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비이용, 검색결과: 492
321
박소연(계명대학교) ; 이준호(숭실대학교) 2002, Vol.19, No.3, pp.111-122 https://doi.org/10.3743/KOSIM.2002.19.3.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웹 검색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검색 행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웹 검색 서비스 네이버에서 생성된 검색 트랜잭션 로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 검색 트랜잭션 로그 분석에 필요한 세션 정의 방법을 설명하고 로그 정제 및 질의 유형 분류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한글 검색 트랜잭션 로그 분석에 필수절인 검색어 정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국내 웹 검색 시스템 개발과 서비스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web search users, this study analyzes transaction logs posed by users of NAVER, a major Korean Internet search service. We present a session definition method for Web transaction log analysis, a way of cleaning original logs and a query classification method. We also propose a query term definition method that is necessary for Korean Web transaction log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re effective Web search systems and services.

322
조찬식(동덕여자대학교) 2002, Vol.19, No.3, pp.189-210 https://doi.org/10.3743/KOSIM.2002.19.3.189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에의 접근과 이용의 확산은 인터넷 중독이라는 사회적 병리현상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사회에서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에 비추어, 인터넷에 대한 이해와 중독이라는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구축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인터넷의 보급과 중독의 배경을 살펴본 뒤, 신문기사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특징과 대응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이해의 증진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s the access and the use of internet have been diffused in our daily life, internet addiction has been issued as a social pathological phenomen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structs a theoretical foundation on internet addiction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n internet and on addiction as a social phenomenon; examines the background of internet addiction in Korea; analyzes the cases of internet addiction as reported on newspapers;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s to cope with internet addiction. By so doing,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n internet addiction.

323
윤성희(상명대학교) ; 백선욱(상명대학교) 2004, Vol.21, No.4, pp.251-263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251
초록보기
초록

질의응답 시스템에서의 질의 분석 과정은 이용자의 자연어 질의 문장에서 질의 의도를 파악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고 정답 추출을 위한 정보를 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분류 규칙 집합이나 대용량의 언어 지식 자원 대신 이용자 질의 문장에서 질의 초점 어휘를 추출하고 구문 구조적으로 관련된 단어들의 의미 정보에 기반하여 효율적으로 질의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질의 초점 어휘가 생략된 경우의 처리와 동의어와 접미사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 유형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도 제안한다.

Abstract

For question-answering system, question analysis module finds the question points from user’s natural language questions, classifies the question types, and extracts some useful information for answer. This paper proposes a question type classifying technique based on focus words extracted from questions and word semantic information, instead of complicated rules or huge knowledge resources. It also shows how to find the question type without focus words, and how useful the synonym or postfix information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classifying module.

324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윤정원(University of South Florida)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7, Vol.34, No.1,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07
초록보기
초록

학술 커뮤니티 내에서 논문의 인용은 보편적인 규범으로 자리 잡은 데 비해 데이터의 인용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기되고 있는 데이터 인용의 필요성 및 원칙과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데이터 인용체계 구축 사례에서는 데이터 인용 요소들을 정의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DataCite, Dataverse Network, Data Citation Index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종합사회조사 데이터 인용 분석을 통해 국내 데이터세트 인용/이용 정보 제공 실태를 조사하였다.

Abstract

Data citation remains in its infancy, although providing the citation to a journal article is a typical norm in an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for data citation, its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issue.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cases that established data citation mechanism, including DataCite, Dataverse Network and Data Citation Index that define elements of data citation and provide relevant services. At the end, it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data cit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itations to dataset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중심의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과 세부 역량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데이터, 정보, 디지털 리터러시 등의 관련 연구를 비교․분석하여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의하고, 인문학 관련 개념으로 디지털 인문학 주요 개념을 연계하여 11개 항목의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의 기본 요소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데이터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설계의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its detailed competencies based on humanities focused on LIS. To do this, we define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searches related data literacy, data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domestic and foreign. And we design the basic 11 elements of data literacy based on digital humanities concep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when design henceforward data literacy framework.

326
최보윤(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2015, Vol.32, No.3, pp.131-154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131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 관점에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품질 평가는 시간의 흐름과 정보기술과 같은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도서관은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새로운 환경에 필요한 개선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LibQUAL+ 서비스 품질 평가 결과의 변화와 경향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도서관 각각 1개관을 선정하였다. 캐나다 맥길대학교 도서관은 6년간 누적된 LibQUAL+결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A대학은 2012년 결과와 본 연구에서 수행한 2015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방사형 차트, 막대 차트, 그래프를 이용하여 LibQUAL+ 22개 항목, 3개 차원에 대한 이상 기대치, 실제 인식치, 최소 기대치와 적정성 갭, 우수성 갭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연도별,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수준의 변화 및 기대수준에 있어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A대학의 분석결과는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도서관의 기대수준이 향상되었으나 이에 반해 인식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이용자의 집단(학부생, 대학원생)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서비스는 직원, 자원, 시설 차원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며, 개별 이용자 그룹에 특화된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Users tend to perceive differently the service quality of library depending on the advance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mulative results of LibQUAL+ in order to identify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library services.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results of LibQUAL+ and demonstrate the trends and changes for the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university librar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library of McGill University in Canada was selected with the six years’ results of LibQUAL+. Another library located in Seoul was selected with the 2012 result of LibQUAL+ and a new LibQUAL+ in 20015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ree dimensions and 22 items in terms of circular chart, bar chart, and graph.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erms of years of LibQUAL+ survey and user groups with undergraduate/graduate students in three dimension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A library showed that users were likely to expect more from the university library, but they perceived low service quality. In addition, there was found considerable differences among users groups in term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e improvements for library services need to focus on three dimensions such as staff, resources, and facilities as well as customized services for individual user groups.

327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노지윤(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 장인호(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고재민(수원대학교 건축도시부동산학부 건축학과 부교수) ; 강정아(제천기적의도서관 관장) 2024, Vol.41, No.1, pp.241-26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지역 여건을 조사하고, 전국 공공도서관과 주요 대표도서관의 소장 자료 현황, 이용 현황, 직원 수, 프로그램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을 위한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충북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하는 사명은 “지식과 문화의 교차로, 도민의 삶과 동행하며 함께 성장하는 도서관”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regional conditions of Chungcheongbuk-do and the status of collections, usage, staff, and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and major representative libraries. Based on this, a SWO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vision, goal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missio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is presented as “The library that grows alongside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intersecting knowledge and culture.”

328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Vol.28, No.1, pp.221-235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2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현황을 살펴보고, 정보조직 패러다임 및 목록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도입 및 조직과 최근 정보자원 조직의 동향을 살펴보았고, 디지털콘텐츠 구축 건수 상위 30개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앞으로 전자자원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접근성을 강화하여 이용자들에게 확장된 목록의 기능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 of electronic resources in the academic libraries and to explore the changes of paradigm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It reviewed how academic libraries have acquired and organized electronic resources. It also investigated the library home pages of 30 academic libra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category of electronic resources, metadata, and linkage methods with various material types such as printed resources and theses. To perform extended functions of library catalogs, it is essential for academic libraries to manage the metadata of various resources together and provide enhanced access and linkage of related resources.

329
남태우(중앙대학교) 2010, Vol.27, No.1, pp.289-319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289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ALA 인증 문헌정보학교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ALA 인증위원회로부터 인증받은 석사과정 문헌정보학교는 57개교이다. 57개교가 기본 데이터이며, 이 정보원을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개교 연대, 개교시 학문명칭, 어떤 시기에 학과가 가장 많이 개설되었는지, 학문의 개정명칭, 어떤 학위과정의 프로그램 등이 개설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결과를 한국의 문헌정보학의 교육의 향상성과 그 방향을 결정하는데 타산지석으로 삼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Council of the ALA has designated Committee on Accreditation to be responsible for the execution of the accreditation program of the ALA and to development and formulate standards of education for graduate progra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leading to master's degree. The vast majority of employers require an ALA-accredited master's degree for professional position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refore, graduating from an ALA-accredited program enhances your career mobility and provides greater flexibility in the types of jobs for which you qualify. ALA-accredited master's programs can be found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Puerto Rico.

330
전정현(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0, Vol.27, No.3, pp.67-82 https://doi.org/10.3743/KOSIM.2010.27.3.067
초록보기
초록

근세이전의 역사자료를 정보원으로 하는 역사정보시스템은 자료의 형태적, 내용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정보시스템과는 차별화된 추가적인 정보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며 이는 이용자의 입장에서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기초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온라인 역사정보 서비스의 다양성을 분석하는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제시한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국내외 역사정보서비스의 제공현황과 이용현황을 조사하고,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이용자 중심의 역사정보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comparison to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typical information systems, the historical records from the period before the modern times require additional information services to reflect the format and content oriented peculiarities of the data. The additional services also need to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users' information needs. For this study, a series of literature reviews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specific analysis criteria for the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domestic and foreign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and use statu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users' information needs were identified and user-based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generat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