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서비스의 가치, 검색결과: 38
31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태영(전북대학교) ; 두효철(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7, Vol.34, No.4, pp.81-9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4.081
초록보기
초록

기술문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생성되는 중요 연구 성과물로,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 요약 및 정보추출과 같은 개선된 정보 처리 방법을 토대로 기술문서 활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문서의 핵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술문서의 구조와 정의문 패턴을 기반으로 전문용어 및 정의문을 자동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전문용어사전을 지식메모리로서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용어사전에 기반한 개인화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전문용어 및 정의문 자동추출을 기반으로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하게 되면 새롭게 등장하는 전문용어를 빠르게 수용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최신정보를 보다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더불어 개인화된 전문용어사전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면 전문용어사전의 가치와 활용성, 검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bstract

Technical documents are important research outputs generated b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 order to properly use the technical documents proper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advance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summarization and information extraction. In this paper, to extract core information, we automatically extracted the terminologies and their definition based on definitional sentences patterns and the structure of technical documents. Based on this, we proposed the system to build a specialized terminology dictionary. And further we suggested the personalized services so that users can utilize the terminology dictionary in various ways as an knowledge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low users to find up-to-date information faster and easier. In addition, providing a personalized terminology dictionary to users can maximize the value, usability, and retrieval efficiency of the dictionary.

초록보기
초록

폭발적인 디지털콘텐츠의 성장과 함께, 지식과 정보를 중계하고 유통시키는 조직으로서 도서관과 정보센터는 지식소유자와 이용자사이에서의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정보화사회에서 무형의 정보와 지식에 경제적인 가치가 더하게 되므로서 전자지불시스템은 이러한 중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웍상에서 디지털콘텐츠를 전자적으로 사고 팔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보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지식중계시스템(전자도서관)은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인터넷을 통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디지털콘텐츠를 입수 및 구매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정보의 공유와 개방을 목표로 개발된 인터넷이 갖고 있는 기본적인 취약성 때문에 거래내용, 신용카드정보, 은행계좌정보, 혹은 관련 비밀번호, 사용자정보 등의 중요정보들이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과 같은 개방망에서의 전자거래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증시스템과 관련된 암호관련 기술을 살펴보고 보다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고려되고 있는 스마트카드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온라인상의 전자거래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사용자와 스마트카드에 대한 인증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개방형 네트워크상에서의 스마트카드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중계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및 스마트카드에 대한 동시적 다중인증 및 암호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Abstract

With explosively increasing digital content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should have a new role between knowledge providers and knowledge users as information brokering organization.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should be required for performing this brokering service since economic value is added to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s and changes around library are keeping up with increasing building digital library and digitalizing printed sources. With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the Internet is currently witnessing an explosive growth. By serving as a virtual information resource, the Internet

33
최예진(연세대학교 대학도서관발전연구소 전임연구원) ; 김초해(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Vol.40, No.3, pp.163-196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163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은 외부적으로는 도서관의 역할과 발전 방향에 대한 명시적인 선언이자 내부적으로는 도서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침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발전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국제적, 국가적 환경에 대한 이해, 개별 대학과 대학구성원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국제 환경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사례를 조사하고,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그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해외 대학도서관에서는 ‘협업’, ‘컬렉션 개발 및 구축’, ‘연구지원’이라는 키워드를 주축으로 다양한 전략과 세부 계획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발전계획 내 대학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가치의 구체적 명시, 문화적 다양성성과 형평성, 포용성 등의 핵심가치의 중요성 인식, 대학도서관 내외부의 파트너십 및 협업의 중요성 인식, 경영 목적 달성의 도구로서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 has external importance as it explicitly declares the library’s role and development direction. Internally, it is also a library service guideline. To develop the development plan, libraries must understand the trends and needs of international, national, and affiliating universities and their constituents. Accordingly, this research includes case, content, and network analyses of foreign academic libraries’ development plans to identify the trends. The analysis results show most foreign academic libraries employed various strategies and plans,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collaboration,’ ‘collec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support.’ Consequently, we propose the following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an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 specification of mission, vision, and core values; recognition of core values such as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of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with other units within the universities and external organizations; and utilization of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s as tools for achieving management objectives.

34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장로사(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2019, Vol.36, No.4, pp.53-8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053
초록보기
초록

IFLA의 UN 2030 Agenda,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서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의 역할을 강조함에 따라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공공서비스기관으로서 도서관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 적합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의 검증단계로서 FGI 및 델파이기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지표는 총 3개의 평가영역, 총 12개의 평가항목, 총 30개의 평가지표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접근 평가영역에서는 3개의 평가항목, 8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으며, 둘째, 역량 평가영역에서는 5개의 평가항목, 12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고, 셋째, 활용 평가영역에서는 4개의 평가항목, 10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범지구적으로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가 전무한 상황에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그 의미와 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3rd Library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2019-2023) of the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under IFLA-UN 2030 Agenda emphasize the role of libraries in practicing social inclusion. At home and abroad, this is shedding new light on libraries as the public service institutions aimed at resolving information inequality. This study thus developed the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 optimized for libraries. For this purpose, FGI and Delphi technique were implemented as the verification stage of the expert group. As a result, the final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ree evaluation areas, twelve evaluation items, and 30 evaluation indicators. Specifically, first, 3 evaluation items and 8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access evaluation area; second, 5 evaluation items and 12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competency evaluation area; and third, 4 evaluation items and 10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utilization evaluation area.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s optimized for libraries were developed, the first of its kind.

35
김희섭(경북대학교) ; 박용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4, Vol.21, No.4, pp.153-171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153
초록보기
초록

정보시스템 효과측정은 시스템 운영과 투자에 대한 가치와 효율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며, 이를 위한 방법 중의 하나는 이용자 만족지수 측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적정한 모형을 제안하고 개발된 모형을 사용하여 이용자만족지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마케팅 분야와 정보시스템 분야의 대표적인 이론들과 모형들을 근간으로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 측정모형을 제안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모형은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시스템품질, 이용자만족의 네 가지 기본적인 차원과 이용자충성도와 이용자불평의 두 가지 부가적인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모형을 사용하여 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인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 기술정책정보단에서 운영되고 있는 ITFIND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만족지수를 직접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의 시스템 개선을 위한 몇몇 전략 및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 (IS) effectiveness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efficacy of IS actions and IS invest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odel of the user satisfaction index for ISs and present the user satisfaction index which is measured by the proposed model. Based on the representative theories and models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IS, we propose a new user satisfaction index model and verify the new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four basic dimensions: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systems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Also, users' royalty and complaint are adopted as the additional dimension in this model. Data was collected from the ITFIND users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index. We, then, suggest some strategic guidelines for the better ITFIND which may useful when the system designers consider upgrading of the system in the future.

36
노영희(건국대학교) ; 노지윤(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2018, Vol.35, No.4, pp.77-106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폐교 활용방안에 앞서, 폐교 현황과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최근 도서관의 폐교 활용 트렌드를 파악하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가능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 건립은 복합문화공간 제공, 친환경적 공간 제공, 지역 커뮤니티 장소 제공 등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특색을 가진 도서관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지역경제 기여와 지역의 재활성화 기회 제공,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 밀착형․친화형 공간, 노인복지․요양서비스․귀농 생활 등과 연계한 공간의 재활용, 폐교를 활용한 부가 가치 창출과 지역 비즈니스 창출,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구성,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구성된 통합적인 공간으로 활용, 지역의 커뮤니티 센터 역할 수행, 지역의 요구를 충족․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활용.

Abstract

Prior to the concrete and practical use of closed school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rends in th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the library’s use of closed schools based on the status of closed schools and use case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the building of libraries using closed schools can be reborn as librar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public libraries, such as providing complex cultural spaces, eco-friendly spaces, and local community place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uture direction of library closure is suggested as follows: Provide local economic contribution and local revitalization opportunities, life-friendly and friendly space for local residents, recycling space linked with elderly welfare, care service, urban to rural Immigrants, creation of added value and creation of local business using closed schools, environment-friendly space, recycling as a complex community center, recycled into a space that meets and complements local need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 있는 대학의 환경을 반영하고, 정보기술의 발전을 반영함으로써 대학을 리드하는 기관으로서 우뚝 서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빅이슈가 「대학도서관진흥법」, 대학도서관 평가 및 평가지표, 대학에서의 대학도서관의 가치,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기능변화라고 하였고, 대학의 환경변화, 정부의 대학에 대한 정책, 각종 국책사업, 각종 구조개혁이 대학도서관에 영향을 상당히 미친다고 하였다. 둘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도서관의 역할 변화로 학생의 정보자원 및 기술의 활용능력 향상, 학생의 독서능력 향상, 대학구성원의 연구능력 향상, 대학구성원 학습역량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 가장 높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전자책 및 정보자원의 확대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find out a strategy to stand tall as an institution to lead the university, by reflecting the university environment having with drastic environmental changes and reflecting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ult, first,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big issue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is the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and assessment indicators, the value of university libraries at the university, and changing spatial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library. Second,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change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government policy on universities, various national projects, and various university reform policy significantly affect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rd, about what you think would be helpful to the crisis in their universities as changing role of the library, they responded that they can contribute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information and technology literacy, improving students’ reading skills, improving research capacity, and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Fourth, they responded that services that users demand the highest in the university library will be expansion of e-books and information resource.

38
윤중현(전주공업대학 정보비서과) 2002, Vol.19, No.2, pp.31-48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031
초록보기
초록

폭발적인 디지털콘텐츠의 성장과 함께, 지식과 정보를 중계하고 유통시키는 조직으로서 도서관과 정보센터는 지식소유자와 이용자사이에서의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정보화사회에서 무형의 정보와 지식에 경제적인 가치가 더하게 되므로서 전자지불시스템은 이러한 중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웍상에서 디지털콘텐츠를 전자적으로 사고 팔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보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지식중계시스템(전자도서관)은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인터넷을 통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디지털콘텐츠를 입수 및 구매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정보의 공유와 개방을 목표로 개발된 인터넷이 갖고 있는 기본적인 취약성 때문에 거래내용, 신용카드정보, 은행계좌정보. 혹은 관련 비밀번호, 사용자 정보 등의 중요정보들이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과 같은 개방망에서의 전자거래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증시스템과 관련된 암호관련 기술을 살펴보고 보다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고려되고 있는 스마트카드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온라인상의 전자거래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사용자와 스마트카드에 대한 인증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개방형 네트워크상에서 의 스마트카드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중계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및 스마트카드에 대한 동시적 다중인증 및 암호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Abstract

With explosively increasing digital content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should have a new role between knowledge providers and knowledge users as information brokering organization.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should be required for performing this brokering service since economic value is added to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s and changes around library are keeping up with increasing building digital library and digitalizing printed sources. With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the Internet is currently witnessing an explosive growth. By serving as a virtual information resource. the Internet can dramatically change the way business is conducted and Information is provided. However because of features o( the Internet like openness and information sharing, it has fundamental vulnerabilities in security issues. For Instance, disclosure of private information and line eavesdropping such as password, banking account, transaction data on network and so on are primary obstruction factors to activation of digital contents delivery on network. For high network security and authentication, this paper looks at smart card technologies and proposes multi-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smart card on open network, implements and analyzes it.

정보관리학회지