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 검색결과: 539
181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필수(㈜채움씨앤아이) ; 김윤정(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2021, Vol.38, No.1, pp.25-51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0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자료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도서관의 스마트디지털 환경을 위한 스마트도서관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디지털자료 담당자 213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자료 운영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응답 공공도서관의 80.8%가 디지털자료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평균 1.75명이 디지털자료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응답 공공도서관은 개방형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으나 5G 서비스는 11.3%만이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 공공도서관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자료는 영상 콘텐츠(63.8%)이며, 다음으로 전자책(53.5%)과 오디오북(53.5%)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오디오북은 평균 781종, 영상 콘텐츠는 4,985종, 영상외 비도서 콘텐츠는 3,616종, 기타 디지털자료는 626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도서관 스마트디지털 환경 구축과 스마트도서관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향후 디지털 자료 활성화 방안, 스마트도서관 도입에 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introduction of smart libraries by analyzing present conditions of its operation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igital materials. For this study, a survey of actual use of digital materials is conducted for digital material rooms of public libraries in nationwide and 213 persons in charge of digital materi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found: first, 80.8% of those public libraries responding to the survey operate digital material rooms and average 1.75 person is in charge of managing digital materials and open type Wi-Fis are installed in those public libraties but only 11.3% of those libraries provide 5G services; second, it is found that the digital data which are owned by those public libraries most are video contents (63.8%), e-books (53.5%) and audio books (53.5%) in order. In addition average number of types of audio books 781, video contents 4,985, nonbook contents except for video 3,616 and other digital data 626.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introduction of smart library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other study of a plan for future revitalization of digital materials and librarians’ awareness on introduction of smart librar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어떠한 요인들이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공립 공공도서관 55개를 대상으로 각 도서관의 연간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5가지 측면, 즉 인적측면, 장서측면, 예산측면, 행사측면, 기타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의 좌석 수가 도서관 이용자 수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고, 이어 건물연면적과 사서 수 역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회귀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오직 좌석 수만이 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에서의 이용자 수 확보를 위한 방안을 수립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which kind of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 number of users in the public librarie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actors, such as personnel, collection, budget, event, influenced on the number of their users of 55 public librarie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users in the public libraries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their seat, librarian, the building size and the number of librarian. Beside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se regression models was revealed that the factor influenced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is only the number of se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actically use in establishing the plan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ir users in public libra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들에 대한 정보이용자들의 인식정도를 73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평소 사서들의 근무태도와 자질 및 서비스수준에 대한 인식정도를 성별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3가지 유형으로 수정, 작성하여 조사하였다. 첫째, 사서의 근무태도에 관한 인식도, 둘째, 사서의 자질에 관한 인식도, 셋째, 사서들의 정보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인식도를 명목척도와 등간척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사서들의 근무태도에 관한 연구결과 평균값=2.81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서의 전문직으로서의 자질에 관한 정도는 평균값=2.84로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용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수준에 대한 만족도 역시 평균값=2.89로 역시 낮게 나타났다. 각 항목별 성별 집단간에는 다소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향후 다양한 집단별 요인분석을 통한 선행연구 결과들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analysed 73 sample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working in domestic public libraries from the information user's views. This research analyzed public library user's usual recognition level of librarian's work attitude, qualification, and service lever based of group of gender. For this, this research stands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es and 3 types of modified questionnaire; recognition level of librarian's work attitude, recognition level of librarian's qualification, and recognition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librarians and information users using on nominal scale and interval scale. The research's result showed study outcome of librarian's work attitude was generally low with the mean of 2.81. Second, librarian's qualification of being a specialist was low with the mean of 2.84. Lastly,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service level between information users and librarians was low with the mean of 2.89. Male and Female groups showed the difference of acknowledgement between each questions.

184
최만호(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윤정(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2021, Vol.38, No.1, pp.1-23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001
초록보기
초록

2013년,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단지에 작은도서관 설치를 의무화하는 규정 제정과 정부의 ‘생활 SOC 사업’에 따라 작은도서관이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다. 광명시의 경우, 2020년을 시민과 함께 권한을 나누는 ‘주민자치의 해’로 정하고, 이의 일환으로 생활문화공간을 대폭 확대한다고 공표하였다. 이처럼 사회 환경 및 이용자의 요구가 변화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광명시 작은도서관은 이에 대응하는 중장기계획 실천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사회 환경 및 이용자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한 작은도서관 활성화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명시 작은도서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운영제도 개선을 위해 지원제도 개선, 공공도서관의 협력체계 강화 및 공립 작은도서관의 역할 강화, 사립 작은도서관의 공공성 강화, 역량별 평가를 통한 차등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작은도서관 운영 전문성 강화를 위해 순회사서 및 전문가 봉사자 활용, 상호대차를 통한 자료 공유, 임기제 협력사서, 권역별 작은도서관 협의회 활성화가 필요하다.

Abstract

Small libraries have continued to be extended since 2013 enactment of regulations requiring establishment of small libraries in multi family housing complex not less than 500 households and the ‘Living SOC Project’ of national government. Gwangmyeong city designated the year of 2020 as the ‘year of citizen autonomy’ sharing the authority with citizens and publicly announced its plan to rapidly extend the living and cultural spaces as a part of that extension. Likewise, as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need of users are expected to change, it seems that the small libraries in Gyangmyeong City must prepare a plan for practicing a long and mid term practices in responding to that change. Thus, this Study tries to make a suggestion for a plan for the policy for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ies in order to handle thos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the need of users. For this, a survey and in-depth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the operators of the small libraries in Gyangmyeong C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licies are suggested: first,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operational system, strengthening of cooperative system of public libraries, and strengthening of role of public small libraries , strengthening of public characters of private small libraties and differentiated support through evaluation based on abilities; and second, it is necessary for utilization of circulating librarians and professional volunteers, sharing of materials through mutual lending of books, associate librarians having term of office and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y conference by regions.

185
강회일(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정용길(충남대학교) 2002, Vol.19, No.3, pp.237-261 https://doi.org/10.3743/KOSIM.2002.19.3.237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참고봉사의 현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국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2003년 7월 8일부터 7월 22일까지 직접 접속을 통한 관찰과 질문응답 기록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우리나라 4년제 대학 중 171개 도서관이 디지털참고봉사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수준, 명칭, 서비스방식, 웹폼, 서비스정책 등 디지털참고봉사 제공 관련 특성과 이용량, 응답비율, 질문유형 등 이용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황과 문제점이 식별되고, 도서관 서비스로 확립되기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Abstract

To understand current state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and analysis was performed.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8. 2003 to July 22. 2003, through direct site examination and recording the question and answer transcript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provision characteristics and use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s. Results revealed interesting findings and related problems.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are provided.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은 시민의 지적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며, 시민은 그들이 요구하고, 접근하고, 이용한 정보가 기밀로 유지될 권리를 갖는다. 그들의 프라이버시 보호는 언론의 자유, 사고의 자유, 집회의 자유를 실현하는데 핵심이 된다. 도서관과 사서가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해야 하는 이유는 도서관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는 사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임무중의 하나이며, 이용자가 지적자유를 진정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가능성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조사․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가나 법률관련기관이 업무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 대출반납서비스, 참고서비스, 온라인탐색서비스 등 일상적인 도서관서비스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프라이버시 침해가능성 및 사례, 그리고 도서관업무를 아웃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해 가능성 및 사례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Libraries are founded to ensure the intellectual freedom of citizens, and citizens have the right to confidentiality regarding their needs, information access, and information use. Protecting users’ privacy is critical to safeguarding their freedom of speech, freedom of thought, and freedom of assembly. Libraries and librarians should seriously concern themselves with their users’ privacy because protecting this privacy is part of their most important mission, and, in doing so, users can truly enjoy their intellectual freedom. This study extensivel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ossibility of privacy invasion that may occur in libraries. As a result, cases of potential invasion of privacy in libraries we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violation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national or law agencies’ enforcement operations; violation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routine library services such as circulation, reference, online searching etc.; and violations occurring by outsourcing library services.

188
이미경(한성대학교) ; 문성빈(연세대학교) 2012, Vol.29, No.1, pp.303-329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303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성과관리에 기여하고자 도서관서비스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반영한 효율성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이 분석모형을 적용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효율성 제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미 국내외 연구에서 기존 공공부문에서 사용되는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으나, 도서관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고 측정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도출을 시도한 연구도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서비스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해봄으로써 효율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공공도서관에 투입량을 기준으로 산출량은 증가될 수 있으므로 현재 투입 수준에 맞게 산출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 지속적으로 투입양을 증가시켜야 한다. 효율성 영향요인은 이용자수, 물리적 환경, 전문 인력, 문화 프로그램 기획력, 전자자료 등으로 분석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용자수, 전문 인력, 문화프로그램 기획력이 효율성과 인과관계를 갖고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measures the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library services, and management to contribute to the proposed model for efficiency analysi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in public libraries. This analysis model of applying the empirical research pursues the solutions to provide efficiency. Although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study the measurement of the efficiency, mere application of analysis techniques used in the other public sectors has led to the inadequate measurement for characteristics of library services. In addition, there has not been any attempt made to deduce a general theory for the study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In this study, an analysis model that reflects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in library services is suggested to be analyzed empirically, and this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efficiency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efficiency of current public libraries can be increased on the basis of input and output. Therefore the commit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output to meet the current need shall continue by the amount, rather than by the commitment to reduce the level of input.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are the number of users, the physical environment, professional staffs, events planning, and electronic resources. After analyzing the five factors vi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users, professional staff and events planning proved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efficiency.

189
이종문(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02, Vol.19, No.3, pp.211-326 https://doi.org/10.3743/KOSIM.2002.19.3.211
190
곽병희(전북대학교) ; 이두영(중앙대학교) 2002, Vol.19, No.4, pp.258-296 https://doi.org/10.3743/KOSIM.2002.19.4.2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내외적인 정보환경과 운영환경의 변화요인을 수용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대학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델파이 조사,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규명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설정한 평가 항목 및 지표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델파이 조사 결과, 각 평가영역별 평정 값이 3.00이상이고 전체 평균이 4.02이며, 표준편차는 .40~.62 사이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델파이 조사결과 평가지표는 타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본 평가지표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개 요인으로 구성된 평가항목의 요인별 누적 변량은 72.733%로서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사서의 특성별로 인지하는 정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의확률 0.05 수준에서 t-검증과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델파이 조사와 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전체 7개 평가부분 35개 평가항목 92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consider varying factors of internal/external informational and operational environments in libraries, and develop a new evaluation indicators for university libraries in digital environm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through the Delphi method that was to adopted to verify evaluation items and indicators determined by the literature review show that the repressed values for each evaluation category is greater than 3.00, overall average is 4.02. and standard deviation is ranged from 0.40 to 0.62 for each category. This means that the evaluation indicators are valid. Second,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evaluation indicators. As a result, the cumulative vari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consisting of 11 dimensions per factor is 72.733%. In turn, this result shows that the validity of these indicators is very reliable. Third, t-test and one-way ANOVA are performed within significance probability 0.05 in order to verify differences in each librarians point of views for the degree of importance in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Delphi study and our own analysis, we developed a new evaluation indicators that consists of 7 evaluation categories, 35 evaluation items, and 92 evaluation indicator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