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정보이용자, 검색결과: 263
초록보기
초록

대학에서 연구가 중요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지원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미 및 국내 60개 대학의 디지털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공하는 현황을 조사하여 13개의 주요 내용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도서관이 연구지원 가이드 내용을 구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5개의 주요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지원 가이드가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방식과 가이드를 통해 사서와 이용자가 소통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작, 제공하는 주체는 사서이며 대학도서관의 사서 역할은 향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서 이용자를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역할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Research has taken priority of many activities in universities and it has eventually brought the heat on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libraries to meet high expectation of university researchers. To identify the major content areas and service methods of research guides serviced through digital libraries of univers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guides of 60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and Korea. As a result, 13 categories for research guide contents were identified and 5 crucial areas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were suggested. It also analyzed providing methods of online research guides and communicating method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Librarians were identified as the prime human resource to develope and manage research guides,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diversity of librarians' roles in the future.

142
이다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용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9, Vol.36, No.4, pp.161-18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161
초록보기
초록

사람들은 청소년기에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며, 청소년들은 성에 관한 민감한 건강정보 탐색을 위해 접근이 편하고 익명성이 보장된 지식검색 커뮤니티를 자주 이용한다. 본 연구는 지식검색 커뮤니티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성 정체성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바탕으로 그들의 정보탐색 행태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들의 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이 공유한 질문에 제공된 답변들 가운데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의 특성을 비교하여 청소년들이 어떠한 답변을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지식검색 커뮤니티인 네이버 지식iN에서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3년간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으로 구성된 총 358세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 정체성에 관한 고민을 가진 청소년들은 성 정체성에 대한 정의나 혼란에 관한 정보 요구가 많았다. 이용자들이 채택한 답변에는 공감 및 긍정적인 느낌을 주는 요인들이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 비해 많았으며, 반면에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는 부정적인 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이 가진 정보 요구와 정보탐색 행태를 분석하여 정보탐색 분야의 논의를 확장하고 건강정보 이용자의 정보 평가에 이용되는 인지적 및 감정적 모델을 검증했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제공해야 할 성 정체성에 관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안한다.

Abstract

People begin to recognize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identity in adolescence, and adolescents frequently use an accessible and anonymous anonymity knowledge retrieval community to explore sensitive health information about gender.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thei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based on questions and answers about adolescents’ gender identity in the knowledge retrieval community. First, we wanted to examin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o investigate what factors they preferred to answer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swers adopted with the non-adopted answers among the answers provided in the questions they shared. To this end, Naver, Korea’s representative knowledge search community. In Knowledge-iN, a total of 358 sets of data were analyzed, consisting of responses adopted over three year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As a result, adolescents with concerns about gender identity demanded information about definition or confusion about gender identity. In the responses adopted by the users, the factors that gave empathy and positive feelings were higher than those that were not adopted, whereas the negative responses were higher in the unaccepted ans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no established gender identity, expands the discussion in the information search field, and confirms cognitive and emotional models for information evaluation of health information users. Also,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on gender identity that social media should provide to young people.

143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 최선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0, Vol.27, No.4, pp.89-10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089
초록보기
초록

오픈액세스 학술지는 무료로 원문에 접근할 수 있다는 특성을 부각시키면서 학술 연구자들이 학술정보를 찾는 주요 정보서비스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정보환경이 변화하면서 오픈액세스 학술지 서비스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서비스의 개선과 확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환경적 변화를 반영하여 차세대 오픈액세스 학술지 서비스에 대한 방안을 기존 학술정보서비스의 서비스 요소를 분석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학술정보서비스에서는 이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서비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개방성 역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액세스 차세대 모형을 위해 제시된 요소는 총 4개 영역으로 학술논문 구성 요소별 제공 및 멀티미디어 제공, 부가 정보 검색, 개방형 학술정보 공유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등이다.

Abstract

Open access journal has been one of the major academic information sources for researchers characterizing itself as free resource. Recently, as competition among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provides becomes intense, open access journal also needs to enhance its service and expand information service functi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service features for next generation service of open access journals by analyzing service features of leading journal database services. As a result, four service features are suggested such as journal article components and multimedia features, expanded searching features, social service features and mobile information service.

144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2004, Vol.21, No.2, pp.211-233 https://doi.org/10.3743/KOSIM.2004.21.2.211
초록보기
초록

웹은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전통적인 정보검색 시스템과는 차별되는 새로운 정보환경이므로 웹상에서 발생하는 이용자와 정보검색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새로운 관점에서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연구를 뒷받침해줄 웹 기반 정보탐색 패러다임이 정착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웹 정보탐색행위를 연구한 문헌에서 제시된 이론적 모형들을 검토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Wang, Hawk, Tenopir, Hsieh-Yee, Choo, Detlor, Turnbul, Chun과 Cooper, Rieh, Spink의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들이 논의되었다. 분석 결과, 웹 정보탐색 모형은 크게 상호작용 모형, 정보탐색행위 모형, 평가 모형으로 구분되며, 전통적인 정보탐색과정 모형에 비해 복합요인들의 상호작용과 정보탐색행위의 비선형적 관점이 강조되었다는 특징을 갖는다.

Abstract

The web is a new information environment, which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a traditional IR environment. Needed are more research from a new point of view as well as the adoption of a new research paradigm in order to understand a user-system interaction on the we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models of web-bas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hich Wang, Hawk & Tenopir, Hsieh-Yee, Choo, Detlor & Turnbull, Chun & Cooper, Rieh, and Spink proposed. The comparative analysis indicates that web-based information seeking models a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 interaction mode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odel, and evaluation model, and that they are based on a multifaceted interaction and a nonlinear perspective.

145
김태승(경기대학교) ; 이동규(대림대학) 2005, Vol.22, No.4, pp.79-95 https://doi.org/10.3743/KOSIM.2005.22.4.0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년제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이용특성을 조사 연구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이용자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질문지법과 면접조사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의 처리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WIN 10.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용행태, 검색결과 만족도, 웹 온라인목록의 선호도, 검색어 선정, 문헌정보학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의 탐색성과 차이, 웹 온라인목록의 이용자교육의 필요성 등에 관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웹 온라인목록 이용 중에 발생하는 문제점과 어려움을 느끼는 기능들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웹 온라인목록 이용의 효율성을 돕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user's behavior, satisfaction, difficulties and selection of retrieval keywords for the use of Web-based OPAC in the College students. The method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was applied to get the data and processed by using SPSSWIN 10.1. Several research results was proved the hypothesis such as differences between major subject of students in their fields.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nother purpose is to come up with the improvements of functions prompting difficulties and answers to problems found in the Web OPAC, helping them to use the Web OPAC efficiently.

초록보기
초록

야후 앤서(Yahoo! Answers)와 네이버 지식인과 같은 지식 검색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지만 일반인 답변자들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 노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야후 앤서에서 활동하는 44명의 일반인 답변자들과의 이메일, 채팅, 전화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이용하는 정보원,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한 전략, 그리고 자칭 전문성(self-claimed expertise)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인을 효과적인 정보제공자로 교육시키는 이용자 교육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popularity of question answering communities such as Yahoo! Answers and Naver Knowledge-iN and increasing doubts about the competence of lay information providers prompted this study to explore answerers' strategies to provide a credible answer in a question answering community. Forty-four active answerers in Yahoo! Answ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email, chat, and over the telephone. This study identified a set of information sources the answerers used, an array of important strategies to provide a credible answer, and their perception of self-claimed expertise. Implications of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user instruction.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시대가 되면서 정보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도서관 소장 자료 중 전자형태의 자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최신 정보자료의 신속한 입수 및 활용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 되는 시기가 되었다. 디지털 도서관에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최신 정보자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최종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SDI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의 등장으로 중요성이 부각된 SDI 서비스의 국내 대학에서의 활용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고, 개선방안 및 정보서비스 제공범위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s commercialization of the Internet has brought flood of information and the proportion of electronic source in the library collec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it is highly important for the library to quickly obtain and utilize the latest information. SDI service is expected to fulfill the needs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swiftly and accurately to the digital library users.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current standing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DI service in the universities of South Korea based on surveys and make a proposal on the advancement and extension of the SDI service.

148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 하유진(Clarion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2019, Vol.36, No.1, pp.53-7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053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에서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실무현장과 학술연구분야를 반영하여 교과과정을 개편하자는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편에 필요한 해외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세 가지 측면에서 미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교과목 분석에 적용된 기준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문헌정보관리 직무단위, 한국연구재단의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와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에 나타난 문헌정보학 주제 분류이다.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 결과 공통되게 나타난 현상은 시스템 구축설계 및 정보기술분야의 교과목 수가 많은 것이며 도서관 및 정보센터 경영과 이용자서비스도 교과목이 많은 주제 분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Since new issues and topics are emerging in the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fields, diverse needs are identified to enhance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US and identified the topics of classes in the curriculum by the three aspects such as competency areas, scientific and technology category, and research fields. Consequently, topics related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system design and implement are the most popular topics in all analyse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and user service are also major topics of the curriculum.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통합 목록/메타데이터 시스템으로 전 세계에 광범위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OCLC의 Connexion 시스템에 관한 유저빌러티를 실험한 연구이다. 유저빌러티 실험은 상업적인 성공을 달성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의 하나로써 시작되었으며 문헌정보학에는 특정한 정보 검색 시스템이 자신의 이용자들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개선시키고자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되어 사용되어 왔다. Connexion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MARC 기준을 바탕으로 인코딩 되어 메타데이터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대표적인 통합 목록/메타데이터 서비스로 알려져 있다. 실험 전반을 통해서 이용자의 실험과정이 녹화 분석 되었으며, 6개 영역 17 가지 사항의 유저빌러티 문제점들이 파악되었다. 또한 마지막으로 17 가지 사항들에 대한 각각의 개선책들이 조심스럽게 제안되었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usability and the searching experience, and to uncover where an integrated cataloging and metadata system lay the usability problems of its primary users, catalogers.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usability in Connexion lay in the experience of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lso, it showed there are seventeen usability problems to be improved in Connexion. Needless to say, it is most important to note that usability is not an exclusive goal of such an integrated cataloging and metadata system. Other goals such as quality of catalogs, and the reliability of its cataloging and metadata system are equally its concern. This study also suggested more testing on diverse cataloging systems and specific user groups, especially catalogers.

150
이지연(연세대학교) ; 민지연(연세대학교) ; 주수형(연세대학교) 2007, Vol.24, No.3, pp.299-319 https://doi.org/10.3743/KOSIM.2007.24.3.299
초록보기
초록

최근 국가지식정보가 전문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우수한 콘텐츠로 인식되면서, 질 높은 콘텐츠를 확보하려는 검색포털과 국가기관 및 종합정보센터 간의 연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계는 이용자의 접근성과 지식정보 이용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지식정보 유통의 초기 단계에 놓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 제공기관, 검색포털, 국가지식포털을 중심으로 해외 및 국내의 국가지식정보 유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학계, 도서관전문정보센터, 민간 업계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국가지식정보 유통을 위한 각 정보제공 서비스 간의 연계 방안에 대하여 검토, 제시하였다.

Abstract

Recently, information portals, national institutions, and integrated information centers, which are eager to acquire quality contents, actively share contents. Korean national knowledge is recognized to be superior in terms of its specialty and reliability. Currently,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knowledge in Korea is at the beginning stage as the content sharing was intended to enhance the users' accessibility to the information and ease of information us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national knowledge distribution status in Korea and abroad by analyzing the roles of the information providers, information search portals, and Korea Knowledge Portal. We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experts, who represent academic institutions, libraries, specialized information centers, and commercial ventures. To enable effective Korean national knowledge distribution, we generated suggestions for the respectiv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to share and cooperate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interview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