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임상적 우울집단과 준 임상 우울집단의 심리 사회적 특성 비교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Clinical and Subclinical Depress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주요 우울장애의 임상적 진단기준을 충족시키는 임상적 우울집단과 CES-D 에서 높은 우울증상을 보고하지만 임상적 진단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준 임상 우울집단을 비교하여 심리 사회적 특성 및 우울증상의 지속성에서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서울 및 서울근교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60세 미만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중상(CES-D), 사회적응정도(SAS), DSM-IV의 진단기준, 생활사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평가하는 척도들로 구성된 설문을 3개월의 간격을 두고 2차례 실시하여, 1차 설문에서는 591명, 그리고 2차 설문에서는 150명의 자료가 회수되었다. CES-D 24점과 DSM-IV의 진단기준을 이용하여 두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임상적 우울집단과 CES-D 24점의 기준만을 충족시키는 준 임상 우울집단, 그리고 비우울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1차 설문에 응답한 총 571명중 8.1%가 임상적 우울집단, 15.4%가 준 임상 우울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준 임상 우울집단은 임상적 우울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주관적으로 보고하는 스트레스 정도, 자기효능감 수준,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에서 임상적 우울집단과 다름없는 기능의 저하를 나타냈으나, 회피적 대처방식이나 기능적 측면에서 평가한 사회적응수준에서는 임상적 우울집단이 준 임상 우울집단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보였으며 3개월 후의 2차 조사에서도 심각한 우울증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가 준 임상 우울집단과 임상적 우울집단의 임상적 중재에 대하여 가지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compared women who scored above 24 on CES-D and met the DSM-IV criteria of Major Depressive Disorder(Clinical Depression Group) and women who scored above 24 on CES-D but did not meet the DSM-IV criteria of Major Depressive Disorder(Subclinical Depression Group) o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591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CES-D, Social Adjustment Scale-self report form, questions concerning DSM-IV MDD criteria, life stress, coping styl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of the 591, 150 women responded to the second wave of questionnaire at the 3 month follow-up. At the initial assessment, 8.1% of the 591 women were categorized as Clinical Depression Group, and another 15.4%, Subclinical Depression Group. The Subclinical Depression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linical Depression Group on the level of self reported life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social adjustment-subjectiv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owever, the two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on the style of coping behaviors and functional aspect of social adjustment with the Clinical Depression Group showing more severe impairment. Furthermore, the Clinical Depression Group were more likely to remain depressed at the 3 month follow-up than the Subclinical Depression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clinical management of women with clinical and subclinical depression.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9-02-04
수정일Revised Date
1999-05-1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1999-05-2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