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rs, 검색결과: 428
301
이다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용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9, Vol.36, No.4, pp.161-18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161
초록보기
초록

사람들은 청소년기에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며, 청소년들은 성에 관한 민감한 건강정보 탐색을 위해 접근이 편하고 익명성이 보장된 지식검색 커뮤니티를 자주 이용한다. 본 연구는 지식검색 커뮤니티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성 정체성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바탕으로 그들의 정보탐색 행태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들의 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이 공유한 질문에 제공된 답변들 가운데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의 특성을 비교하여 청소년들이 어떠한 답변을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지식검색 커뮤니티인 네이버 지식iN에서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3년간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으로 구성된 총 358세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 정체성에 관한 고민을 가진 청소년들은 성 정체성에 대한 정의나 혼란에 관한 정보 요구가 많았다. 이용자들이 채택한 답변에는 공감 및 긍정적인 느낌을 주는 요인들이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 비해 많았으며, 반면에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는 부정적인 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이 가진 정보 요구와 정보탐색 행태를 분석하여 정보탐색 분야의 논의를 확장하고 건강정보 이용자의 정보 평가에 이용되는 인지적 및 감정적 모델을 검증했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제공해야 할 성 정체성에 관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안한다.

Abstract

People begin to recognize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identity in adolescence, and adolescents frequently use an accessible and anonymous anonymity knowledge retrieval community to explore sensitive health information about gender.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thei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based on questions and answers about adolescents’ gender identity in the knowledge retrieval community. First, we wanted to examin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o investigate what factors they preferred to answer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swers adopted with the non-adopted answers among the answers provided in the questions they shared. To this end, Naver, Korea’s representative knowledge search community. In Knowledge-iN, a total of 358 sets of data were analyzed, consisting of responses adopted over three year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As a result, adolescents with concerns about gender identity demanded information about definition or confusion about gender identity. In the responses adopted by the users, the factors that gave empathy and positive feelings were higher than those that were not adopted, whereas the negative responses were higher in the unaccepted ans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no established gender identity, expands the discussion in the information search field, and confirms cognitive and emotional models for information evaluation of health information users. Also,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on gender identity that social media should provide to young people.

302
조찬식(동덕여자대학교) 2011, Vol.28, No.3, pp.275-293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275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과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포털서비스가 점점 일상화, 대중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정보의 제공과 유통을 담당하는 도서관이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포털서비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국가디지털도서관인 디브러리 포털서비스를 메인포털, 지역정보, 정책정보, 다문화정보, 장애인정보, 디브러리 블로그로 나누어 그 구성과 콘텐츠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브러리 포털서비스를 더욱 확산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디브러리 포털서비스의 최신성, 정확성, 유용성과 이용용이성, 홍보와 진흥 등이 강조되었다.

Abstract

Due to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formation environment, portal services, including library service, which systematically provides information needed on the Internet have become popular in our daily lives. In light of that, this study, in order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portal services, examines and analyzes Dibrary, the National Digital Lirary, portal services including main portal, regional information, policy information, multicultural information, the information for the handicapped, and the Dibrary blogs. Accordingly, the emphasis has been put on decency, accuracy, usefulness/user-friendliness, and publicity/promotion for the diffusion and activation of Dibrary portal services.

303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장윤미(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3, pp.79-97 https://doi.org/10.3743/KOSIM.2012.29.3.0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2개 국가도서관과 9개 지역대표도서관, 서울시립정독도서관을 대상으로 담당 사서들의 도서기호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점을 조사하고 각 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서기호의 현황을 분석하여 도서기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기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서기호의 중복으로 인해 길어지는 도서기호의 길이로 나타났으며 도서기호 현황 분석을 통해 도서기호의 중복과 함께 직관성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 친화적이면서 간단하게 부여할 수 있는 저자명순과 연대순 방식을 조합한 새로운 도서기호법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ssigning book numbers and the perceptions of librarians who assign the book numbers at two National Libraries, nine Regional Central Libraries and Jeongdok Public Library in Korea. Based upon the analysis, a better method to assign book numbers for the libraries was suggested.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e length of the book numbers due to the duplication of book numbers and lack of intu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user-oriented way of assigning book numbers based upon combining the name of the author and the year of the publication.

304
김나원(연세대학교 의학도서관 사서)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6, Vol.33, No.1, pp.161-180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16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Physicians have information needs related to academic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but encounter difficulties seeking appropriate medical resources and inform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arch system to support Korean physicians’ information needs. To access sources to meet the identified ne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MediSearching, a new search system, was developed accordingly. To verify its usefulness and to obtain users’ sugges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feedback was solicited via collected test searches. The initial set of interviews indicated that physicians’ information needs and search behaviors differed by type of hospital and clinical department. Physicians in university hospitals with a greater need for research materials searched for academic articles, whereas physicians in specialty hospitals or primary care clinics with a stronger need for materials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asked their colleagues for information. Consequently, MediSearching was designed to satisfy both groups’ needs, and the test search provided useful search results compared with existing services. Korean physicians have previously had to repeat their search process on separate sites that provide different services according to type of information and search method. MediSearching may reduce this inconvenience and add documents in various formats and languages.

305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 윤소영(한성대학교) ; 박지영(한성대학교) ; 황혜경(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재훈(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이혜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9, Vol.36, No.3, pp.203-228 https://doi.org/10.3743/KOSIM.2019.36.3.2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KISTI 콘텐츠 큐레이션 센터의 업무를 중심으로 콘텐츠 라이프 사이클에 맞는 큐레이션 모델인 KISTI CLCM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앞서 개발된 모델 DCC, DCC&U, UC3, DCN 모델 등을 살펴보고, 디지털 큐레이션 센터의 업무와 연결되는 모델들의 장점을 도출하였다. KISTI 콘텐츠 큐레이션 센터의 업무담당자들과의 집단 면담을 통해 센터에서 다루는 콘텐츠의 특징을 파악하고 현 업무의 성취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UC3 모델을 기반으로 KISTI 콘텐츠 큐레이션 웨이브를 개발하여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발굴하고 디지털 자원에 새로운 가치를 추가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KISTI CLCM, a curation model suitable for the content life cycle, focusing on the KISTI Content Curation Center. For developing the KISTI Curation Model, the previously developed models DCC, DCC&U, UC3 and DCN models were reviewed and the advantages of the models connected to the mission and tasks of the digital curation center were derived. Interviews with staffs of the KISTI Content Curation Center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nd identified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current task.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o enhance usability by developing KISTI content curation waves based on the UC3 model to discover user-centered services and add new values to digital resources.

306
김용(전북대학교) ; 김은정(KT 혁신 기획실) 2009, Vol.26, No.2, pp.27-41 https://doi.org/10.3743/KOSIM.2009.26.2.02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With explosive growth in the area of the Internet and IT services, various types of digital contents are generated and circulated, for instance, as converted into digital-typed, secure electronic records or reports, which have high commercial value, e-tickets and so on. However, because those digital contents have commercial value, high-level security should be required for delivery between a consumer and a provider with non face-to-face method in online environment. As a digital contents, an e-ticket is a sort of electronic certificate to assure ticket-holder’s proprietary rights of a real ticket. This paper focuses on e-ticket as a typical digital contents which has real commercial value. For secure delivery and use of digital contents in on/off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at 1) how to generate e-tickets in a remote e-ticket server, 2) how to authenticate a user and a smart card holding e-tickets for delivery in online environment, 3) how to save an e-ticket transferred through network into a smart card, 4) how to issue and authenticate e-tickets in offline, and 5) how to collect and discard outdated or used e-tickets.

307
황상규(국방연구원) ;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 윤세진(엔피아 시스템즈) 2002, Vol.19, No.2, pp.159-179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159
초록보기
초록

웹 정보체계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정보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인터넷 정보를 기술하고 있는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 표준들간의 상호운용성 문제가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FLA의 FRBR, INDECS, ABC 모델 등의 상호연동 모델들을 비교·분석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연동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상호운용성 모델을 개발, 제안하였다. 리소스모델의 기본·메타데이터 항목 요소들로부터 중심이 되는 개체(core entity)와 이와 연관된 주요 사건(core event)들을 식별하고. 이를 리소스중심 중간모델과 이벤트중심 중간모델로 변환(swapping)하는 과정을,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이들 모델간 전환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Dublin Core, MARC. IFLA-FRBR user communities are develop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escribing textual, physical and audiovisual resources to enable their resources discovery over the Internet. Therefore the metadata interoperability Problem has been exacerbated by the need for more complex metadata descrip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chanism for metadata interoperability based on the new semantic web applications : IFLA-FRBR framework, INDECS metadata and an event-aware ABC model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approach method which is essential to the generation of interoperable metadata description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multimedia contents.

초록보기
초록

야후 앤서(Yahoo! Answers)와 네이버 지식인과 같은 지식 검색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지만 일반인 답변자들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 노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야후 앤서에서 활동하는 44명의 일반인 답변자들과의 이메일, 채팅, 전화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이용하는 정보원,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한 전략, 그리고 자칭 전문성(self-claimed expertise)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인을 효과적인 정보제공자로 교육시키는 이용자 교육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popularity of question answering communities such as Yahoo! Answers and Naver Knowledge-iN and increasing doubts about the competence of lay information providers prompted this study to explore answerers' strategies to provide a credible answer in a question answering community. Forty-four active answerers in Yahoo! Answ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email, chat, and over the telephone. This study identified a set of information sources the answerers used, an array of important strategies to provide a credible answer, and their perception of self-claimed expertise. Implications of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user instruction.

309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김선미(이화여자대학교) 2007, Vol.24, No.1, pp.147-164 https://doi.org/10.3743/KOSIM.2007.24.1.1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형태의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연구보고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학술자료를 저장, 배포, 관리하는 학술 기관 레포지터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이용자, 연구자, 학회기관 등을 위한 부가 서비스 페이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사례조사 및 이화여자대학교 학과교수 홈페이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부가 서비스 페이지 구성에 필요한 기능 및 요소 등을 도출하였다. 제안하는 부가 서비스 페이지의 도입은 연구자들의 기관 레포지터리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저작물을 제출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관 레포지터리 활성화를 도모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dditional service pages for users, researchers, institutions to activate academic institutional repository which captures, disseminates, and manages various academic resources, i.e. theses, dissertations, journal articles, research reports, and so on.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site analysis on the current homepages of Ewha Womans University faculties & institutions. As a result, components and functions of additional service pages such as researchers' pages are suggested. Additional service pages will be made it possible for researchers to submit their products willingly and for academic institutional repositories to activate their services and improve content recruitment in the end.

310
김현희(명지대학교) ; 구내영(한국경제연구원) 2002, Vol.19, No.2, pp.131-158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1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 연구와 국내외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맞춤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MyCyberLibrary의 모형을 설계한 후 이를 평가하여 좀 더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MyCyberLibrary 모형은 최신정보제공서비스, 전자저널/e-book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컬렉션 관리, 프로젝트 관리, 전자지정자료 관리, 도서관 정보서비스 관리, 파일통합 관리, 저작권 관리의 총 9개 서브시스템들로 구성된다. 또한 모형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성하여 4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시스템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providing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of high quality with clients, by designing the model of MyCyberLibrary and evaluating it. The model of MyCyberLibrary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n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users and on the review of the existing mylibraries′functions. The model is implemented into the prototype system which consists of nine modules. Finally, we evaluated the proposed system via mail questionnaires, and proposed three suggestions to make this system a much mor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on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