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rs, 검색결과: 428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정보기술의 발전과 디지털화로 도서관의 정보 네트워크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도서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관심과 이용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와 응용환경을 고찰하고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을 위한 컨텐츠서비스 및 컨텐츠관리 방안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환경의 변화에는 정보기술의 영향이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며 이용자의 정보요구가 다양한 유형의 자원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의 활용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ization in these days, information network of library has been accomplished rapidly. The use and concern on Multimedia contents are increasing in the digital library based on information network.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definition of Multimedia contents and analysed the contents services and contents management for the use of Mulimedia contents in digital library. As a result, the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important for changing of information environment. Moreover, the multimedia which are resources whose information demand of the user is various contents with it is changing the possibility of knowing it was with applica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국 도서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실시간 정보서비스를 소개하고 13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로는 AOL Instant Messenger, Conference Room from WebMaster, LivePerson 등의 순이었으며 이용시간대는 주로 일반 참고봉사 업무시간과 비슷한 곳이 많았고 이용자는 주로 해당대학 및 회원기관의 학생 및 교직원, 졸업생들로 제한하고 있으며 일부 도서관에서는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미국 의회도서관 실시간 참고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한 결과 즉각적인 해답을 얻을 수 있고, 사서와 인터액티브 방식으로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참고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paper outlines the concept of real time reference service(RTRS). Then, it analyzes real time reference service in the 13 libraries for effective reference service. As a result, the most used software was AOL instant Messenger, followed by Conference Room from WebMaster, and LivePerson. Hours of service was generally same as reference desk hours. The users were Students, faculty, staff, and alumni,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how the RTRS in LC works. The results showed that real time reference was able to response to patrons quickly for reference questions with interactive method.

313
김아현(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승민(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Vol.40, No.3, pp.55-76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0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주제가이드 개발 및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대학도서관의 주 이용자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학술정보 탐색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자신의 주관적 정보탐색능력 수준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나, 구체적인 검색어의 설정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정보 이용 목적은 구체적이며,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모든 정보탐색행위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정보자원 선택 시 신뢰성, 적합성, 최신성을 주로 고려하고 있으며, 대학도서관 및 주제가이드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이에 대한 신뢰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대학도서관에서 주제가이드를 개발하거나 개선할 때는 구체적인 정보탐색 목적에 따른 정보원 분류, 정보자원의 유형별 구성, 정보자원 선택 기준 관련 설명 요소 기술, 종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안내, 주제 키워드 추천, 도서관 마케팅 및 내부 기관과의 긴밀한 협업 관계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cademic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users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derive consider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subject guide of the university libr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iversity students highly evaluated their subjective information seeking ability, but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set specific search terms. The purpose of using academic information is specific,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a tendency to perform all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in one database. In addition, when selecting information resources, reliability, suitability, and recency are primarily taken into consideration. Awareness of university libraries and subject guides was generally low, but their reliability was found to be high.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specific information seeking purposes, the composi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explanatory element technology related to information resource selection criteria, comprehensive database, topic keyword recommendation, library marketing, and close cooperation with internal institutions.

314
이성인(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학생) ; 박지홍(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0, Vol.37, No.1, pp.51-78 https://doi.org/10.3743/KOSIM.2020.37.1.051
초록보기
초록

최근 자기주도적 학습, 평생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구조적, 제도적, 운영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이 자율성 기반의 자기주도적 교육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자율적 내적동기와 같은 미시적인 주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에는 어떠한 유형이 더 중요한지,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와 서비스 품질 인식이 도서관 이용자의 학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예비 연구를 기반으로 서울에 소재한 4개의 고등학교와 2개의 중학교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도서관 서비스 품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소 중 서비스 감성, 정보제어, 도서관 장소를 종속 변수로 각각 설정하였을 때, 네 가지 경우 모두 내재적 동기요인이 외재적 동기요인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을 각각 별도의 대상으로 설정하였을 때에도 두 집단 모두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하였다는 점, 이론을 토대로 구분한 동기 유형의 영향력을 측정하였다는 점, 그리고 학교도서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Recently, the emphasi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school libraries in the curriculum. According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from a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point of view. However, more research is necessary on the micro topics such as school library users’ autonomous intrinsic motivations in the sense that school libraries play key roles in autonomy-based self-directed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what types of school library use motivations are more important and the degree to which the use motivations affect the school library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use motivations and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vary depending on the school grade of the library users. Based on a focus-group-interview pilot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on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motivations on perceived library service quality to 588 students from 5 high schools and 2 middle schools in Seoul. When the service quality and its components, service affect, information control, and library as place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in all these four cases, intrinsic motivations were more significant than extrinsic motivations. In addition, wh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separate analysis target groups, the results of both analyses show that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s were, the higher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wa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applies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o school library service, measures the influence of motivation type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and focuses on micro aspects to improve school library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s IT technology develops rapidly and the personal dissemination of smart devices increases, video material is especially used as a mediu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mong audiovisual materials. Video as an information service content has become an indispensable element, and i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unidirectional delivery through TV, interactive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and audiovisual library borrowing. Especially, in the Internet environment, the information provider tries to reduce the effort and cost for the processing of the provided information in view of the video service through the smart device. In addition, users want to utilize only the desired parts because of the burden on excessive network usage,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sability of the video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summarizing, and indexing similar parts of the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automatically segmenting the shots that make up videos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language education videos and indexing the detailed contents information of the linguistic videos by combining visual features. The accuracy of the semantic based shot segmentation is high, and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summary service of language education videos.

316
김나름(연세대학교) ; 김태수(연세대학교) 2006, Vol.23, No.4, pp.69-87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069
초록보기
초록

소설을 비롯한 문학작품에 대한 접근은 기술요소 중심이었고, 주제접근 역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소재, 인물명, 지명 등 형식 요소에 국한되어 왔다. 이러한 관행은 소설 주제의 본질을 놓친 것이며 미학적 경험을 추구하는 이용자의 주제요구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 주제접근체계의 확장을 위해 상징 및 모티프의 개념과 주제접근점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해당 용어사전을 정보원으로 활용하여 상징과 모티프 체계를 구성하고, 20세기 한국소설에 적용해 이용성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access to literary works, including fictions, has focused on descriptive elements, and the subject access has been confined to denotative elements such as the subject matter, name of character and geographical name, etc, which appear in the work. This practice will not lead to the essence of subject of fiction, and does not reflect the demand of users for the subject who pursue aesthetic experience. In this study, concepts of symbol and motif and their possibility to be used as subject access point are considered to enhance a subject access scheme.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build the scheme of symbol and motif by using the glossary as the source of information. The composed schemes are applied to 20th century Korean fictions and its usability and limits are discussed.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과 정보센터를 둘러싼 환경적인 변화와 함께, 다양한 관리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도서관 업무와 서비스에 적용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하에서 새로운 경영 및 품질개선 기법으로서 6시그마를 도서관에 적용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는 6시그마 기법을 도서관에서 해외 학술정보를 입수하는 과정에 실제 적용하여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조업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었던 6시그마 기법의 하나인 DMAIC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6시그마 기법을 본 연구에서 목표하는 분야에 있어서 높은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Abstract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 they need to develop various management techniques and apply them to library works and services. In this research,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 special library of IT company. This study was aimed for reducing ineffective components and unnecessary processes in library works and services. This study applied the Six sigma technique to improve the process of purchasing overseas academic and strategic information and users' a degree of satisfaction on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the five-step DMAIC(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method, mainly us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get epoch-making improvement.

318
최일영(경희대학교) ; 이용성(경희대학교) ; 김재경(경희대학교) 2010, Vol.27, No.1, pp.25-40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0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하여 K대학도서관의 학술DB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K대학 도서관의 학술DB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문분야별, 신분별, 학문분야 및 신분별 학술DB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임교원의 학술DB 네트워크와 박사과정의 학술DB 네트워크는 특화된 학술DB를 중심으로 강한 결속력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신분의 학술DB 네트워크보다 밀도, 연결정도 집중도 및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pattern between each academic database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support the academic database for users's needs. For this purpose, we have extracted log data to construct the academic database networks in the proxy server of K university library and have analyzed the usage pattern among each research area and among each social posit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pecialized academic database for the research area has more cohesion than the generalized academic database in the full-time professors' network and the doctoral students' network, and the density, degree centrality and degree centralization of the full-time professors' network and the doctoral students' network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ocial position network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의 주요 대학도서관 중 전자정보실 또는 이와 유사한 자료실을 운영하고 있는 5개 대학의 전자정보실을 대상으로 담당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담을 바탕으로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인력과 규모 및 기기관련사항, 운영방법, 수행업무, 운영상의 문제점, 향후의 운영계획 및 장기발전방안에 관련된 현황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과 연구자의 전자정보실 업무수행경험을 바탕으로 전자정보실의 효과적인 운영 및 이용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이 지역대학도서관의 전자정보실 현황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그 실체에 대한 각 주체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하였고, 전자정보실 자체의 종합적인 발전 목표 및 정책이 수립되지 못한 채 단기적인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s and operations of digital information rooms in the five selected university libraries located in Daegu and Kyoungpook area,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personnel, size of the room, facilities, collections, user instructions and public relations, and related tasks being done. It concludes with some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existing practices and the works in the room based 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시개발 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 신축부지선정에 대한 법적 검토사항을 살펴보고, 일반적인 부지특성과 입지기준을 고찰하였다. 또한 전주시를 대상으로 적합한 부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지역주민들의 정보문화활동에 관한 각종 지표 및 통계자료를 조사하였고,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공공도서관 설립 비전과 목적을 수립하고, 부지선정 계획을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 신축부지선정과 지방정부의 도서관정책개발 및 예산확보의 타당성 근거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of site selection for constructing new public library by development of urba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These are legal aspec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of selecting conditions of location for new building. In order to select the suitable site in the Jeon Ju City, the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indices with regard to inform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of the local residents and a statistical data was investigated. And also, a user question investigation was executed. The vision and objectives of establishing new pubic librar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the library policy maker to develope the library policy and to secure a budget from the regional government.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