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3.0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미디어 중심의 한류문화에서 벗어나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음식문화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콘텐츠들과도 망라적으로 연결시켜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음식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분류하였으며,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음식문화 LOD 구축 프로세스 및 서비스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LOD기반의 한류문화서비스 확장에 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e Korean wave 3.0 age, it is needed to prepare how to globalize and hold Korean culture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from existing contents focused on medi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s linking information about other culture contents as well as food culture by extending Korean culture contents service based on L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and assorted the concept of food cultur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nd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services of food culture contents based on LOD. Futhermore,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on extension of Korean wave culture service and suggests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food culture LOD and service model.
고정민. (2012). 한류문화와 관광. 한국관광정책, 49, 33-40.
권순자. (2004). 세계 속의 음식문화:敎文社.
구성자. (2005). 새롭게 쓴 세계의 음식문화:교문사.
(2014). 국가서지 LOD(Linked Open Data for NLK). http://lod.nl.go.kr/.
(2014). 경북e-맛. http://www.gbfood.go.kr/.
김의근. (2009). 세계음식문화:백산출판사.
노영희. (2012). dCollection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247-271.
(2014).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http://koreanfood.rda.go.kr/.
(2014). 미국 의회도서관 LCSH. http://id.loc.gov/.
박옥남. (2012). 기록물 전거통제 기반 Linked Data 구축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5-25.
(2014). 서울시 열린 데이터 광장 LOD. http://lod.seoul.go.kr/.
(2014). 성경 Ontology. http://bibleontology.com/.
오원석. (2009). Linked Data 동향과 전망. 탑쿼드란트코리아.
윤소영. (2013).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1), 259-28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1.259.
윤소영. (2013).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3), 297-315.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3.297.
(2014). 안동음식문화. http://andong-food.co.kr/.
이만재. (2011). 빅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 활용. information security, 2(2), 47-64.
이상윤. (2012).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정보화 전략연구 - 시나리오플래닝을 적용하여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6), 1259-1273.
(2014). 전북음식문화플라자. http://www.jbfood.go.kr/.
(2014). 전주음식. http://food.jeonju.go.kr/.
정연경. (2010). 음식문화 분야 인터넷자원 분류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십진분류법의 항목명 확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49-69.
정연경. (2010). 음식문화 분야의 DDC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43-57.
(2014). 제주도 LOD. http://lod.jeju.go.kr/.
조명대. (2010). 도서관에서의 Linked Da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181-198.
(2014). 주소데이터 LOD. http://jusodata.kr/.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한국 관광 정책 2012 가을 No.49. 한국문화관광부.
(2014). 한국사 콘텐츠.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main.do/.
(2014). 한국사 LOD. http://lod.koreanhistory.or.kr/lodIntro.do/.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 v1.0:동위원회.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4 링크드 오픈 데이터 국내 구축 사례집:동위원회.
(2014). 한식세계화공식포털. https://www.hansik.org/intro.html.
(2014). 한식 아카이브. http://archive.hansik.org/.
(2014). 한의 진료 지원 시스템. http://cis.kiom.re.kr/diagnosis/.
Bartlett, O.. (2013). Linked data: Connecting together the BBC’s online content. http://www.bbc.co.uk/blogs/internet/posts/Linked-Data-Connecting-together-the-BBCs-Online-Content/.
(2014). BBC. http://www.bbc.co.uk/.
Berners-Lee, T.. (2006). Linked Data: Design Issues. http://www.w3.org/DesignIssues/LinkedData.html/.
(2014). CKAN - Data Hub. http://datahub.io/.
(2014). KData. http://www.kdata.kr/.
(2014). LOD 생물정보통합시스템. http://lod.nature.go.kr/.
(2014). LOD Data Hub. http://lod.datahub.kr/.
(2014). NDSL LOD. http://lod.ndsl.go.kr/.
(2014). RISS 링크드 데이터. http://data.riss.kr/LODintro.do/.
(2014). RDF Primer. http://www.w3.org/TR/rdf-primer/.
(2014). UK Open Government. http://data.gov.uk/.
(2014). W3C. http://www.w3.org/standards/semanticweb/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