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 교실) ; 표경식(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 교실) ; 김정호(조선대병원 정신과) pp.79-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DSM-IV 진단 기준에 의해 진단된 정신분열증 환자와 주요 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아 손상 지표의 타당성 및 임상적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각 환자군들에게는 Rorschach와 MMPI 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손상지표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변인들이 서로 높은 상관이 있었고, 요인분석 결과 단일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가설과 일치되게,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보다 자아기능의 손상정도가 유의하게 컸다. 셋째, Barron의 자아 강도척도와 EH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판별 분석 결과, 진단 정확 판별률은 90%였다. 따라서 EH는 정신분열증과 주요 우울장애를 정확하게 변별하였으며, 정신과 환자들의 자아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certain the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Ego Impairment Index (EII) in two group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chizophrenia diagnosed with the DSM-IV. Two groups of patients were tested by the Rorschach and the MMP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II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interrelated and a single factor was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is. 2) As hypothesized, the degree of ego impairment was great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an those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3) Barron's ego strength scale of the MMPI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dex. 4) As results of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the correct discriminating mean power of this discriminant function was 90%. Therefore, this results offer support for the use of the EII as an empirical means of assessing the degree of ego impairment.

주정중독환자군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
박영숙(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pp.89-10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주정중독환자집단이 나타내고 있는 심리적 상태를 심리평가에 의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996년 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동대문병원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남자환자를 대상자로 하였고,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주정중독으로 진단된 성인남자환자 56명과 정상대조군 성인남자 56명, 전체 112명이었다. 심리평가는 상태-특성불안척도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이화방어검사 Ewha Diagnostic Test of Defense Mechanism, MMPI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주정중독환자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특성 불안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고, 자아방어기제에서는 투사, 전치, 행동화, 해리, 신체화, 수동-공격, 동일시, 퇴행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으며, MMPI에서는 전체 척도가 정상범위내에 속하고 있었지만 정상대조군과 비교해서는 F, 1, 2, 3, 4, 5, 6, 7, 8, 9, 10에서 유의한 점수 상승을 보인 반면 척도 K에서는 유의한 점수 하강을 보였고, 척도 6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주정중독환자군의 특성 불안과 불안정하고 자기 부정적인 자아방어기제가 특성적 요인으로 존재하며, 대인관계에서의 편집증적 경향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었고, 이러한 심리적 상태가 치료관계 형성과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traits of alcohol abuse group through psychological assesment. The subjects were 56 male alcohol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Ewha Womens University Hospital Neuropsychiatric department from January 1994 to June 1997 and 56 male control group. Alcoholic patient group was diagnosed as alcohol dependence according to the DSM-IV diagnostic criteria. The psychological assessment involved State-Trait Inventory., Ewha Diagnostic Test of Defense Mechanism Test and Minesota Muthiphtic Personality Invent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lcohol abus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Trait-Anxiety Score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 as well as in projection, displacement, acting-out, dissociation, somatization., passive-aggressive, identification and regression defense mechanisms with Ewha .Defense Mechanism Test(EDMT). MMPI subscales were presented within normal range but alcohol abuse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 goup along the F, 1 to 10 subscales, scale 6 being the highest and lower K sca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lcohol abuse group have trait-anxiety, unstable and self-denial defense mechanisms as trait factors, and paranoid tendency towar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psychological stat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se psychological traits and state factors could bring negative effects to therapeutic relationship.

원전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인사선발 검사의 개발
안창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만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박동건(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윤선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성일(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임영란(용인정신병원 임상심리과) pp.101-12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원전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인사선발 검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검사는 맡은 일에 능력을 보이며 성실하게 임하는 지 여부를 측정하는 성실성 요인과 정서, 행동, 인지 차원에서의 사고 유발 경향성과 관련된 심리적 불안정성 요인으로 크게 구분된다. 예비검사는 대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본 검사는 대학생 507명을 대상으로 완성되었다. 검사의 하위척도들의 내적 일치도는 .73 -.95에 이르며 재검사 신뢰도의 범위는 .67-.88이었다. 또한 하위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1개 하위척도를 제외하곤 연구자가 선정한 이론적 구조와 완벽하게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입증되었다. 한편, 정신병리를 측정하는 SCL-90-R과의 관련성에서는 정서적 불안정성과 인지적 불안정성 하위척도가 높은 상관을 보였다. 현지 원전 근무자 68명에 대한 검사 실시 결과, 업무 수행의 저하는 성실성 요인과는 부적 상관을, 불안정성 요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작업중 사고 경험은 정서적 불안정성 요인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적합한 인사선발 검사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직무에 응용 가능하다.

Abstract

A personnel selection test in Korean nuclear power plant settings has been developed for preventing nuclear safety-accidents. This test is consisted of two parts : 'conscientiousness' and 'psychological unstability',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measurement concepts relating to accident-proneness. The procedures of the test construction are as follows. In a preliminary test, data of 237 college students were gathered and analyzed for item-selection. The final form of the test was administrated to 507 students and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were measure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show .73~.95 range, and retest reliabilities keep in .67~.88 level. Factor analysis with principal component method explains 69.4% of variants and extracts 4 factors. Each factor include conscientiousness and 3 unstability scales, exclusively. This factor structure is confirmed again in confirmatory analysis. Correlation with SCL-90-R measuring psychopathology shows no or negative with conscientiousness and high positive with all of unstability sub-scales. For measur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test was administrated to incumbent 68 nuclear operators and compared with subjective job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6 job performance evaluation scales such as stress, job performance, competency evaluation, accident experience, group communication, team performance, show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scientiousness part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ith unstability sub-scales. Especially, accident experienc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ger, acting-out, impulsivity, vulnerability and defensivenes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치매진단을 위한 단축형 Korean-Boston Naming Test(S-K-BNT)의 개발
강연욱(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김향희(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나덕렬(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pp.125-138
초록보기
초록

이름대기장애는 알쯔하이머형치매(AD) 뿐만 아니라 혈관성치매(VaD) 환자들에게서도 흔히 관찰되는 인지장애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경험적인 방법을 통해서 치매진단을 위한 Korean-Boston Naming Test(K-BNT; 김향희와 나덕렬, 1997)의 단축형 검사(S-K-BNT)를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130명의 치매환자들(AD 75명, VaD 55명)과 130명의 정상노인들에게 K-BNT를 실시하여 치매환자들만이 현저한 수행저하를 보이는 K-BNT문항들을 선별하였고, 선별된 문항들의 치매변별력을 판별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15문항을 선정하여 S-K-BNT를 구성하였다. 이 문항들의 내적일치도(Cronbach's α)는 .86이었고 K-BNT와는 .94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S-K-BNT와 K-BNT의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 아래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S-K-BNT가 K-BNT보다 치매환자들을 더 잘 변별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연구 2에서는 55세부터 84세에 이르는 565명(남자 250명, 여자 315명)의 정상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S-K-BNT의 연령별, 학력별 규준을 구하였다. 연구 3에서는 68명의 치매환자들(AD 39명, VaD 29명)과 68명의 정상노인들로 구성된 독립적인 교차타당화(cross-validated) 표집에서 연구 1에서 개발된 S-K-BNT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 제공된 S-K-BNT의 규준을 적용하여 S-K-BNT와 K-BNT의 정확분류율을 비교한 결과 15문항의 S-K-BNT가 60문항의 K-BNT 만큼 정확히 치매를 변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S-K-BNT의 사용과 관련한 몇 가지 주의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Naming difficulty is one of the common cognitive impairments demonstrated by vascular dementia (VaD) as well as Alzheimer's disease (AD).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60-item Korean-Boston Naming Test (K.-BNT; Kim & Na, 1997) empirically for using in dementia patients. First, the K-BNT was administered to 130 dementia patients (75 AD and 55 VaD) and 130 healthy normal elderly whose age, sex, and education level were matched with the dementia patient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roportion providing a correct response to each item and the results of discriminant functional analysis, 15 good predictor items to differentiate dementia patients from normal adults were found.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x03B1;) for these 15-items was .8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60-item K-BNT and the 15-item short form (S-K-BNT) was as high as .94 (p<.001). To compare the probabilities of correctly identifying dementia, the areas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of the S-K-BNT and the K-BNT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S-K-BNT is the more efficient measure for identifying dementia than the K-BNT. Second, age and education-stratified norms on the S-K-BNT are presented for 565 healthy normal elderly aged 55-84 years. Third, the S-K-BNT was cross-validated in an independent sample that consisted of 68 dementia patients (39 AD and 29 VaD) and 68 healthy elderly. Correct classification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S-K-BNT and the K-BNT. They were 75.7% and 70.6%, respectively. It confirmed that the 15-item S-K-BNT is as efficient as the 60-item K-BNT in identifying dementia. Finally, several precautionary notes relating to the use of S-K-BNT were discussed.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타당화 연구 II: 이혼상담집단과 자녀상담집단을 중심으로
권정혜(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채규만(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139-15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MSI) 타당화 연구의 일환으로 이혼문제로 가정법률 상담소를 방문한 여성 35명과 자녀문제로 아동상담소를 방문한 여성 27명을 대상으로 K-MSI틀 실시하여 규준집단에 속한 정상여성들의 K-MSI점수와 비교하였다.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하거나 자녀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여성들의 결혼만족도가 낮으리라는 가정 하에 K-MSI 검사의 전반적 불만족 척도와 11개 하위척도 상에서 정상집단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혼상담집단과 정상집단을 비교해 본 결과 이혼상담집단이 성역할 태도 척도, 원가족 문제 척도, 자녀 불만족 척도를 제외한 다른 모든 하위 척도(비일관적 반응 척도, 관습적 반응 척도, 전반적 불만족 척도, 정서적 의사소통 척도, 문제해결 의사소통 척도, 공격행동 척도, 공유시간 갈등 척도, 경제적 갈등 척도, 성적 불만족 척도, 자녀양육 갈등 척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특히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족 정도를 전체적으로 측정하는 전반적 불만족 척도는 정상집단과 이혼상담집단을 잘 변별해 주었다. 한편 자녀상담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 자녀 불만족 척도, 자녀양육 갈등 척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을 뿐 아니라 전반적 불만족 척도, 정서적 의사소통 문제 척도, 문제해결 의사소통 문제 척도에서도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 연구 결과는 K-MSI가 이혼상담집단이나 자녀상담집단의 전반적인 결혼불만족 정도를 잘 반영해 줄 뿐 아니라 이들이 결혼생활에서 불만족을 느끼는 문제영역을 구체적으로 밝혀줌으로써 임상현장에서 타당하고도 유용한 검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K-MSI). As the criterion group for the first study, thirty-five female clients who sought counseling for their marital conflicts were recruit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Korean Legal and Family Counseling Centers. For the second study, 27 mothers of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were recruited among those who visited two counseling center for children because of their child's problems. The K-MSI scores of the criterion group subject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standardization sample whose age and: education were controlled. The marital counseling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marital satisfaction than the normal group in all the subscales such as Inconsistency, Conventionalization, Global Distress, Affective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ggression, Time Together, Disagreement About Finances, Sexual Dissatisfaction, Conflict Over Child Rearing except the subscales of Role Orientation, Family History of Distress and Dissatisfaction with Children.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also showed significantly lower marital satisfaction in the subscales of Conflict over Child Rearing, Dissatisfaction with Children, Global Distress, Affectiv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K-MSI demonstrated the concurrent validity in discriminating the subjects with marital conflicts and specific problems with children from the normal subjects, and that it is a very useful tool in screening the clients with marital and family problems in clinical settings.

한국판 우울형용사체크리스트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이영호(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151-16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우울형용사체크리스트(K-DACL; 이영호, 1993)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516명의 대학생과 우울증, 불안장애 및 신체형장애를 포함한 215명의 정신과 환자에게 K-DACL, Beck 우울척도, Beck 불안척도 및 무망감우울증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K-DACL의 내적 일관성 a =.92, .93)과 반분신뢰도(r= .93, .91)는 높았으며,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r= .36)는 상당히 낮 은 편이었다. 우울 증상들을 측정하는 다른 척도들과의 공존타당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었으며(r= .64 -.70), 불안 증상들을 측정하는 Beck 불안척도와의 상관은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r=.35). K-DACL이 우울증 집단을 신체형장애 집단이나 정상 집단과 타당하게 변별할 수 있었는데, 정확분류율을 최대화하는 적절한 절단점은 남자 집단에서 20/21점이었으며 여자 집단에서 18/19점이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K-DACL에 '부정적 기분'과 '긍정적 기분'의 두가지 잠재 요인이 존재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Abstract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pression Adjective Check List-Korean version(K-DACL; Lee, 1993), 516 college students and 215 psychiatric patients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disorders and somatoform disorders completed the K-DACL, BDI, BAI and Hopelessness Depression Scale(HDS; Lee, 1993).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DACL was high(alpha=:92, .93), split=half reliability was high(r=.93, .91).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moderately low(r= .36) as expected. Concurrent validity estimates between K-DACL and BDI and HDS were moderlately high(r= .64 - .70) and the estimates between K-DACL and BAI was moderately low(r=.35) as expected. The diagnostic efficiency of the K-DACL was good in differentiating depression group from somatoform 'disorder and normal group. Optimal cut-off score of the K-DACL was 20/21 in males and 18/19 in females. The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existence of two underlying factors, 'negative moods' and 'positive moods', which was robust across sex and diagnosis.

한국판 발표불안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조용래(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 교실) ; 이민규(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박상학(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 교실) pp.165-1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발표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외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Personal Report of Confidence as a Speaker'를 한국말로 번역하고, 그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번역된 발표불안척도를 포함한 여러 가지 자기 보고형 검사들을 대학생 212명에게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문항분석 결과, 총 30개 문항 중 두 개의 문항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어 나머지 28개 문항들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한국판 발표불안척도를 재구성하였다. 이 척도는 내적 합치도, 반분신뢰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매우 높았으며, 공존타당도 역시 높았다. 또한 한국판 발표불안척도는 우울정도와의 상관보다는 발표불안을 재는 다른 척도인 발표불안위계표와의 상관이 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발표상황을 즐김'과 '발표상황에 대한 긴장' 등 2개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판 발표불안척도는 대학생의 발표불안을 매우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Abstract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both to construct the Korean version of an instrument which has been world-widely used to measure speech anxiety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Personal Report of Confidence as a Speaker5 was translated into Korean. Several self-report inventories including the Korean version of Speech Anxiety Scale (K-SAS)were administered to 212 college students. Item analyses of their responses on K-SAS indicated two of 30 items weren't appropriate, and thus 28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o construct K-SAS. K-SAS is highly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also has good concurrent validity. It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Speech Anxiety Hierarchy, another Speech Anxiety Scale than with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refore, this supports good discriminat validity of K-SAS. Factor analysis reveals that K-SAS has two factors labeled 'Enjoyment of Speech Situation' and 'Tension of Speech Situation'. In conclusion, K-SAS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valid measure to assess speech anxiety in college students.

K-WAIS의 활용을 위한 세 가지 고찰
김홍근(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pp.179-186
초록보기
초록

K-WAIS의 활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세 가지 지적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피검자의 병전지능을 추정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한 접근법으로 인구학적 변인을 이용하는 방법이 중요하나 관련 K-WAIS 연구가 아직 미비하다. 해결책으로 K-WAIS 표준화집단을 연령 및 학력에 따라 25개 소집단으로 나누고 각 소집단에 대한 VIQ, PIQ, FIQ 평균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VIQ와 PIQ의 차이가 최소 어느 정도 되어야지 유의미한 해석을 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한 기존의 가설검증식 접근법의 제한점을 지적하고 실제 정상인 분포에 근거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정상인 201명을 조사한 결과 15% 유의도 수준에서는 17점, 5% 유의도 수준에서는 23점의 차이가 요구되었다. 세 번째는, 연령별 규준 적용의 문제로, 예를 들어 피검자의 연령이 34세 11개월인 경우 단지 1개월의 차이로 규준 적용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다루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25~34세의 규준과 35~44세의 규준을 적용하여 결과를 각각 산출한 뒤 양 결과의 중간점을 취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중간점 산출방식은 10년 단위로 구분된 연령규준을 5년 단위로 구분된 것처럼 사용하는 효과를 가진다.

Abstract

This study addressed three issues in clinical use of K-WAIS. First, a clinician frequently faces the situation in which a subject's premorbid intelligence should be estimated. This study provides VIQ, PIQ, FIQ means for 25 subgroups of the K-WAIS standardization sample. These data can be used for estimating a subject's premorbid intelligence based on his/her age and years of education. Second, how big a difference between VIQ and PIQ may be interpreted as clinically significant? An investigation of 201 normal subjects indicates that a 17-point difference is required at 15% significance level and a 23-point difference is required at 5% significance level. Third, which age norm should be utilized, for example, for a 34-year-and-11-month old subject? A proposed solution is to take the mid-points of the two sets of results, one based on the 23~34 age norm and the other based on the 35~44 age norm.

MBTI의 태도척도와 MMPI si 척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재갑(서울심리상담소) ; 최정윤(강남성모병원 정신과) pp.187-19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476명을 대상으로 MBTI에 의한 심리유형과 MMPI의 여러 척도들, 특히 MBTI의 E-I 척도와, MMPI의 si척도에 나타난 심리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Jung의 심리유형과 정신병리와의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476명은 MBTI의 E-I(외향-내향) 차원과 KWPI의 si척도에 의해 4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4개 집단은, (1)집단 1= MBTI에서 I 이면서 si>50인 집단 (2)집단 2= MBTI에서 E이면서 si<50인 집단 (3)집단 3= MBTI에서 I 이면서 si<50인 집단 (4)집단 4=MBTI에서 E이면서 si>50인 집단으로 구분된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개관하였으며, 사용된 자료분석방법은 MBTI 연속점수와 MMPI 임상 및 특수척도들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이어서 이들 4개 집단에 대해 MMPI의 특수 척도인 불안척도 및 자아강도척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변량분석과 post hoc comparision을 하였다. 연구 결과 MBTI E-I 척도와 불안척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4집단에 대한 변량분석과 다중비교 결과 집단 1, 4가 높은 불안과 낮은 자아강도의 동질 집단으로 묶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들이 있다. I. 내향적인 젊은이가 모두 심리적 갈등을 경험하지는 않으며, 내향적이면서 사회에 적극 참여하는 젊은이는 심리적으로 가장 안정된 집단일 가능성을 제안한다. 2. 외향적인 젊은이가 모두 잘 적응하는 것은 아니며, 사회적 내향보이는 외향형은 심리적인 어려움을 경험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ntented to explore Jung's theory of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type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types of MBTI and scales of MMPI, especiall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MBTI E-I scale and on MMPI si scale in 476 university students. We classified 4 groups by the MBTI extrovert-introvert scale and MMPI si scales. Those 4 groups are: Group 1 (introverted attitude(I) and socially introversion(si>50)), Group 2(extroverted attitude(E) and socially extroversion(si<50)), Group 3(introverted attitude(I) and socially extroversion(si<50)), Group 4(extroverted attitude(E) and socially introverted(si>50) Simpl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BTI continuous scales and MMPI scales and one way .ANOVA with the anxiety scale and ego strength scale as dependent measures were conducted on the 4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BTI E-I scale and MMPI anxiety scale showed signifiant positive correlation. The results of one way ANOVA with the anxiety scale as dependent variable rejected the null hypothesis and the results of multiple comparison classified Group 1 and Group 4 as high anxiety homogeneous group. One way ANOVA with the ego-strength scale as dependent variable rejected null hypothesis and the results of multiple comparison classfied Group 1 and Group 4 as low ego-strength score homogeneous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 not all introverts experienc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ven the introverts, if socially active, appear to show good psychological functioning. Second, not all the extroverts adapt well psychologically. The extroverts with poor social participation are likely to show poor psychological functioning.

주의산만ㆍ과잉활동 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군집 분석
문경주(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하은혜(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박중규(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pp.199-2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주의산만ㆍ과잉활동 문제를 보이는 97명의 초등학교 남아를 대상으로 K-CBCL 반응을 군집분석하고 반응유형별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들의 K-CBCL 반응은 4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군집 1은 「혼합형 문제 집단」, 군집 2는 「외현화 문제 집단」, 군집 3은 「주의집중 문제 집단」, 군집 4는 「정상 프로파일 집단」으로 정의되었다. 공존문제가 있는 군집 1과 군집 2를 공존문제가 없는 군집 3과 비교해 보았을 때, 공존문제가 있는 집단은 공존문제가 없는 집단에 비해 형제, 또래, 부모와 의 관계가 나쁘고, 총사회능력 점수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를 토대로 초등학교 남아들의 K-CBCL 반응을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classifying 6 to 12-year old children who are treated for attention difficulties using K-CBCL scores. Eight K-CBCL sub-scale scores of 97 elementary school boys having attention difficulti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cluster analysis method. Four groups with different profiles of K-CBCL scores emerged from the analysis. Group 1 with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Attention Problems scores over 65 T-score was defined as Mixed Problems Group and group 2 with T-score over 65 on both Externalizing Problems and Attention Problems scale, Externalizing Problems Group. Group 3 with T-score over 65 in Attention Problems scale only was named Attention Problems Group. Group D consisted of boys with T-score under 60 in all subscale scores including Attention Problems score, and thus named Normal Profile Group. The two Groups with comorbidity(group 1 & group 2) appeared to have poorer relationship with parents, peers, and siblings than the Group without comorbidity(group 3).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가족분화 개념에 대한 새로운 탐색: 단일차원인가? 다차원인가?
남순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한성열(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209-209
초록보기
초록

기존 가족체계 이론가들은 가족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유형인 가족분화를 분리성과 연결성이 균형을 이루는 단일차원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분리성과 연결성을 서로 상반되는 하위개념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각각 독립적인 개념으로 볼 때, 가족분화의 수준을 보다 명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분화의 거리조절 유형을 각각 서로 독립적인 분리성과 연결성의 차원으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리성은 의미있는 타인과 구별되는 자아를 유지하는 능력으로 반대 개념은 연결성이 아닌 밀착이 된다. 연결성은 의미있는 타인과 정서적 친밀감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반대 개념은 이탈이 된다. 연구결과, 높은 수준의 가족분화는 분리성과 연결성을 동시에 보이는 반면에 낮은 수준의 가족분화는 밀착과 이탈을 동시에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족분화를 다차원으로 설명하는 것이 단일차원으로 설명하는 것 보다 더 적절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In the previous studies, the family differentiation(the family system's interaction pattern) was conceptualized as an uni-dimension, which was balance of separateness and connectedness. However, when separateness and connectedness are considered as two extremes of the uni-dimension, the concept of family differentiation levels cannot be elaborated. Thus, in the present study, the family differentiation are separated by two independent dimensions involving separateness and connectedness. Separateness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a person increasingly achieves a sense of self that is distinct from significant others. The opposite pole of separateness on a continuum is enmeshment(fusion). Meanwhile, connectedness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maintain a sense of emotional intimacy to significant others while having distinct boundaries to the self, which is on the continuum with disengagement(cut-off) at the opposite po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family differentiation level maintained both separateness and connectedness, while the low family differentiation level showed both enmeshment and dis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explained better by the two independent dimensions than by the uni-dimen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