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모형, 검색결과: 1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전자게시판을 중심으로 그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향후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205개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분석하여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의 개괄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봉사대상 인구수와 도서관 웹 사이트 접속건수, 참고정보서비스 제공건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4개의 대학에 실제 접수된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의 질의유형, 답변의 구성형식, 정확성, 응답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실제적인 지침과 모형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using electronic bulletin board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205 academic library websites, 56 libraries were identified to use electronic bulletin for digital references.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 questions and responses from four libraries were further analyzed: the types of reference question, the structure and accuracy of answers, and digital reference completion tim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lie in its provision of a systematic way to design practical guidelines for virtual reference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학술과 문화 기반의 비이념적 정보교류협력은 비정치적이면서도 장기적 관점에서 민족 동질성과 신뢰회복에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남북한 협력사업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 한국을 대비하여 단계적인 남북한 협력기반 조성을 위해 국가도서관을 매개로 한 남북 문화교류협력에 관한 방안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련하여 북한도서관의 기능과 한계 및 현재적 관점에서의 사회적 활용성을 살펴보고, 그간의 도서관교류협력사업을 남북한 문화분야 협력사업이라는 틀안에서 검토하였다. 이에 협력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 다섯 가지 협력안을 기반으로 남북 도서관교류협력의 단계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Non-ideological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scholarly and cultural field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project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gaining the national homogeneity and trust in the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sures on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through national libraries for the unified Korea. Related with that issue, this study analyzed function and limitation of national library in north Korea and evaluated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rame of cultural cooperation project. So, this study suggested the stepwise model of the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based on the five practical measures including the cooperation governance system.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자원의 영구보존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자원의 고유의 속성과 변화를 설명해주는 지적 정보 즉 보존 메타데이터가 구조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표기되어야 한다. 보존 메타데이터는 외부적/내부적 변화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원하는 진본 데이터에 접근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자원을 관리하고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202년 OAIS 참조모형(ISO 14721 )이 보존 메타데이터 표준을 권고한 이후 외국의 여러 국가 디지털도서관에서는 각 나라의 실정에 맞게 보존 메타데이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OAIS가 권고한 정보모델과 디지털자원의 장기적 보존을 위해서 외국 도서관에서 개발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세트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어떻게 보존 메타데이터를 구축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들이 대학도서관에 적합한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디지털자원의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세트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reservation metadata which is defined the property and his tory of changes must be describes logically and structurally for implementing long-term digital preservation. The thentic digital resources and the managers of digital archives to manage and preserve more ef fectively the digital resources. his paper is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relating to digital preservation metadata including f OAIS and outlines some library-based projects. Next, the paper investigates how to dev elop and use the preservation metadata in university libraries and what is the core preservat ion metadata elements. Finally, 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with broad aplicability to digital preserv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협력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자원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프로젝트의 선행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본 연구는 협력적인 문제해결과정에서 발생되는 도움제공자와 도움수여자 간에 유의한 행위적인지적 패턴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문제해결 상황에 대한 평가와 행위적인지적 패턴 간에 유의한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상황을 인지이동이 발생한 특정 시공간의 집합으로 보는 Dervin의 의미형성이론에 근거하였으며, IT관련 문제해결을 위해 정보전문가의 도움을 받았던 36명의 이용자와 이용자에게 도움을 제공한 경험이 있는 22명의 정보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 행위 모형을 제시하였고 정보시스템의 상호작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스템 설계시 고려할 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 preliminary work in examining how to manage resources for collaboratively interactive help syste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significant patterns of behaviors and cognitive state i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ituation, and further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 and the perception of service evalu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gnitive motion" in Dervin's Sense-Making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 time-line interview.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22 IT personnel helping other person solve IT problems and 36 users being helped for a IT problem-solving. This study presents a model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behaviors and discusses some implications for designing help systems which collaborative interactions can happen.

115
윤지혜(한남대학교 교육학과) ; 정유경(한남대학교) 2022, Vol.39, No.4, pp.1-21 https://doi.org/10.3743/KOSIM.2022.39.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분야의 연구주제들을 파악하여 정보활용교육에 제안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정보활용교육과 관련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논문 97편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활용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정보원 이용 및 판단’ 등의 주요 주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Big 6 정보모형, 교육방법과 관련해서는 미국 사서교사협회의 정보활용 능력기준과 미국 대학 및 연구도서관협회의 정보활용교육 개발지침을 고려하여 정보활용교육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전반의 연구주제와 연관된 교육 요소들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원 이용 및 판단’, ‘정보윤리’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보다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opics and suggest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analyzing research articles on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o 97 scientific articles and identified the core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uch as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the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ed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Big 6 model,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of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y, and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s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e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information ethics’ to sugges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116
유현경(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육혜인(전북대학교) ;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5, Vol.32, No.1, pp.109-134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109
초록보기
초록

한류3.0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미디어 중심의 한류문화에서 벗어나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음식문화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콘텐츠들과도 망라적으로 연결시켜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음식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분류하였으며,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음식문화 LOD 구축 프로세스 및 서비스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LOD기반의 한류문화서비스 확장에 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In the Korean wave 3.0 age, it is needed to prepare how to globalize and hold Korean culture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from existing contents focused on medi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s linking information about other culture contents as well as food culture by extending Korean culture contents service based on L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and assorted the concept of food cultur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nd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services of food culture contents based on LOD. Futhermore,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on extension of Korean wave culture service and suggests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food culture LOD and service model.

117
최윤선(University of Illinois) ; 알렌리니어(University of Illinois) 2006, Vol.23, No.4, pp.5-15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005
초록보기
초록

서지관계모형을 위한 개념적 모델인 IFLA의 FRBR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이 발표되어 왔지만, FRBR 모델의 내부적인 일관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FRBR 객체-관계 (entity-relationship) 모델에서 객체들 (entities)간의 관계 (relationships) 에서 발생하는 상속 (inheritance) 속성과 관련된 모델의 내부적 모순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FRBR 모델의 표현성 (expressiveness)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대안적인 방안을 논의한다.

Abstrac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FRBR) is a “conceptual model of the bibliographic universe” developed b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Although some studies have suggested improvements in FRBR, and others explore alternative approaches,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analyzing the internal coherence and consistency of the FRBR view as presented not only in the FRBR entity-relationship model and text of the FRBR document, but also in the related explanations and presentations of FRBR expositors. Our investigations have noted some interesting discrepancies between the general FRBR approach as presented in various expository documents and the specific account presented in the FRBR ER model and the FRBR document. We see that in one case these discrepancies can be easily remedied by adding additional modeling constructs and assertions, but in another case (the supposed “inheritance” of attributes across the Group 1 entities), there is a substantial difficulty in maintaining a consistent model. We discuss several alternative approaches to enhancing the expressiveness of FRBR in order remedy this problem. We note that none is entirely satisfactory.

118
이소연(한국여성개발원) ; 김자경(한국영상자료원) 2004, Vol.21, No.3, pp.227-250 https://doi.org/10.3743/KOSIM.2004.21.3.227
초록보기
초록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으로 그 효용을 검증받아온 기록관리원칙과 디지털정보가 공유하는 속성을 모두 감안하여야 한다. 디지털 환경에 맞추어 전통적인 기록관리원칙을 재확인한 기록관리 국제표준 ISO 15489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가장 유용한 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ISO 15489의 기능영역별 원칙을 추출하고, 이를 대표적인 전자기록관리시스템 설계표준(미 국방성표준, 영국 국립기록보존소 표준, 유럽연합의 요건모형)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공통적인 시스템요건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 핵심요건을 우리나라의 자료관시스템규격의 해당항목과 비교분석하였다. 현재 각급 행정기관 내에 설치 중인 자료관의 업무전산화 시스템으로 개발된 이 표준을 본격적인 전자기록관리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design effectiv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it is viable to consider both traditional principles of records management, proven to be effectiv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information. ISO 15489,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records management, is acknowledged as the most useful guidelines for this goal. The present study extracted basic principle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from its provisions of 7 functional steps. It then compared the principles to system requirements of three system design criterion, developed by Department of Defense(U.S.A.), Public Records Office(Britain), and European Union respectively. Common requirements, included in all three criterion, were then searched in the Korean standard of developing automated systems for records centers.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to develop a Korean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elaborating from the core requirements of the system found by the present study.

초록보기
초록

지식경영을 도입함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지식 공유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들의 동기유발 방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식 기여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적절한 보상체계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을 도입한 국내 기업체 및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 기여에 따른 평가와 보상과 관련한 문헌분석 및 실제 사례분석을 토대로 지식 기여에 대한 바람직한 평가 및 보상 모형, 즉 가설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설정된 가설을 토대로 한국원자력연구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 기여에 대한 평가 및 보상에 대한 구성원들의 반응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식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는 전문 연구기관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When we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ur organization, first of all, we need to change the way of motivating the members so as to voluntarily activate knowledge sharing activity. For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fair evaluation and adequate reward system about knowledge contribution. In this study, I hypothesized a desirable evaluation and reward model for knowledge contribution on the basis of analysis of documents and cases concerning them in domestic enterprises and R&D institutes that adopted knowledge management. Also, I took a survey to analyze the response of the members of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bout the evaluation and reward for knowledge contribution. I expect tha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very usefully in R&D institutes that want to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OPAC에서 계층 클러스터링을 응용하여 소장자료를 계층구조로 분류하여 열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최적의 계층 클러스터링 모형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정보학 분야 단행본과 학위논문으로 실험집단을 구축하여 다양한 색인기법(서명단어 자동색인과 통제어 통합색인)과 용어가중치 기법(절대빈도와 이진빈도), 유사도 계수(다이스, 자카드, 피어슨, 코싸인, 제곱 유클리드), 클러스터링 기법(집단간 평균연결, 집단내 평균연결, 완전연결)을 변수로 실험하였다. 연구결과 집단간 평균연결법과 제곱 유클리드 유사도를 제외하고 나머지 유사도 계수와 클러스터링 기법은 비교적 우수한 클러스터를 생성하였으나, 통제어 통합색인을 이진빈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완전연결법과 집단간 평균연결법으로 클러스터링 하였을 때 가장 좋은 클러스터가 생성되었다. 그러나 자카드 유사도 계수를 사용한 집단간 평균연결법이 십진구조와 더 유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a hiararchic clustering model for document classification and browsing in OPAC systems. Two automatic indexing techniques (with and without controlled terms), two term weighting methods (based on term frequency and binary weight), five similarity coefficients (Dice, Jaccard, Pearson, Cosine, and Squared Euclidean), and three hierarchic clustering algorithms (Between Average Linkage, Within Average Linkage, and Complete Linkage method) were tested on the document collection of 175 books and these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best document clusters resulted from the Between Average Linkage or Complete Linkage method with Jaccard or Dice coefficient on the automatic indexing with controlled terms in binary vector. The clusters from Between Average Linkage with Jaccard has more likely decimal classification structur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