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58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기지역의 상호대차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호대차 장서의 지역 간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공공도서관의 지역 간 상호대차 장서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장서의 이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파악함으로써 실무기반 데이터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효율적 상호대차를 위하여 지역을 권역별로 나누어 상호대차를 실시한다면 더욱 원할한 상호대차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LL data in Gyeonggi province so that it could make a further analysis on current inter-regional network of book collection in ILL. In detail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inter-regional network of ILL book collection among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to examine how a collection of books could be exchanged among those libraries, and analyze possible applications of task-based data in ILL.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verify that the further implementation of ILL across more detailed areas than current regions for the benefit of efficient ILL, if possible, would contribute to streamlining ILL practices.

302
정경희(한성대학교) ; 이호신(한성대학교) ;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2014, Vol.31, No.4, pp.179-200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에서 영상물 이용현황과 그에 따른 저작권 문제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서의 저작권 문제는 설문조사와 더불어 도메리와 저작권 관련 웹사이트 등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상자료를 위한 설비의 다양화와 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라 저작권 문제도 공연뿐만 아니라 대출, 보존용 복제, 디지털화,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등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영역별 저작권 질문이 기초적인 질문에서부터 세부적인 문제에 대한 질문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저작권 문제의 복잡성을 고려해 볼 때 사서양성과 관련한 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저작권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위한 교육, 직무연수과정에서 저작권법의 개정에 따른 보완 교육, 세부적인 저작권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사서를 위한 온라인 질의응답 서비스가 실시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use of cinematographic works and the problems of copyright. Surveys were conducted in public and university libraries for these. Also, content analyses were conducted to make sense of copyright problems in librari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problems of copyright had occurred in various aspects related to public performance, lending, digitization and internet services according to the diversity of facilities for watching cinematographic works and library services. Also, the librarians’ questions to the copyright were very various from the primary level to specific level. This study suggested that regular courses of study in library schools need to be opened to primitive understanding to copyright law and occup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librarians need to be opened to complementary education as revisions of copyright law.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online Q&A services need to be started for librarians who have detailed copyright problems.

초록보기
초록

1990년도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미국 공공도서관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로 새로운 측면의 도서관 e-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측정 평가가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공공도서관의 인터넷 서비스 품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과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 및 서비스 리퍼럴(service referral)과의 관계를 제시하기 위하여 마케팅 경영 분야에서 서비스 품질 평가의 대표적 모델로 알려진 SERVQUAL과 SERVPERF 그리고 현재 미국 대학도서관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도서관 품질 평가 모델인 LibQUAL+ 모델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품질 평가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4가지 주요 인터넷 품질 평가 요인 및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와 서비스 리퍼럴(service referral)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s the Internet connections and services at U.S. public librari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1990s, defining, assessing and measuring quality of these new electronic services have become a critical issue. This research was a study designed to identify key dimensions of Internet service quality at public libraries by providing a systematic framework for measuring and assessing the quality of Internet services. The study used modified SERVQUAL and SERVPERF instrument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service quality measurement in business marketing areas and LibQUAL+ model which are widely adopted service quality measurement instrument in most of the academic libraries in U.S.

초록보기
초록

LC나 OCLC에서 RDA 서지레코드를 반입함에 따라 RDA 규칙 적용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RDA에는 여러 대안과 선택사항이 포함되어 있어 규칙을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RDA 적용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LC RDA 지침을 분석하고, 사례로 시카고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스탠포드대학교의 3개 도서관에서 RDA 적용 방안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LC RDA 지침을 바탕으로 RDA 레코드를 작성하였으나 각 기관별로 특정 지침을 만들어 적용하였다. 즉 책임사항 기술시 모든 창작자를 기술하는 것뿐만 아니라 첫 번째 창작자만을 기술하도록 예외조항을 두었다. 발행사항에서 도서관에 따라 일부는 260 필드를 일부는 264 필드를 사용하였다. 자원유형 기술에서 33X 필드를 거의 모든 도서관이 입력하였으며, 일부 도서관은 RDA로 구축되지 않은 레코드에 대해 GMD와 33X 필드를 모두 기술하였다.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도서관에서 RDA 적용시 고려할 사항으로 첫째, RDA 규칙 및 LC RDA 지침을 준용하되, 기관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변형 적용해야 한다. 둘째, 반입한 레코드 중 RDA 서지레코드가 아닌 경우 최소한의 RDA 요소를 입력하는 하이브리드레코드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33X 필드에 다양한 자원유형 용어가 기술되는 만큼 효과적인 이용자 화면 출력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It is necessary to find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applying RDA in building up the bibliographic records by importing RDA records from LC or OCLC in Korea. Especially, it is not easy to apply RDA appropriately because there are many alternatives and options in RDA. Therefore, this study is to grasp the way for applying RDA in building up the bibliographic records by reviewing LC RDA guidelines and analyzing RDA cataloging policies of libraries such as University of Chicago,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nd Standford University. As a result, these libraries have catalogued according to LC RDA guidelines and each library has its own guidelines, i.e., in statement of responsibilities, to transcribe all but exceptionally allow to transcribe only first, in publication statement, to use 264 field or 260 field, and in resource types, to transcribe all types of content, media and carrier or to transcribe 33X with GMD. Therefore followings would be considered for RDA application. First, some variations could be allowed for special situations of libraries in applying RDA and LC RDA guidelines. Second, the hybrid records that describe the core element of RDA to non-RDA records would be written in processing AACR2 to RDA. Third, the display of 33X field would be designed for expressing the resource types.

305
김영곤(경남대학교) ; 오창규(경남대학교) 2011, Vol.28, No.3, pp.197-217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197
초록보기
초록

웹 접근성이란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들이 차별없이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153개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를 살펴보고, 웹 접근성 확보를 위한 관련 법 제도와 이를 준수하기 위한 효과적인 실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태조사는 2단계로 실시되었다. 1차적으로는 153개 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의 일반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 2.0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점검항목별 상세 점검은 1차 평가에서 준수율이 100%라고 판단된 19개 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에 대해 국한하였다. 평가 결과 국내 대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웹 접근성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사이트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국내 대학 도서관에서 KWCAG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결과를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음성 서비스, 화면 확대 축소, 하이라이트 기능과 같은 기본 요구사항을 우선적으로 그리고 거의 모든 콘텐츠에 실천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Abstract

Web accessibility refers to the practice of providing equal access to web sites to people without and with disabil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eb content accessibility of 153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further suggest the approach to implement an effective university library web site to meet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KWCAG).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steps. The first step was to find out the general level of web accessibility of all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using an automatic appraisal tool, KADO-WAH2.0, and the detailed examination of web accessibility check items was limited to 19 web sites which proved excellent in automatic appraisal. Regretfully, the result says that there is no perfect web site. Therefore every university library is advisable to make good use of the findings to meet all the requirements of KWCAG. In particular, the basic requirements, such as voice service, resizing and highlighting text, must be fulfilled by priority and to almost all contents.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사서교사가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는 데 필수적인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사서교사의 정보이용교육에서 중요한 영역이 평가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사서교사의 교육 활동은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다만, 초·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에 평가 영역이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이에, 사서교사가 실시하는 정보이용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의 개발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평가 방법과 도구는 평가이론과 목표준거에 입각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본고의 최종적인 목적은 현장 사서교사들이 수행평가이론과 목표준거를 바탕으로 정보이용교육을 위한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 도구, 사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bstract

This thesis presents the methods and tool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as final stage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teacher-librarians. The evaluation is an important part i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teacher-librarians in the school libraries. But until now, there is little research on evaluation methodologies in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of teacher-librarians. There is only evaluation domain presented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as a base for measuring performance assessment related to teacher- librarians is important.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teacher-librarians with basic principles to develop many kinds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in their own instructional activities.

307
김신영(숭의여자대학) ; 이창수(경북대학교) 2004, Vol.21, No.2, pp.45-67 https://doi.org/10.3743/KOSIM.2004.21.2.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쇄잡지 중심의 소장 패러다임 대 전자잡지 위주의 접근 패러다임이 대립하는 상황에서 대학도서관의 하이브리드형 학술지 수집정책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평가요소를 분석하여 한국적 실정을 고려한 외국 학술지의 평가모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학술지 수집규모 상위 40개 대학도서관의 외국학술지 선정과정에서 예비평가지표(인쇄형 27개, 전자형 37개)의 적용도를 조사하고, 그 데이터를 다양한 통계적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인쇄학술지 평가지표의 요인별 상대적 중요성은 응답 평균값으로 산출하였는데 그 결과는 학과당 구독종수, 이용도, 선정권한, 전자학술지 구독조건, ISI 영향지수, 국제성과 지명도, 구독가격, ILL/DDS, 수장공간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자학술지는 구독가격, 접근성, 전자학술지 구독조건, 컨소시엄, 선정권한, 접근확장성, 학과당 구독종수, 대학의 학문적 특성, ISI 영향지수, ILL/DDS, 국제성과 지명도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selection of journal suggested by scholars and organizations and to prepar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ideal model to meet opposing paradigms of collection management in academic libraries. A web survey method was employed to investigate applications of various selection criteria (27 for printed and 37 for electronic academic Journal) from the top 40 academic libraries in Korea. In addition,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Spearman's Rank Oder Correlation. The mean ranking for 9 evaluation indicators for printed were as follows: subscribing volumes per departments, degree of use, selection authority, electronic/print bundle, ISI impact factor, Internationality and reputation, costs for subscription, ILL & DDS, space considerations for printed materials. But, 11 evaluation indicators for electronic were as follows: costs for subscription, accessibility, electronic/print bundle, consortia, selection authority, access expandability, subscribing volumes per departments, scholarly features of the university, ISI impact factor, ILL & DDS, internationality and reputations.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정보기술의 발전과 디지털화로 도서관의 정보 네트워크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도서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관심과 이용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와 응용환경을 고찰하고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을 위한 컨텐츠서비스 및 컨텐츠관리 방안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환경의 변화에는 정보기술의 영향이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며 이용자의 정보요구가 다양한 유형의 자원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의 활용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ization in these days, information network of library has been accomplished rapidly. The use and concern on Multimedia contents are increasing in the digital library based on information network.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definition of Multimedia contents and analysed the contents services and contents management for the use of Mulimedia contents in digital library. As a result, the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important for changing of information environment. Moreover, the multimedia which are resources whose information demand of the user is various contents with it is changing the possibility of knowing it was with application.

309
유병희(덕성여자대학교) ;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2016, Vol.33, No.4, pp.159-174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관계 마케팅 분야의 핵심 개념인 전환비용을 도서관 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 및 면접 조사에 근거하여 대학 도서관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전환비용을 정의한 후, 전환비용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210명의 대학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이들이 지각하는 전환비용이 도서관에 대한 태도적, 행동적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도서관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전환 비용은 이용자가 사용 중인 도서관에서 다른 도서관으로 전환하는 경우 발생하는 절차적, 관계적 비용으로 정의되었다. 조사 결과, 절차적 전환비용 및 관계적 전환비용은 이용자 만족도와 함께 정서적 몰입을 통해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 of switching costs to the library contex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ibrary users’ perceived switching costs,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scale for switching costs. A survey involving 210 university student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witching costs on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Library users’ perceived switching costs refer to the procedural and relational costs involved in switching from one library to an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wo types of switching costs as well as library service satisfaction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ffective commitment, which in turn affects behavioral commitm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310
황금숙(대림대학교) ; 이영숙(상명대학교) 2012, Vol.29, No.4, pp.25-4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025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에서는 실업률 증가와 지역사회 정신보건 문제 등 총체적인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서 도서관 서비스에 불만을 품거나 이상행동을 하는 이용자들이 도서관으로 유입되면서 많은 문제행동을 일으키고 있다. 일부 이용자의 문제행동은 다른 이용자의 이용만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서관직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서비스의 불만족과 이로 인한 도서관 조직에 악영향을 끼치며 전반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고, 친절하고 품위 있는 공공서비스 문화의 선진화를 촉진하기 위여 국가 및 공공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응대서비스 문제점 및 문제이용자 현황과 응대서비스 매뉴얼 개발에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일반이용자 및 문제이용자 응대서비스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Abstract

Recently libraries are experiencing an increasing number of difficult patrons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problem of mental health in their communities. The problem behaviours of difficult patrons have negative influence to other users and staff in the library. This seem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cline in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y staff to meet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and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library services for both general users and difficult patron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