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서비스, 검색결과: 404
초록보기
초록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용성을 고려하지 않고 끊임없이 생겨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이용자들은 여전히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용성 평가는 다양한 요인과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초기의 물리적 편의에서 이용자 중심의 이용에의 만족도 평가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그 중 불특정다수가 제약 없이 널리 이용 가능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 측면에서의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어플리케이션의 기술적 측면 또는 디자인적 측면에 치중되어 전반적인 이용자 중심의 이용성 평가에 한계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들을 통해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과제 수행, 심층 면담,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이 다량의 정보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본인의 이용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에는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였고, 오히려 방해 요인으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s technology progresses, the supply and use of smartphones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nd has significantly transformed modern life. However, users still feel uncomfortable running some mobile apps, as many are created without a thoughtful consideration of usability. Usability evaluations involve several methodologies to identify specific problems in light of various principles. Although usability testing was initially centered on physical services, it has gradually evolved to consider user satisfaction as its main concern. Public transportation applications should be accessible to everyone, and studies should focus on the user’s perspective. However, previous user surveys have concentrated on applications’ technical aspects or visual design.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lack of general usability evaluation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mobile transportation applications in real life, with a focus on public transportation in Seoul. All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task, an in-depth inter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In summary, the results suggest that users do not find inappropriate information attractive when it does not satisfy their purpose of use, but rather tend to consider it as interference.

초록보기
초록

국가적 차원의 연구 성과평가와 연구정보서비스의 연계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메타데이터 표현과 교환의 두 가지 측면에서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국가적 차원의 연구 성과평가 메타데이터의 기능적 요건을 도출하였고, 이에 기초하여 주요 기능별로 국제적인 표준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웹 아키텍처 상에서 연구정보를 재사용 및 교환할 수 있는 국제표준으로서 OAI-ORE에 기반하여 성과평가 메타데이터를 표현 및 연계하기 위한 구현 방안과 사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framework for linkage of national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metadata representation and exchange. Based on results of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metadata of national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are derived, this study suggests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metadata standards. Also, this study presents an method to implement the metadata of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OAI-ORE,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that can reuse and exchange the research information on web architecture.

153
신혜원((전)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신동희(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2023, Vol.40, No.3, pp.245-271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2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자책 이용률이 높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20대를 대상으로 전자책 구독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와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ing)를 병행한 혼합연구 방법을 통해 전자책 이용률이 높은 20대 대학생의 전자책 구독 서비스이용 실태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대학생 202명의 의견을 수집하였고, 전자책 비이용자와 이용자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 비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전자책에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휴대성 및 편의성은 두 연구 참여자 그룹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전자책의 장점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성 평가에서 사용된 ‘밀리의 서재’ 애플리케이션은 가장 대중적인 전자책 플랫폼으로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여 전자책 이용 경험이 없는 20대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평가가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전자책의 편의성, 디자인, 다양한 부가 기능, 가성비 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흥미 부족, 기능 실용성, 터치 오류 및 오작동, 장서 부족, 시스템 문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erception of e-book subscription services among the digitally native generation in their twenties, who have a high e-book usage rate. This study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survey responses and usability testing. It aimed to assess the awareness and usage of e-book subscription servic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a demographic known for their high uti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e-book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2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sponses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based on whether they were users or non-us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I found there is different awareness of e-book between users and non-users, on the other hand, convenience and portability are the strong point of e-books for users and non-users commonly also. Usability testing was performed on a group of 10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had not previously used the ‘Millies Library’ application, which is renowned as the most widely-used e-book platform. Following the experiment, participants expressed positive feedback regarding various optional features, convenience, design, and cost-effectiveness. However, they also had negative reactions concerning touch errors, malfunctions, functional practicality, a lack of interest, system issues, and the absence of a library.

154
이소현(부산대학교 도서관) ; 구본진(부산대학교) 2022, Vol.39, No.2, pp.275-298 https://doi.org/10.3743/KOSIM.2022.39.2.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잊힐 권리와 관련한 뉴스 기사와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해 각 문서 내에 나타난 논점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잊힐 권리’와 ‘잊혀질 권리’ 키워드를 검색어로 하여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키워드 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한 결과, 지난 10년간 뉴스 기사와 학술지 논문에서 다루어진 쟁점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접근 방법 또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뉴스 기사와 학술지 논문 간 비교를 통해 이들 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쟁점과 부분적인 쟁점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쟁점을 중심으로 기록관리학 분야에서도 적극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공통적인 쟁점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쟁점 상 이견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다각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계에서 잊힐 권리와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서 기록관리학 분야에서 잊힐 권리의 의미와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도출해볼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기록관리학 분야에서 잊힐 권리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and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news an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the ‘right to be forgotten’ using text mining analysi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2010 to 2020 with the keyword ‘right to be forgotten’. Key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in the last 10 years the issues about ‘right to be forgotten’ are not much different in news and journal articles and the approaches also are similar. However, it confirmed common issues and the partial difference between news and journal articles through comparison. Therefore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discuss deriv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common issues are considered first but if there are differences in issues, it is needed to discuss them in various way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o draw issues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e variously discussed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조사하여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조사된 100개 대학 중 14개 대학만이 온라인 주제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구축은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주제가이드들은 내용 구성면에서 볼 때 접근성, 포맷의 일관성, 자원통합성 영역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주제 다양화, 이용자 교육, 검색 영역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온라인 주제가이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신속한 정보자원으로의 접근, 주제 특화된 이용자 교육, 사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원스탑(one-stop) 서비스가 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online subject guide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and suggests improvement. Through the examination of 100 academic libraries' Web sites, only 14 online subject guides were identified, showing that the development of online subjects guides in Korea is still in infancy. The examined online subject guides were evaluated as high quality in terms of accessibility, integr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format consistency, but low quality in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subjects, user instruc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An online subject guide should be a one-stop service that provides fast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along with subject-specialized user instruc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librarians.

156
유현경(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육혜인(전북대학교) ;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5, Vol.32, No.1, pp.109-134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109
초록보기
초록

한류3.0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미디어 중심의 한류문화에서 벗어나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음식문화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콘텐츠들과도 망라적으로 연결시켜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음식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분류하였으며,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음식문화 LOD 구축 프로세스 및 서비스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LOD기반의 한류문화서비스 확장에 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In the Korean wave 3.0 age, it is needed to prepare how to globalize and hold Korean culture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from existing contents focused on medi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s linking information about other culture contents as well as food culture by extending Korean culture contents service based on L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and assorted the concept of food cultur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nd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services of food culture contents based on LOD. Futhermore,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on extension of Korean wave culture service and suggests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food culture LOD and service model.

157
권현정(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1, Vol.38, No.3, pp.101-140 https://doi.org/10.3743/KOSIM.2021.38.3.101
초록보기
초록

인공지능 기술이 결제 서비스 분야에도 적극 도입됨에 따라 말로 하는 결제 서비스 ‘음성결제(Voice Payments)’가 언택트 결제 서비스의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음성결제 서비스는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소통 수단인 ‘목소리’를 통해 결제를 더 빠르고 직관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에이전트와의 신뢰 형성을 위한 요인으로 ‘구체성’, ‘친밀감’, ‘자율성’을 선정하였으며, 각 특성들이 음성결제 상황의 음성 인터페이스에 적용되었을 때 이용자의 신뢰가 형성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음성결제 인터페이스의 구체성과 자율성은 높을수록, 친밀감은 낮을수록 신뢰가 높아졌다. 또한 구체성과 자율성의 이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수집된 주관식 답변들을 분석 및 종합하여 이용자들이 음성결제 서비스를 접할 때 느끼는 불안 요인들을 파악하고, 음성결제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음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s the payment service sector actively embrac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Voice Payments” is becoming a trend in contactless payment services. Voice payment services can execute payments faster and more intuitively through “voice,” the most natural means of communication for humans. In this study, we selected richness, intimacy, and autonomy as factors for building trus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s. We wa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ust will be formed if the factors were applied to the voice payment service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richness and autonomy of the voice payment interface and the lower the intimacy, the higher the trust. In addition,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s of richness and autonomy were significant. We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collected short-answer system to identify users’ anxiety when using voice payment services and proposed speech interface design ideas to increase their trust in the voice payment.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과 정보센터를 둘러싼 환경적인 변화와 함께, 다양한 관리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도서관 업무와 서비스에 적용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하에서 새로운 경영 및 품질개선 기법으로서 6시그마를 도서관에 적용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는 6시그마 기법을 도서관에서 해외 학술정보를 입수하는 과정에 실제 적용하여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조업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었던 6시그마 기법의 하나인 DMAIC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6시그마 기법을 본 연구에서 목표하는 분야에 있어서 높은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Abstract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 they need to develop various management techniques and apply them to library works and services. In this research,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 special library of IT company. This study was aimed for reducing ineffective components and unnecessary processes in library works and services. This study applied the Six sigma technique to improve the process of purchasing overseas academic and strategic information and users' a degree of satisfaction on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the five-step DMAIC(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method, mainly us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get epoch-making improvement.

초록보기
초록

DLS(Digital Library System)는 학교도서관 관리자(사서교사)와 최종 이용자(일반교사 및 학생)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이다. DLS는 현재 15개 시도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도교육청 관내의 초중등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2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이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학교도서관 관리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DLS(Digital Library System) have ben established by Ministry o Resources Development for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s to each school library managers(teacher librarian) and front end users such as student s and teachers. DLS's are separately operated by 15 major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o cover all elementary, midle and high schols in Korea. There is a necess current status of DLS because it's system after starting a service 2 years passed. This study suggested to improvements strategies of DLS by survey from teac her librarian, subject teacher, students of 308 schools.

160
노영희(건국대학교) ; 신영지(건국대학교) ; 곽우정(건국대학교) 2019, Vol.36, No.2,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이용경험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의 주제 선정 시, 해당 도서관의 지역적 특징과 역사, 인구분포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지역 주민 및 도서관 이용자의 수요조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프로그램의 기획 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프로그램 진행자를 기반으로 하여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또한 충분한 주제 관련 장서와 공간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장서와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은 공간은 이용자에게 특화장서와 서비스, 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자관이 제공하는 특화주제를 서비스하기 적합한 구조여야 한다. 또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pecialized services, user experie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specialized library users, and based on the ISA method, compare the specialized theme data, specialized service place, specialized program, specialized theme area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derive issues of the specialized library oper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Consequently, first, when selecting the theme of the specialized library, the theme ought to be selected to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istory and demographics of the library, and the demand survey of the local residents and library users would need to be considered. Second, when planning the specialized program, the specialized library ought to consider operating differentiated programs based on the program operator who has the expertis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Furthermore, sufficient theme related books and space must be secured, and moreover, the program must be planned in connection with the book collection. Third, the specialized library should be so structured as to ensure that the space may serve specialized themes provided by the library in order to provide specialized collections, ser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users. In addition, reflecting the needs of the users in designing the space must be consider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