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 analysis, 검색결과: 280
211
강인서(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박사과정,대전자운초등학교 교사) ; 김혜진(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조교수) 2020, Vol.37, No.2, pp.333-352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3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에서 다뤄지는 정보격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관련 4개 학술지에서 발행한 195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해당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대상(11개 하위 범주), 연구목적(4개 하위 범주), 연구방법(4개 하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이것을 저자 키워드와 함께 패스파인더 알고리즘을 적용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취약계층(연구대상) 중 장애인, 다문화가정, 고령자에 대한 연구가 79.5%로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격차, 장애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 고령자 등에 대한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보취약 해소효과, 정보취약의 영향요인을 목적으로 한 연구는 고령자, 독서치료,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독서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또는 설문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igital divid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his end, we coded research subjects with 11 subcategories, and research objectives with 4 subcategories, and research methods with 4 subcategories, and constructed keyword networks to which a pathfinder algorithm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9.5% of studies are on the disable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lderly among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and it was found to be concentrated in specific groups. In addition, digital divide related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information vulnerabilitie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We also found that these studies focused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by designing and applying treatments such as informatization educ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reading programs. Lastly,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in the digital divide was found to use case studies or questionnaires simultaneously with literature research.

초록보기
초록

대학소속 연구자들의 연구 분야가 다변화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는 서비스 운영을 위하여 학과별 주제 분야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 학과 소속구성원들의 학술지 논문 서지사항을 분석하여 학과별 주제특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게재한 학술논문을 분석하여 1차적으로 해당 학과의 주제영역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심층적으로 주제영역을 분석하기 위하여 해당 논문들이 인용한 학술지를 조사하여 확장된 주제영역을 조사하였다. 또한 상위 인용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하여 학술지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과별 주제 분야별 학술지 이용현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정 주제 분야의 경우 학술지 종수와 논문 수에 따라 주제 분야의 중요도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정분야의 경우 소수의 학술지에서 많은 논문이 인용되고 있는 현상이 있으며 게재하는 주제 분야와 인용하는 주제 분야의 중요도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s topics of researchers become diverse horizontally or vertically, academic libraries have difficulties to identify the dynamic change of researchers' needs for academic publications. This research aims to illustrate the topic areas of researchers in a department of university by analyzing bibliographies of their publications. First, researchers' publications were used to discover the topic areas where the researchers had published. Second, the cited publications in those papers were analysed to identify the expanded topic areas of these researchers. Finally, highly cited journals were analyzed by network analysis method. The major finding is that the importance of topic areas by the number of journals was not necessarily proportional to that by the number of papers. Researchers have a tendency to use many papers in a small number of journals in a certain topic area.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topic areas discovered by researchers' publications was not the same as that discovered by researchers' citations.

213
서만덕(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2010, Vol.27, No.4, pp.309-328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30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정보활용능력 분야의 국내 학위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양적연구의 동향과 흐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양적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를 위해 양적 연구 과정과 양적조사 관련 규정, 양적연구 관련 기술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소 측정을 위해 5개 변인과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논문에 대한 연구주제, 조사방법, 표집방법, 표본대상, 표본크기에 대한 일반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연도별, 전공별로 구분하여 측정변인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방법을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연구목적에 따른 통계분석기법의 사용동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rend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by analyzing domestic dissertations on information literacy that were published since 2000. The procedures, regulations, and descriptive elements of the quantitative study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the study used 5 variables and criterions to measure these items. Based on the calculations, the study has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hesis, research method, sampling method and sampling population of the dissertations. The study has also analyzed the trend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by categorizing the characteristics by published year and majors. Furthermore, the study has also presented the trend of the usage of statistic analysis method on research purpose by classifying the method into each purpose.

214
윤재웅(광운대학교 경영학부) ; 이창섭(광운대학교 경영학부) ; 이석준(광운대학교) 2016, Vol.33, No.2, pp.103-133 https://doi.org/10.3743/KOSIM.2016.33.2.103
초록보기
초록

최근 특허기술의 가치평가가 크게 강조되고 있으며, 특허의 피인용횟수는 특허기술 가치평가에 있어 중요한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허를 대상으로 피인용횟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일반화 선형모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12개의 변수를 형태적, 기술적 그리고 개념적 요인으로 분류하였고, 국내 의료기기 특허 14개의 분야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출원인 국적, 출원인 유형, 발명자 수, 출원국가 수, IPC 수, 참고문헌 수, 서지결합도가 특허 피인용횟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적용 가능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국내 특허에 대한 인용 분석 방법론에 있어서 실질적인 기초적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valuation of patented technology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and the patent citation is known as an important factor. This study performed a generalized linear model to find variables that effect the patent citation. We classified 13 variables as morphological, technological and conceptual factors and used them to find out effective variables in 14 medical devices classification. Through the empirical study, we found seven effective variables (assignee nationality, assignee character, the number of inventors, the number of application countries, the number of IPC, the number of references, the strength of bibliographic coupling). In order to apply to Korean industr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provides basic research to citation analysis model.

215
김효윤(연수청학도서관) ; 조재인(인천대학교) 2017, Vol.34, No.1, pp.51-71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학부모로 구성된 어린이 도서관 이용자들 200여명이 인지하는 별치 자료간 희망 인지 거리를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과 K-means 군집분석을 활용해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인지 거리가 실제 어린이 도서관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검토해 보았다. 다차원척도법은 분석 대상의 유사성이나 속성 등을 평가하여 공간상에 투영시키는 기법으로 마케팅에서 주로 시장 진단을 위해 활용되지만, 제품이나 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적 거리를 분석하여 이상적인 물리적 배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분석 결과, 별치 자료간 인지 거리에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리고 학부모 집단간에 각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간의 인지 거리에 있어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Y구의 3개 어린이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된 인지 거리 체계가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 결과, 특정 집단의 인지 체계에 완벽히 부합하는 공간 구조를 지닌 도서관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공통적으로 유․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가 분리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와 초등학생들의 인지 거리가 부분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measure recognition distance between the materials which are located separately in a children’s library targeting 200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 students, higher grade students, and school parents(adults). And compared recognition distance between the elements of materials of individual visitor group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K-mean group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is a technique for projecting the cognitive state in space by evaluating the similarity or attribute of the analysis target. Even though it is mainly used for market diagnosis in marketing, It can also be applied to present an ideal physical layout plan by analyzing the distanc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in discoverie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ze child, baby and computer materials should be adjacent as a same group. But recognition of adults(school parents) is reflected by differing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stly. They cognize that computer materials should be formed as a special group separated from child and baby’s materials. Second,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and adults(school parents) groups also want to separate their main reading materials from baby’s book, therefore They both want to secure silent reading space separating from baby. Third, as a result to confirming how this recognition distance system of materials is reflected in a real children’s library through three children’s libraries in Y-gu, Incheon, there is no library with structure according perfectly with a recognition system of a particular class, but a recognition system of adul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partially reflected because baby, child and computer materials, and baby and child materials are commonly separated and placed. It is difficult to insist that a recognition system of a visitor group, especially a recognition system of children is absolute consideration conditions in material placement of a children’s library. However, understanding cognition of the user groups can be an important evidentiary factors to offer differentiated service space according to visitors and effective placement of the elements of library resources.

216
노효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우권(전남대학교) 2019, Vol.36, No.1, pp.137-168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13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과 대학도서관 서비스품질 평가, 이용자만족도 및 충성도를 측정 및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이 이용자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J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282부의 유효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변수들의 평균값을 기술통계량으로 분석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프로그램 모형 4번과 6번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은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에 따라 이용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인 서비스 혜택 지각 및 충족감, 상호영향의식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서비스 품질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를 매개로 이용자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평가가 높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은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와 이용자만족도에 따라 이용자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인 서비스 혜택 지각 및 충족감, 상호영향의식이 서비스 품질평가를 매개로 이용자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가설1), 이용자만족도를 매개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이용자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평가가 높고, 이용자만족도가 높아지며, 이를 통해 이용자충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measures and analyzes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service quality assessment,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on university library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mediated by th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service i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study result,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and user loyalty,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library development ar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precedent research and literature were investigated, and the study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bject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Central Librar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C National University, and the final 282 sample was used for analys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It is the result of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mediated effects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programs models 4 and 6 of Hayes for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Service Benefi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Mutual sense of influence) effect the user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brary mediated by service quality assessment at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assessment, and the higher the user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library. Second,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Service Benefi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Mutual sense of influence) effect the user loyalty of university library mediated by service quality assessment and user satisfaction. Th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assessment, the higher user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library and the higher the user loyalty level of university libr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niversity library user’s sense of community has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enhancing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rough the service quality assessment.

217
장수현(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남영준(중앙대학교) 2022, Vol.39, No.3, pp.263-292 https://doi.org/10.3743/KOSIM.2022.39.3.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인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인 이용자 교육의 관련 개념인 리터러시가 각종 문헌정보학 연구 분야에서 어떠한 연구 주제를 다루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WoS와 KCI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정보학 분야 리터러시 관련 논문을 수집하여 키워드 분석 및 토픽 모델링 분석 기법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WoS와 KCI의 문헌정보학 분야 리티러시 관련 연구 동향은 저자 키워드, 주요 주제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픽 모델링을 통해 KCI의 리터러시 관련 연구를 3개의 토픽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확인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리터러시 연구 동향은 전체 리터러시 관련 연구 동향과 연구량 급증 시기, 핵심 다빈출 키워드 차이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특히, 전체 분야 리터러시 연구는 ‘리터러시’, ‘교육’, ‘미디어’, ‘디지털’ 등의 단어가 다수 도출되었지만 문헌정보학 분야의 리터러시 연구는 ‘정보활용능력’, ‘학교도서관’ 등의 키워드가 다수 등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에서도 정보가 급증하는 오늘날의 정보화 환경에 맞춰 정보에 대한 평가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는 능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opics of research related to the concepts of literacy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related to user education in librari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oS and KCI databases, and complementary key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identify topics of literature-related research article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ndings presen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keywords and topics between the two databases. Literacy-related topics identified from the KCI databas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rough topic modeling.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literacy-related research trend, the timing of the surge in research volume, and key frequent keyword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confirmed in the study. In particular, in the study of literacy in all fields, a number of words such as ‘literacy’, ‘education’, ‘media’, and ‘digital’ were derived. However, in litera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eywords such as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nd ‘school library’ appeared. Based on this, it was concluded that research on the ability to develop an evaluative eye for information is needed in line with today’s information environment, where informa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in the futu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 공간 서비스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서비스스케이프를 대학도서관에 도입함으로써 도서관 공간 및 시설이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4년제 종합사립대학교 10곳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의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은 청결성, 쾌적성, 심미성, 편의성으로 확인되었으며 편의성을 필두로 청결성, 심미성, 쾌적성 순으로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대학도서관 서비스스케이프의 만족도와 지속의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도서관은 더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마련과 선진 정보 기술 활용 등을 통한 서비스의 고도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으며 청결성, 쾌적성, 심미성, 편의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도서관 공간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연구된 적 없는 서비스스케이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지속의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LibQUAL+의 장소로서의 도서관을 측정하는데 있어 보다 세밀한 분석을 돕고자 하였고 공간을 기획하는 실무자에게 새로운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둔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Servicescape, which is used to measure the spatial services in marketing, to the studies on university libra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spaces and facilities on th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the users of university librarie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users in ten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Servicescape factors of the libraries showed that cleanliness, comfort, aesthetics, and conveni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se, convenience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influence upon satisfaction, followed by cleanliness, aesthetics, and comfor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Findings show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spaces that can accommodate the various functions of a university library; seek advancement of the services; and develop the spaces of a library in consideration of cleanliness, comfort, aesthetic, and convenience.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Servicescape for the first time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sults assist a more detailed analysis for the Library as Place dimension of LibQUAL+, and provide a new guideline for practitioners who design library spac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녹색도서관을 인증함에 있어 도서관의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녹색도서관 관련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도서관 녹색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평가요소에 대한 도서관 직원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11개의 평가영역, 31개의 평가항목, 135개의 평가지표를 가진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11개의 평가영역은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 및 환경오염 방지, 재료 및 자원, 물순환 관리,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 도서관 자원, 친환경 교육프로그램 및 캠페인, 직원 및 운영, 전산화 등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propose the evaluation indicators to evaluate the eco-friendliness of the library, when certified as the eco-friendly Green Libraries. To do this, we extracted the green library compone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green library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and surveyed the perceptions of the library staffs about the assessmen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the green library evaluation index with 11 evaluation areas, 31 evaluation items, and 135 evaluation indicators. The 11 evaluation areas are as follows; Land use and transportation, ener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materials and resources, water cycle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ecological environment, the indoor environment, the library resources, the eco-education programs and campaigns, the staff and operations, and the computerization.

220
정혜경(KDI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정은주(이화여자대학교) 2007, Vol.24, No.1, pp.187-208 https://doi.org/10.3743/KOSIM.2007.24.1.1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가치평가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하였다. 기존에 사용되던 가상가치평가법의 한계점을 지적하였으며, 아울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Dissonance Minimizing(DM) 포맷을 적용한 가상가치평가법을 제시하였다. 가치평가의 도구로는 비용편익분석이 사용되었고 비용에는 서비스에 투입된 총 비용을, 편익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지불의사금액 (willingness to pay)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해 ‘J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추정하여 DM 포맷이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어떻게 사용되어지는지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public libraries, identifying and suggesting the modifie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pplication. The modified CVM, which applied Dissonance Minimizing (DM) format, is presented as a new approach. A cost-benefit analysis is used as a tool to determine if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outweigh the cost incurred in providing the services.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are based on estimates of how much the user is willing to pay for the library services and costs are based on the prices of providing the services. A comparison between two methods are conducted in a case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economic value of 'J Public Library'. The study also conducts a case study to analyse the WTP value of the 'J Public Library' and demonstrates how public libraries approach the their local studi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