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 검색결과: 539
281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4, Vol.31, No.1,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효과를 고찰하고 성과측정 도구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기능 및 효과를 조사하였다. 측정 대상인 독립 변인, 종속 변인, 통제 변인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고 각각의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국내외 독서 성과 측정 도구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어린이의 독서 성과 영역과 척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 통제 변인에 관한 척도를 세분화하고 성과 측정 도구로 활용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2013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중 지방권역별로 10개관을 선정하여 조사 대상 도서관의 프로그램에 참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초반과 후반에 설문지로 개발된 성과 측정 도구를 적용하였다. 또한 조사대상 도서관의 프로그램 담당 사서, 기관 담당자와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집된 데이터를 모두 분석하여 독서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measuring scale for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First, in literature review, the effects and children’s reading programs performance scales were analyzed, and the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for children’s reading achievements were defined. Second, survey questionnaires for children, librarians, program instructors, and heads of child centers were designed to measure 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on the scale. Third, the questionnaires for children were distributed to 10 public libraries participating in <2013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s for two times in the early and the late time of the programs. Also, the survey questionnaires of 30 librarians, program instructors, and heads of the child centers were carried. Finally, all of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ime series, and the improvements for the scale were proposed.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자원의 영구보존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자원의 고유의 속성과 변화를 설명해주는 지적 정보 즉 보존 메타데이터가 구조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표기되어야 한다. 보존 메타데이터는 외부적/내부적 변화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원하는 진본 데이터에 접근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자원을 관리하고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202년 OAIS 참조모형(ISO 14721 )이 보존 메타데이터 표준을 권고한 이후 외국의 여러 국가 디지털도서관에서는 각 나라의 실정에 맞게 보존 메타데이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OAIS가 권고한 정보모델과 디지털자원의 장기적 보존을 위해서 외국 도서관에서 개발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세트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어떻게 보존 메타데이터를 구축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들이 대학도서관에 적합한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디지털자원의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세트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reservation metadata which is defined the property and his tory of changes must be describes logically and structurally for implementing long-term digital preservation. The thentic digital resources and the managers of digital archives to manage and preserve more ef fectively the digital resources. his paper is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relating to digital preservation metadata including f OAIS and outlines some library-based projects. Next, the paper investigates how to dev elop and use the preservation metadata in university libraries and what is the core preservat ion metadata elements. Finally, 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with broad aplicability to digital preserv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283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8, Vol.35, No.4, pp.125-140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125
초록보기
초록

대출데이터는 대학도서관에 축적된 중요한 데이터로서 도서관 장서개발이나 서비스 개선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이다. 이 연구는 대출빈도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대출관련지수를 비교분석하여 지수별 특성을 파악한 후 도서관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A 대학도서관의 10개 단과대학별 대출데이터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한 지수는 대출빈도, 대출엔트로피, 대출 h-지수, 대출주제차별지수 등 총 4개의 지수이다. 이 지수들을 적용하여 단과대학별 대출현황을 분석하였고 단과대학별로 나타나는 대출주제의 특성을 표하는 각 지수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출 엔트로피는 여러 대학이 공통으로 선호하는 주제를 표현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출주제차별지수는 특정대학에서만 특화되어 대출되는 주제를 표현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Circulation data is a key data set of academic libraries in terms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service improvem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measures and their feasibility. This study collected the circulation data of 10 colleges in a university and analyzed 4 measures based on the circulation data: circulation frequency, circulation entropy, circulation h-index, and circulation divergence. These measures are to present the circulation topics of each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at circulation entropy tends to present general topics which are popular for many colleges, but circulation divergence tends to present specific topics which are preferred by a specific college.

284
김윤명(경희대학교) ; 정준민(전남대학교) 2002, Vol.19, No.2, pp.181-201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181
초록보기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도서관은 자료의 디지털화 등을 통하여, 디지털환경에 맞는 정보서비스를 위한 역할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저작권법은 도서관이 비영리적 기관으로서 사회의 공익에 기여하는 점이 많기 때문에 저작권법이 예외적으로 적용되어 자유로운 정보서비스를 허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디지털환경에서는 디지털 복제와 전송이 쉽기 때문에 권리자와 이용자와의 균형관계를 형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자 개정된 저작권법은 취지와는 달리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도서관에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행 저작권법 및 개정안의 문제점을 고찰함과 아울러 디지털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digital library h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aradigm of role of library to adjust in digital environment. Digital library has promote information services with digitization of materials. In library fare use is allowed to the public for information services. However, digital copy and transmission is simple in digital environment, to balance between owner and user is not easy but important things. Therefor, current copyright act is revised to adjust these environment but the act restrict the users′accessing digital library through interned, not complied with the motive of revision. Moreover, proposed act which is proposed to facilitate digital library services also extremely limits information services. In this monograph, I will review the copyright act related library and seek for the improved means.

285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1, pp.45-6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와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 인식 및 이용을 살펴보고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5개 어린이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55명을 대상으로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 서비스 현황, 개선 사항을 파악하였다. 또한 동일한 도서관의 어린이 이용자 30명을 선정하여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두 집단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어린이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전자책 콘텐츠와 공간 및 시설의 충분한 제공,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전자책 서비스 홍보, 전자책 담당 사서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of e-books by librarians and children and to suggest important elements to improve e-book services at the children's libraries. User survey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from fifty five librarians and thirty children were carried for the perceptions and the use of e-books at five children's libraries. Based upon the data analysis from two groups, three important elements for improving e-book services of the libraries were suggested as follows: providing enough e-book contents, facilities and spaces, developing e-book user education programs with proactive pubic relat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e-books to librarian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웹 자원의 서지적 조직과 접근에 관련된 이론과 실무적 동향을 살펴보구 국내의 도서관에서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문헌조사 및 국내외 다섯 개의 대학도서관의 웹 사이트에서 실제적인 웹 자원의 조직과 접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웹 자원을 전자 저널 색인 초록 데이터베이스, 그 밖의 웹 사이트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도서관마다 이들을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종합목록에 통합하거나, 전자 저널 게이트웨이나 웹 링크에만 의존하는 등 조직과 접근 제공의 방법이 상이하였고, 특히 국내 도서관들이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웹 자원의 수집과 활용, 국가적인 서지통정의 수립 등이 필요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issues in theories and practices of bibliographic organization of and access to the Web resources. and find out how to apply them to libraries in Korea.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of five maj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s well as United State were conducted to describe and analyze patterns of actual bibliographic organization and access. Libraries definitely vary in how to organize or integrate bibliographic records of Web resources into OPAC and how they provide access to electronic journals and selected Web sites.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re expected to collect more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Web resources of high quality and establish strategic plans for building reliable Web resource collection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도서관은 그것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 하는 네트워크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ICT를 연구하는 사회정보학적 관점에서 제안된STIN모델을 적용하여 LC에서 개발한 디지털도서관인 American Memory를 분석하였다. American Memory의 핵심 이용자로 파악된 미국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디지털도서관으로 끌어들이기 위하여 개발된 참여전략과정은 이용자, 터지털장서, 직원들 간의상호작용을 유도하고, 그들 간 관계와 역할을 변경시키면서 지식작업의 기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분석과 이해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Abstract

This paper shows that digital libraries can be understood through STIN models which emphasize interactions among components in networks. The enrollment strategies in the American Memory make human and non-human factors interact. Specifically, this paper articulate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rs and collections, between users and staff, and between users and users are closely linked through the strategies. Observing the linkages among these components, this paper found that the enrollment processes not only draw users to the American Memory, but also alter roles of components and creates new roles and players for them. The alterations of roles and the resulting changes of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mean that digital libraries lead to transform the grounding of knowledge works in a society.

288
윤설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163-187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서교사와의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9개 학교,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쳐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이벤트 역할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가 협력 독서교육에서 효과를 기대하며, 사서교사(사서)가 전문성이 있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인식은 협력 독서교육의 기대효과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했으며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도 낮게 인식했다. 본 연구는 협력 독서교육 방안과 그 안에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the teacher- librarian expertise that enables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it develops strategies that the school library and teacher-librarians should undertake for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176 teachers in 9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s a resul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event role perception would positively impact the expected effects of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uggestions are offered for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and where teacher-librarian expertise is placed.

289
나경식(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정용선(동신대학교) 2022, Vol.39, No.2, pp.35-60 https://doi.org/10.3743/KOSIM.2022.39.2.03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reports on the motivational use of special libraries from a user’s perspective that investigated four motivational component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RCS) of the library users. Even though special librarie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compared to public libraries, special libraries could fill the niche of public libraries for the special and specific needs of the community in the current library environments in South Korea.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forty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four themes (ARCS) that users need motivation as a way to start using a special library, thereby staying focused and revisiting the library. It is possible that the ARCS model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application, and practice of both special libraries and their services in the library environment. The results are expected to expand our knowledge on the motivational ARCS use of special libraries and to serve as basic data when designing motivational strategies and plans of the systems for special libraries.

290
문수빈(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장우권(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3, pp.23-50 https://doi.org/10.3743/KOSIM.2022.39.3.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상주작가 지원사업 문화프로그램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선호,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도서관 상주작가 문화프로그램의 운영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상주작가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조사, 도서관 이용자의 인식 및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 사서의 인식에 대한 인터뷰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현황조사․설문조사․인터뷰조사는 2021년 5월부터 11월까지의 상주작가 지원사업 문화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프로그램의 어려움은 상주작가의 역량과 코로나로 인한 휴․재개관의 반복과 비대면 수업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개선방안으로 상주작가와 다른 분야의 문인 초청과 문학프로그램 운영, 온라인 홍보에서 오프라인 홍보의 강화, 문화프로그램 운영의 사전교육, 사업 시작 시기 조정, 작가의 특성을 위한 교육, 이용자 연령을 고려한 진행방식, 이용자 선호 프로그램, 프로그램 운영시간, 정기문화프로그램 운영, 지역특성과 프로그램의 다양성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improve the cultural program for the resident writers in libraries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ident writer support project, examining users’ perceptions and preferences, and investigating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an investigation (survey) of the program operation status, user perception and preferenc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ibrarians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libraries with the cultural program for resident writers between May and November 2021. Findings showed there were challenges in operating the library cultural program due to the lack of resident writers’ quality, frequent changes in the program formats (online or offline), and library closur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r the program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made, including inviting good-quality resident writers and writers from other fields to the program, training resident writers, advertising the programs using online and offline media, training staff, and developing programs considering user ages and preferences and diversity in local communiti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