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이용 분석., 검색결과: 3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우울, 상태불안 수준의 차이와, 그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 상태불안 수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포함해 총 9요인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수준, 상태불안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배포해 최종적으로 98부의 설문데이터를 회수했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매개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모든 요인에서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서 상태불안이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 그들의 상태불안 수준이 필히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job stresses,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levels relating to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cords managers and studying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levels significantly occurs on the depression followed by their job stresses. So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of 9 factors including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o record managers, asking them job stresses,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levels, and collected 98 questionnaires finally. We analyzed the effect of mediation on the surveyed data using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full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level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that, therefore, state anxiety levels of the record managers must be managed to lower their depression levels.

162
최희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황혜경(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사용)) ; 백종명(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2, Vol.29, No.1, pp.279-30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2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오픈액세스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오픈액세스 활동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오픈액세스코리아 서비스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별 품질을 나타내는 이용자의 만족도 지표는 해당 서비스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품질지수, 만족지수, 성과지수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사회적 품질, 사회적 만족 등의 항목은 상대적으로 높게 산출되어 국내 연구자들의 오픈액세스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기여도 및 공익성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평가와 기대를 확인하였다. 반면, 서비스 과정품질 항목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으며 국내 오픈액세스 콘텐츠의 부족에 대한 의견이 다수 도출되어 국가 차원의 전략수립 시 콘텐츠 개발 및 확보 전략에 대한 고려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픈액세스에 대한 정책적 지원, 오픈액세스 저널 출판 및 리포지터리 운영, 거버넌스체제 구축 및 오픈액세스 홍보활동을 통한 연구자들의 참여 유도, 글로벌 공조체제 구축 등이 전략과제로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affect user satisfaction of Open Access Korea(OAK) services and to draw strategic assignments for activating open access activities in Korea through a user satisfaction survey. User satisfaction indexes were developed to measure all aspects of the OAK services. The quality index, satisfaction index, and performance index were identified in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survey findings, the levels of social quality and social satisfaction are relatively high, this shows the positive evaluation and expectation of researchers for OAK services. However, relatively low level is identified in the area of service process quality, and many opinions about OA contents shortage in Korea represent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level contents development strategy. Sustainable policy support, publishing of open access journals, management of institutional repository, OA governance system, expansion of researchers' participation, construction of global collaboration system are suggested as major implications to promote open access activities in Korea.

163
서하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 송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9, Vol.36, No.4, pp.207-226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207
초록보기
초록

우울증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으며,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우울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사람들이 본인의 스트레스나 감정 상태에 대해 소셜미디어에 공유한 글을 통해 그들의 심리나 정신건강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하는 맥락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연구 역시 유의미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 경향의 이용자와 그렇지 않은 이용자들의 2016년부터 2019년 2월까지의 트위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어떤 주제적, 어휘 사용의 특성을 보이는지 보고자 하였으며, 우울 경향의 시기별로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우울 경향 관측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이전(before) 시기와 이후(after) 시기를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픽모델링, 동시출현 단어분석, 감성분석 방법을 통해 우울 경향과 비(非)우울 경향 이용자의 텍스트의 주제적 차이를 살펴보았고, 감성 반응에 따라 사용한 어휘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우울’ 표현을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 수집방법을 통해 비교적 긴 기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었고, 또한 우울 경향의 여부와 시기적 구분에 따른 관심 주제에 대한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Depression is a serious psychological disease that is expected to afflict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And studies on depression have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because social media is a platform through which users often frankly express their emotions and often reveal their mental states. In this study, large amounts of Korean tex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such data could be used to detect depression in users.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Twitter users who had and did not have depressive tendencies between January 2016 and February 2019. The data for each user was separately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depressive tendencies to see how their expression chang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occurrence word analysis,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This study’s automated data collection method enabled analyses of data collected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Also it compared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users with depressive tendencies to those without depressive tendencies.

164
곽지영곽지영(법원도서관 사서) 2023, Vol.40, No.3, pp.143-162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1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법원도서관 법마루 도서대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 대출 패턴을 파악하고 분석 결과를 향후 이용자 서비스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2022년 법마루의 소장 도서는 212,608권이었으며, 법률서가 73%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대출은 일반서가 8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주제별 이용계수를 살펴보면 문학 분야가 5.85로 가장 활발히 이용되고 있었고 법학 분야가 0.23으로 가장 저조하게 이용되고 있었다. 상호대차의 경우, KERIS 가입 회원기관과 대한변호사협회 모두 제법 분야, 민법 분야, 사법소송절차 분야 순으로 대출 비율이 높았다. 다만, 법학계인 KERIS 가입 회원기관이 실무계인 대한변호사협회에 비해 더 다양한 주제 분야의 법률서를 대출하고 있었다. 법률정보의 접근권 향상을 위해 법마루 대국민 대출서비스를 시행했지만 실제로는 열람 공간의 이용이 높았고, 대출 역시 일반서의 비중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법마루 대출 서비스 홍보 강화 및 개인화 서비스 제공, 도서대출 규정 정비 온라인서비스 강화 및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Beopmaru,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circulation data to identify user lending patterns and proposed a plan to reflect the analysis results in future user services. In 2022, Beopmaru's collection of books was 212,608, with law books accounting for 73%. However, general books accounted for 83% of actual circulation. Looking at the usage coefficient by topic, the literature field was the most actively used at 5.85, and the law field was the least used at 0.23. In the case of interlibrary loan, both KERIS member institutions and the Korean Bar Association had the highest loan ratios in the legal field, civil law field, and judicial litigation procedure field, in that order. However, member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KERIS, a legal academic community, were lending law books on a wider range of subject areas than the Korean Bar Association, a practical organization. To improve access to legal information, the Beopmaru public service was implemented, but in reality, the use of reading space was high, and the proportion of general books loaned was much higher. In order to improve this, it seem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motion of Beopmaru loan services,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improve book lending regulations, strengthen online services, and establish a cooperative network.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정보과잉에 따른 적절한 정보의 선택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검색 또는 여과하는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보검색 및 정보여과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정보환경의 변화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법으로서 도서관 및 정보센터에서는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이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 추천서비스 제공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및 정보센터에서 적극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방법으로 이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화 추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추천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고 기존 추천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용량 콘텐츠 및 이용자 환경에서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빈도를 기준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개인화된 하이브리드 추천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용빈도에 있어서 상위 이용자 및 콘텐츠를 분리하고 적절한 추천방법에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추천방법 및 대용량 추천시스템에 적합한 연관규칙과 협업여과방법에 대한 조합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Recent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ve caused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information available and the means to distribute it. However, such information overflow has made the efficient and accurate search of information a difficulty for most users. To solve this problem, an information retrieval and filtering system was developed as an important tool for users.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have been in the forefront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satisfy the user's information needs under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of toda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 for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to provide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to the user. The proposed method overcomes the weaknesses of existing systems, by providing a personalized hybrid recommendation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s that works in a large-scaled data and user environment. The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hybrid method uses an effective framework to combine Association Rule with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166
이지연(연세대학교) ; 김성언(연세대학교) 2003, Vol.20, No.2, pp.1-26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001
초록보기
초록

웹사이트 디자인과 평가에 대한 연구는 정보과학분야, 컴퓨터분야, 인지과학분야, 산업디자인분야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여 이루어져 왔다. 정보과학분야에서 웹사이트 디자인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강조하는 부분은 이용자가 이용하기 쉬우며 이용자에게 친숙한 이용자 중심의 웹사이트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이용자와 디자이너를 별개의 집단으로 이해하고, 웹 디자이너들이 웹사이트를 디자인할 때에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여야 함을 강조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와 디자이너를 별개의 집단으로 보는 관점을 벗어나 최근 늘어나고 있는 집단인 웹사이트 이용자인 동시에 웹사이트 제작 경험이 있는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하여 자신이 디자인한 웹사이트와 다른 연구 대상자들이 디자인한 웹사이트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질문지를 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이면서 디자이너인 218명의 연구 대상자들은 이용자의 관점과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모두 웹사이트의 내용전달, 디자인의 단순성과 일괄성, 링크와 접근성 측면을 공통적으로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반면, 내용의 체계성과 풍부성, 화면구성 측면은 이용자 관점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웹사이트 제작 시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Diverse disciplines such as information science, cognitive science, and industrial design are actively engaged in the website evaluation research efforts. Information scientis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ser-centered and user-friendly website design, which is also easy to use. This idea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users and the designers are diffrerent ste of people. In addition, information scientists consider the practice of maximally incorporating uer inputs during the website design stage to be very important guideline. However, this study is based on a newly emerging population of website users who are also designers. 218 study participants evaluated the web sites that they designed in comparison to the websites designed by others.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e content delivery, design simplicity, design consistency, and link access of the websites to be equally important from both users' and designers' perspectives. However, the content organization, rich content, and screen composition were underestimated from users' point of view.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학습에서 선호하는 정보활용매체를 평가하였다. 즉, 강의를 위한 효율적인 학습방법이 무엇인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매체와 관련된 이론적 검토와 관련 선행연구를 하였다. 다양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는 강의를 기준으로 학생들에게 가장 이해도가 높은 학습방법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부산시내의 대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하여 명목척도와 등간척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PPT”를 학습방법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IT 및 컴퓨터 활용능력수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둘째, “PPT”학습방법을 “WRT”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PT”집단이 “WRT”집단에 비해 보다 학습효과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집단 모두 전체평균값은 3.08과 2.95로 수업집중도에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면담에 의한 자료수집이 갖는 한계를 안고 있다. 향후 각 매체에 의한 학습효율성 연구와 정보매체에 의한 다양한 집단간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evaluated Information Application Mechanism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In other words, the research content is analyzing what is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lectures. To obtain this research objective I've done some research in theoretical research and pervious research related to informational mechanism. I also analyze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n learning-efficiency with students based on lectures using various information mechanisms. For the data gathering I've surveyed 82 students living in Busan, and used the survey sheets to gather data, I made the survey sheet with nominal and interval parts to make the analyzement of data easier. The research result is down below. First, It shows that the students with higher understanding in IT preferred lectures with “PPT”s. Second, The “PPT” preference group thought that the “PPT” teach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methods. Third, The “WRT” preference group thought that the “WRT” teach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methods. Forth, Both groups gave each method a 3.08 and 2.95 as a total mean value out on a 1-5 scale showing not much difference. However this research has a research limitation like other researches. In other words, there can be some distortion of information when using the interview method to gather data. The researches from now on will need to organize groups by information mechanisms and research the learning-efficiency with each mechanism.

168
신혜원((전)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신동희(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2023, Vol.40, No.3, pp.245-271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2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자책 이용률이 높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20대를 대상으로 전자책 구독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와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ing)를 병행한 혼합연구 방법을 통해 전자책 이용률이 높은 20대 대학생의 전자책 구독 서비스이용 실태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대학생 202명의 의견을 수집하였고, 전자책 비이용자와 이용자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 비이용자와 이용자 간의 전자책에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휴대성 및 편의성은 두 연구 참여자 그룹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전자책의 장점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성 평가에서 사용된 ‘밀리의 서재’ 애플리케이션은 가장 대중적인 전자책 플랫폼으로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여 전자책 이용 경험이 없는 20대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평가가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전자책의 편의성, 디자인, 다양한 부가 기능, 가성비 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흥미 부족, 기능 실용성, 터치 오류 및 오작동, 장서 부족, 시스템 문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erception of e-book subscription services among the digitally native generation in their twenties, who have a high e-book usage rate. This study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survey responses and usability testing. It aimed to assess the awareness and usage of e-book subscription servic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a demographic known for their high uti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e-book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2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sponses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based on whether they were users or non-us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I found there is different awareness of e-book between users and non-users, on the other hand, convenience and portability are the strong point of e-books for users and non-users commonly also. Usability testing was performed on a group of 10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had not previously used the ‘Millies Library’ application, which is renowned as the most widely-used e-book platform. Following the experiment, participants expressed positive feedback regarding various optional features, convenience, design, and cost-effectiveness. However, they also had negative reactions concerning touch errors, malfunctions, functional practicality, a lack of interest, system issues, and the absence of a library.

169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노지윤(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 장인호(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고재민(수원대학교 건축도시부동산학부 건축학과 부교수) ; 강정아(제천기적의도서관 관장) 2024, Vol.41, No.1, pp.241-26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지역 여건을 조사하고, 전국 공공도서관과 주요 대표도서관의 소장 자료 현황, 이용 현황, 직원 수, 프로그램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을 위한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충북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하는 사명은 “지식과 문화의 교차로, 도민의 삶과 동행하며 함께 성장하는 도서관”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regional conditions of Chungcheongbuk-do and the status of collections, usage, staff, and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and major representative libraries. Based on this, a SWO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vision, goal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missio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is presented as “The library that grows alongside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intersecting knowledge and cultu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추구의 과도성으로 인해 자행되는 프라이버시 침해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미디어에서 볼 수 있었던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를 종류별로 분석, 이 중 지나친 정보추구행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침해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정보추구의 동기, 주체, 성격이라는 세 가지 기준, 다섯 가지 유형에 기반, 과도한 정보추구로 인해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침해를 사례별로 소개했다. 환경변화에 따른 바람직한 정보추구 자세와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를 위한 정보이용에 대한 몇 가지 고민과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y to describe types of invasion of privacy caused by excessive information seeking on mass media. Recent 5 years of cas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see the types of invasion of privacy, and extracted only those cases showing the results by excessive information seeking. Three standards such as the intension, the su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to differentiate the types and cases. Five types of those three standards were introduced by case by case. The issues regarding ways of privacy protection and correct attitude of information seeking were explored and a few suggestions were included at the en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