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이란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들이 차별없이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153개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실태를 살펴보고, 웹 접근성 확보를 위한 관련 법 제도와 이를 준수하기 위한 효과적인 실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태조사는 2단계로 실시되었다. 1차적으로는 153개 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의 일반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 2.0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점검항목별 상세 점검은 1차 평가에서 준수율이 100%라고 판단된 19개 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에 대해 국한하였다. 평가 결과 국내 대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웹 접근성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사이트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국내 대학 도서관에서 KWCAG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결과를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음성 서비스, 화면 확대 축소, 하이라이트 기능과 같은 기본 요구사항을 우선적으로 그리고 거의 모든 콘텐츠에 실천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Web accessibility refers to the practice of providing equal access to web sites to people without and with disabil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eb content accessibility of 153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further suggest the approach to implement an effective university library web site to meet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KWCAG).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steps. The first step was to find out the general level of web accessibility of all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using an automatic appraisal tool, KADO-WAH2.0, and the detailed examination of web accessibility check items was limited to 19 web sites which proved excellent in automatic appraisal. Regretfully, the result says that there is no perfect web site. Therefore every university library is advisable to make good use of the findings to meet all the requirements of KWCAG. In particular, the basic requirements, such as voice service, resizing and highlighting text, must be fulfilled by priority and to almost all contents.
강순희. (2005). 서울시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237-258.
김용섭. (2010). 국내 종합병원의 웹 접근성 실태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1(3), 87-103.
김종업. (2009). 영국의 웹접근성 문제와 대응.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56, 64-67.
노석준. (2009). 웹 접근성 준수로 장애인과 고령자도 더불어 사는 "장애 없는 디지털 세상" 실현. 지역정보화, 56, 50-55.
문태은. (2008). 국내 사이버대학교 웹사이트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지능정보연구, 14(2), 137-156.
문형남. (2009).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웹 접근성 평가 : 국내외 주요 포털의 e메일 서비스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0(1), 291-312.
박성제. (2010). 매뉴얼 평가를 통한 한국과 미국 신문사 웹 사이트 접근성의 비교 분석.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9(2), 143-154.
방송통신위원회.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한국정보통신표준 KICS.OT-10.0003/R1).
신현식. (2007). 국내외 언론사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473-476).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이명무. (2009). 정부기관의 웹사이트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인도연구, 14(1), 1-22.
이양규. (2005). 국내 주요 웹 사이트의 접근성에 관한 분석.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2(4), 33-44.
이지선. (2007). 국내 사이버대학 콘텐츠의 웹 접근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7(4), 224-233.
한국정보화진흥원. 웹 접근성 점검 매뉴얼.
현준호. (2006). 국내외 금용 사이트의 웹 접근성(accessibility) 실태에 관한 연구 (336-342).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홍순구. (2006). 한국과 미국 정부기관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한 자동화 평가 도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1(1), 38-48.
Green, R. A. (2009). Web accessibility and accessibility instruction. Journal of Access Services, 6, 116-126.
Hackett, S. (2005). A longitudinal valuation of accessibility: Higher education web sites. Internet Research, 15(3), 281-294.
Haper K. A. (2008). A Quest for website accessibilit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1, 160-164.
Lewis, K. (2007). Accessibility of instructional Web sites in higher education. EDUCAUSE Quarterly, 30(3), 29-35.
Loiacono, E. (2004). Charity begins at the homepage: Providing access to the Web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3, 470-485.
Thatcher, L. (2006). Constructing Accessible Web Sites:Apress.
Williams, R. (2005). UK hotel Web page accessibility for disabled and challenged users.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15(3), 255-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