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 도구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d Applying a Tool for Measuring Achievements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4, v.31 no.1,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007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효과를 고찰하고 성과측정 도구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기능 및 효과를 조사하였다. 측정 대상인 독립 변인, 종속 변인, 통제 변인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고 각각의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국내외 독서 성과 측정 도구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어린이의 독서 성과 영역과 척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 통제 변인에 관한 척도를 세분화하고 성과 측정 도구로 활용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2013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중 지방권역별로 10개관을 선정하여 조사 대상 도서관의 프로그램에 참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초반과 후반에 설문지로 개발된 성과 측정 도구를 적용하였다. 또한 조사대상 도서관의 프로그램 담당 사서, 기관 담당자와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집된 데이터를 모두 분석하여 독서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성과 측정,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독서 효과, children’s reading programs, achievement scale, Reading with Library, reading effec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measuring scale for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First, in literature review, the effects and children’s reading programs performance scales were analyzed, and the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for children’s reading achievements were defined. Second, survey questionnaires for children, librarians, program instructors, and heads of child centers were designed to measure 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on the scale. Third, the questionnaires for children were distributed to 10 public libraries participating in <2013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s for two times in the early and the late time of the programs. Also, the survey questionnaires of 30 librarians, program instructors, and heads of the child centers were carried. Finally, all of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ime series, and the improvements for the scale were proposed.

keywords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성과 측정,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독서 효과, children’s reading programs, achievement scale, Reading with Library, reading effect

참고문헌

1.

유정원. (2008). 학교도서관의 자원기반학습이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독서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

이연옥. (2011).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 평가 최종보고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3.

이연옥. (2012). 독서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와 의미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73-98.

4.

조미아. (2006). 창의력과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53-71. http://dx.doi.org/10.4275/KSLIS.2006.40.3.053.

5.

조미아. (2010).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 평가 최종보고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6.

조미아. (2010). 소외된 어린이를 위한 독서프로그램 효과 연구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199-220. http://dx.doi.org/10.4275/KSLIS.2010.44.2.199.

7.

Anderson, R. C.. (1985). Becoming a nation of readers :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reading: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8.

Anderson, R. C.. (1988). Growth in reading and how children spend their time outside of school. Reading Research Quarterly, 23, 285-303.

9.

Chambers, A.. (1991). The reading environment : How adults help children enjoy books:Thimble Press.

10.

Cullinan, B. E.. (2002). 책 읽어주는 엄마가 자녀를 성공시킨다:대교출판.

11.

Eldahl, D. L.. (2011). A summer reading program and its impact on summer reading Loss.

12.

Fiore, C.. (2010). Summer reading programs boost student achievement, study says. School Library Journal, 59(11), 26-29.

13.

McQuillan, J.. (1998). The literacy crisis : False claims, real solutions:Heinemann.

14.

Morrow, L. M.. (1986). Encouraging voluntary reading: The impact of a literature program on children's use of library centers. Reading Research Quarterly, 21(3), 330-346. http://dx.doi.org/10.2307/747713.

15.

Ross, C. S.. (2006). Reading matters: What the research reveals about reading, libraries, and community:Libraries Unlimit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